• 제목/요약/키워드: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보육교사를 위한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의 효과: 일상생활 응급상황과 심폐소생술 중심으로 (Effects of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on Daycare Center Teachers' Coping Ability in Emergency Situations: Focus on Daily Life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최은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68-176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제시된 응급상황별 아동의 사례를 바탕으로 동료 교사와의 상호 작용적 토론과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소그룹 학습을 적용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상자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전라남도 S시 소재 40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33명이 실험군이였으며,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은 대상자들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심폐소생술 태도와 심폐소생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의 변화를 도모하여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응급상황 대처 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은 보육교사들에게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상황 대처 능력을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새로운 교수방법 제안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보육교사를 위한 감염관리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안의 개발 및 효과 (Effects of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about Care of Infected Children for Daycare Center Teachers)

  • 최은주;황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71-78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program on the care of children with infectious disease,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practice behaviors of daycare center teacher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Methods: Based on the need assessment, the case-based learning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children was developed. For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69 teachers were recruited from 14 child daycare centers in a city located in J province. Thirty four teacher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once a week for 5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o perform ${\chi}^2$-test and t-tests.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to treat the covariate of the number of assigned childre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practice behavior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is an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for daycare center teachers to learn infection management through the emphasis of self-reflection and discussion.

멀티미디어 사례기반학습이 예비교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ltimedia Case-based Learning on Preservice Teachers' Critical Thinking and Practices)

  • 박성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사례기반학습이 예비교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수아동의 이해' 수업을 수강하는 75명의 예비교사들 중 49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실험 전 비판적 사고 성향 사전 검사 및 사전문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3차시에 걸쳐 4개의 특수교육 관련 사례와 함께 현장 교사 동영상 인터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소그룹 및 전체 토론을 통해 각 사례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였다. 실험 후 비판적 사고 성향 사후 검사와 함께 새로운 관련 사례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분석 및 해결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 성향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 새로운 문제 사례의 분석과 해결안을 통해 제시된 예비교사들의 수행에서는 멀티미디어 사례기반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분석과 해결안 내용 및 완성도가 통제 집단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교육기간동안 멀티미디어 사례기반학습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테라포밍에 대한 과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소그룹 상호작용 중 발현되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Appear in Small Group Interactions During Model-Based Classrooms on Terraforming)

  • 박신희;최승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11-620
    • /
    • 202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성을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보고, 이것이 성인의 지도보다는 학습자끼리 서로 상호작용할 때 더 활성화 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Vygotsky, 1978). 이에 따라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소그룹 상호작용의 특징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통한 본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실제 수업에 활용할 9차시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의 4학년 초등학생 24명(남 12명, 여 12명)이다. 연구자는 수업자 및 관찰자로서 연구에 참여했으며, 수업 동영상 자료와 녹음 자료, 학생 면담 녹음 자료, 활동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창의성의 수준은 'Mini-C' 창의성(Beghetto & Kaufman, 2007)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창의성 분석을 위하여 Davis, Rimm & Siegle(2010)가 제시한 19가지 창의적 능력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모델링 과정에서 주로 나타난 학생들의 창의성은 정교화, 평가, 시각화, 성급한 결론의 유보, 독창성, 분석, 집중 등이었다. 또한 모델링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소그룹 상호작용은 '제안', '동의', '질문', '반박', '전환'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은 모델링 과정에서 자신만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어린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개인 모델을 무조건적으로 반영하기 보다는 다양한 창의적 능력의 사용과 합의를 통해 더 나은 그룹 모델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과학적 모델링 연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더욱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다문화 산모 간호를 위한 문화적 역량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방법 적용 (Effects of a Cultur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Maternity Nursing Care: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 박명숙;권영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26-63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ultural competence improvement program for maternity nurse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67 maternity nurses caring for multicultural pregnant women in G city. The cultural competence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3-D Puzzle Model and was provided using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methods for the experimental group (n=31). The control group (n=36) did not receive any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at two time points: prior to the intervention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t-test.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for cultural knowledge (t=6.39, p<.001), cultural awareness (t=3.50, p<.001), and cultural acceptance (t=4.08, p<.001). However, change in cultural nursing behaviors (t=0.92, p=.067)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a cultural competence improvement program with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is a useful intervention strategy to promote multicultural maternity care. Further, strategies to improve cultural nursing behavior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culturally congruent nursing care.

3D 프린팅 구조물 기반 블라인드박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다차원 방사선영상해독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actical Training Using 3D Printed Structure-Based Blind Boxes on Multi-Dimensional Radiographic Image Interpretation Ability)

  • 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1-13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구조물 기반 블라인드박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다차원 방사선영상해독력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진행된 디지털의료영상학 실습에 참여한 방사선학과 2학년의 83명(남자: 49명, 여자: 34명)이었다. 학습방법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자체 설계한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을 출력하였다. 이를 엑스선 촬영한 한 후 소그룹별로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영상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로 3차원구조물을 지점토로 자체 제작하고 엑스선 촬영한 후 블라인드박스 내 구조물영상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평가방법은 수업성실도(평소 수업태도, 예·복습 정도, 학습목표이해도), 방사선영상해독력(엑스선감쇠개념, 대조도개념, 윈도우닝개념, 3차원해독력), 수업만족도(흥미도, 외부추천도, 수업몰입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무기명 자기 기입방식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든 평가항목이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 없이 높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블라인드박스를 이용한 실습교육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방사선교육공학의 의미있는 사례로써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전공과목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콘텐츠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