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과조직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초

과일 및 채소의 응력완화 직선화 모델 (A Linearization Model of the Stress Relaxation Curves for Fruits and Vegetables)

  • 유명식;송우진;노영태;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6-231
    • /
    • 1992
  • 식물조직의 응력완화 측정 중에 압축응력에 의하여 조직의 내부구조가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응력완화 곡선을 직선화할 수 있는 일반화 된 실험적 모델 $[F_{(o)}t^n/(F_{(o)}-F_{(t)})=k_1+k_2t]$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F_{(o)}$는 초기응력, $F_{(t)}$는 t시간 후의 잔여응력, $k_1$, $k_2$와 n은 상수이다. 이 모델은 오이, 감, 사과, 감자, 고구마, 당근 등의 신선한 과일 및 채소류의 응력완화 곡선의 직선화 모델로서 매우 잘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염절임, 당장 및 열처리한 채소류 조직에도 잘 적용되었다. 이 모델로부터 구조거동지수로 정의한 n값은 생시료인 경우 $1.14{\sim}l.35$ 범위로 응력완화 동안에 조직변동이 큰 시료일수록 큰 값을 나타내었고 처리된 시료일 경우 1에 가까워졌다.

  • PDF

굴 껍데기에서 개미산으로 추출한 칼슘화합물과 활성제의 수관살포가 사과 '후지' 과실의 칼슘농도, 과피 형태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e-spray of Calcium Formate Compound Extracted from Oyster Shell and Active Agent on the Calcium Concentration, Fruit Skin Shape, and Quality of 'Fuji' Apple Fruit)

  • 문병우;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6
    • /
    • 2007
  • 본 연구는 굴 껍데기로 제조한 개미산 칼슘화합물에 몇 가지 활성제를 첨가한 용액 수관살포가 사과 '후지' 과실의 칼슘농도, 과점의 발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굴 껍데기로부터 추출한 칼슘 화합물(Os-CaF, $52.4mg{\cdot}kg^{-1}$)을 수관살포하였을 때 조직으로의 칼슘전이 효과는 무처리에 비하여 잎, 과피 및 과육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Os-CaF에 활성제를 첨가하여 살포하였을 때 '후지' 과실의 칼슘함량은 증가되었다. 특히, 잎에서는 ascorbic acid, polyvinyl alcohol을, 과피에서는 Ag-colloidal, polyvinyl alcohol을, 과육에서는 ascorbic acid, Ag-colloidal, polyvinyl alcohol을 첨가한 칼슘화합물이 칼슘 흡수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칼슘화합물의 농도 및 활성제 종류에 따른 과실품질(과중, 경도, 가용성고형물, 산 함량, 과피색)은 차이가 없었다.

개량머루(Vitis sp.)의 생육기에 따른 과실 품질 및 형태학적 관찰 (Evaluation of Fruit Quality an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aeryangmeoru (Vitis sp.) Grapes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

  • 권용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5-70
    • /
    • 2014
  • 개량머루의 시기별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액아 발달, 과실 품질, 과실 조직의 해부학적 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액아는 신초 발생부터 낙엽기까지 가지에서 마디 위치에 관계없이 괴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모두 충실하였다. 성숙기 과실 특성은 과립중 1.2g, 과립수 98개 및 과방중 128.8g이었고, 당도 $16.9^{\circ}Brix$, 적정산도 1.57%이었다. 당의 조성은 과당과 포도당이었고 성숙기의 과당과 포도당의 비는 1:1에 도달하였다. 사과산이 유기산 중에서 가장 많았으며 시기별 적정 산도의 변화가 일치하였다. 당과 산은 변색 1주전부터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배주의 퇴화는 수정 전후에 모두 발견되었고 성숙기의 과피는 1층의 epidermis와 7~10층의 hypodermis로 구성되었다.

생장조절제 및 Potassium Humate가 사과대목 M.26 기내 증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owth Regulators and Potassium Humate on in Vitro Multiplication of Apple Rootstock M.26)

  • 임학태;용영록;송융남;한교필;김종화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1-135
    • /
    • 1994
  • 본 실험은 식물생장조절제인 TDZ, BA, TAh, IBA, zeatin, GA$_3$가 사과대목 M.25의 기내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또한 시토카닌과 오옥신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알려진 potassium humate가 뿌리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몇가지 농도로 배지에 첨가했다. 생장점 배양으로부터 건전한 산소를 얻기 위해서 BA, TDB, zeatin을 단독으로 기본배지에 첨가한 결과, zeatin 1.0 mg/L 첨가한 배지에서 100% 생존을을 나타냈고 신초생장 또한 양정하였다. 생장점 배양을 통해서 얻은 신초의 증식을 위해서 여러 종류의 생장조절제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했을때 NAA 0.5 + TDZ 0.2 mg/L이 첨가된 배지에서 증식된 신소재가 평균 12.1개로 증식율이 가장 높았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발근유도는 IBA 0.6 mg/L이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발근유도 배지에 potassium humate 250 mg/L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발근율과 부정근 돈는 IBA 0.5 mg/L 단독 처리구보다 각각 30%와 350% 이상 증가되었다.

  • PDF

과실 피막제 및 Ethylene 제거제의 수확후 처리가 '후지'사과의 저장력과 상온유통에서의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harvest Fruit Coating and Ethylene Scrubber in Polyethylene Film Wrapping on the Marketability of 'Fuji' Apples during Storage and Marketing)

  • 황용수;이재창;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9-17
    • /
    • 1993
  • '후지' 사과의 저장 및 유통 과정에서의 상품성 향상을 위한 몇가지 수확 후 처리기술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olyethylene film 포장은 저장 중의 수분손실 방지에 따른 감량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 주었으나 저장기간이 걸어짐에 따라 PE 대내의 ethylene 축적으로 인한 과실의 노화가 심하였다. Polyethylene 포장과 ethylene scrubber를 함께 포장한 경우 저장 12주까지 선도유지에 효과적이었으나 장기저장에서는 ethylene scrubber의 효과가 저하되어 선도유지에 대한 효과가 감소되었다. 피막제 중 Prolong 처리는 감량 방지에 대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수용성 wax 처리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wax 처리는 일부 과실에서 조직의 괴사를 수반하는 장해를 유발하였으나 장해를 받지 않은 과실은 저장 21주까지 매우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 PDF

차압예냉처리가 쓰가루사과의 선도유지에 미치는 효과 (Freshness Prolongation 'Tsugaru' Apple by Pressure Cooling)

  • 김병삼;김의웅;김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65-370
    • /
    • 1999
  • 본 연구는 수확후 선도 저하가 빠른 쓰가루 사과의 선도연장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중앙흡인식 차압 예냉장치를 이용하여 수확후 바로 1$^{\circ}C$까지 품온을 낮추어 1$^{\circ}C$$25^{\circ}C$에서 각각 저장하여 각 처리구별로 호흡속도, 감모율 및 관능적 품질 변화 요인들을 비교.조사하였다. 사과를 1$^{\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차압예냉장치를 이용한 경우 박스의 형태 및 차압실 압력에 따라 5~6시간이 소요된 반면, 통기공이 없는 골판지 박스에 담아 1$^{\circ}C$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는 약 40시간 이상이 소요되었다. 호흡속도는 온도나 품온이 낮아짐에 따라 억제되었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계속 감소하였다. 예냉처리에 의하여 신선도가 연장되었는데 관능적 특성 변화는 외관보다는 조직감이나 맛 성분에 있어서 변화가 더 심하게 나타났고, 처리구간에 따라서는 비예냉구의 경우 $25^{\circ}C$에서 6일, 1$^{\circ}C$에서 21일이 지나면 상품성을 상실한 반면에 예냉구의 경우는 $25^{\circ}C$에서 9일, 1$^{\circ}C$에서 35일 후까지도 관능적으로 우수하였다.

  • PDF

사과를 첨가한 아로니아 혼합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s added with apple)

  • 박성훈;박재호;노재관;신현만;이성희;김영호;엄현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7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아로니아의 소비촉진을 위해 아로니아에 사과를 부재료로 첨가하여 떫은맛은 감소되고 기호도가 향상이 된 아로니아 혼합잼을 다양하게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00% 아로니아 잼을 비롯한 90%, 70%, 그리고 50% 아로니아 잼을 제조한 뒤 4가지 잼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아로니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고, 총산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할수록 명도는 증가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하여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감에서 견고성과 탄력성, 점성, 씹힘성은 아로니아 함량이 100%일 때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과 전자공여능은 아로니아의 함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색상과 향미, 신맛은 아로니아 함량이 증가하여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 발림성과 단맛은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70%일 때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생리활성, 관능적인 면을 고려했을 때 70% 아로니아와 30% 사과를 첨가한 아로니아 혼합잼의 경우 현재 한정된 범위의 가공식품의 재료로 쓰이고 있는 아로니아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Fresh-cut 사과의 품질 보존성 향상을 위한 침지액의 개발 (Development of Dipping Solution to Extend a Shelf-life of Fresh-cut Apples)

  • 김종찬;김성철;박기재;정진웅;정승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5-41
    • /
    • 2006
  • Fresh-cut 사과의 미생물학적 품질 보존성 향상을 위해 미생물 생육억제 효과가 크다고 알려진 다양한 hurdle 인자를 개별 평가하고 이들의 병용처리 효과를 검토하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Chitooligosaccharide와 GSE(grapefruit seed extrat)를 처리한 fresh-cut 사과는 저장 후반으로 혹은 농도가 높을수록 무처리구에 비해 총균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 미생물 증식억제를 위한 hurdle로써의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Citric acid의 경우 malic acid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0.75% 이상의 citric acid 처리구에서는 malic acid 처리구와 달리 $18^{\circ}C$ 저장 4일을 전후해 총균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미생물 증식억제의 주요 hurdle로 malic acid를 선정하였고, 부가적인 hurdle로는 미생물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내면서 갈변 및 조직연화를 지연시켜 주는 ascorbic acid와 calcium chloride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최적 dipping solution의 구성 및 함량은 미생물 저해 및 갈변 방지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 0.25% malic acid: 0.5% ascorbic acid: 0.25% calcium chloride, 최대 0.75% malic acid: 1.0% ascorbic acid: 0.75% calcium chloride로 결정하였다.

식물조직 배양공정의 기계화를 위한 작업실태분석 (Survey on the Cultivation Process of Plant Tissue Culture)

  • 강창호;정석현;한길수;권기영;윤진하;최홍기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6
    • /
    • 2002
  • 식물조직 배양공정의 기계화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조직 배양기술의 개발 또는 식물묘를 대량생산하는 연구지도기관 및 농원 등의 배양실 10개소를 대상으로 배지의 분주, 배양용기의 밀봉 및 세척, 배양체의 접종공정 등에 대한 작업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배양기술의 개발 또는 식물묘 대량생산은 대부분이 나리, 호접란, 풍란, 심비디움 등 화훼류였으며, 배지는 모두 한천이 혼합된 고체배지, 배양용기는 형상 및 용량 등이 다른 플라스크, 배양병, pE용기 등이 사용되었다. 나. 배지의 분주작업은 조사대상 10개배양실중 6개소는 작업자가 비이커를 사용하여 분주하였고 4개소는 자동 또는 반자동분주기를 사용하였으며, 인력 및 반자동분주기의 사용시 배양용기간의 분주량은 기준량의 $\pm$25%범위에서 차이가 있었다. 다. 액체배지의 분주시 온도는 36.8~88.$0^{\circ}C$, 점도는 3.7~11.8cP 범위였고 점도는 배지에 혼합하는 한천, 사과 등 유기물의 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배지의 분주작업을 기계화하기 위해서는 배지의 온도와 점도, 배양용기와 분주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지의 점도에 따라 분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라. 배양용기의 밀봉소재는 플라스크의 경우 호일 또는 고무마개와 호일, 배양병은 모두 나사산이 있는 캡, PE용기는 뚜껑을 사용하였으며, 밀봉작업은 모든 배양실에서 인력에 의존하였고 작업능률은 호일만으로 밀봉하는 경우 시간당 180~240병, 캡은 시간당470~600개 정도였다. 마. 배양체의 접종작업은 모든 배양실이 인력에 의존하였으며, 배양체를 배지와 분리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배양작물에 따라 생육정도를 2~3등급으로 구분하여 배양용기의 배지 위에 치상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으며, 작업능률은 호접란의 경우 배양병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6병, 심비디움은 원형 플라스크에 25본을 접종하는데 시간당 10병 정도였다. 바. 식물체의 대량증식에 사용되는 플라스크, 배양병, PE용기 등 배양용기의 세척작업은 농원의 1개배양실에서 간이식 세척기, 이 외의 9개배양실은 모두 물에 담겨 두었다가 세제와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인력으로 세척하고 있어 생력화 기술개발이 요구되었다.

  • PDF

대체감미료 당유도체의 유변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ugar Derivative Sweeteners)

  • 이철호;박춘상;한복진;김봉찬;장지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52-857
    • /
    • 1990
  • 대체감미료로 사용되고 있는 당유도체들 fructo-oligo당, HMS, sorbitol 및 maltitol의 유동특성과 식품기능성을 설탕과 비교하였다. 시험된 모든 당유도체 용액은 농도범위 10%에서 원액에 이르기까지 뉴우턴성 유체특성을 나타내었으며 HMS의 점도가 가장 높고 fructo-oligo 당, maltitol, 설탕, sorbitol, 포도당 순으로 점도가 낮아졌다. 용액의 점도가 평균분자량과 직선적 상관관계 (r=0.8038)를 보였다. 농도증가에 따라 점도는 지수적 증가추세를 나타내었으며 농도의존성지수는 당알콜류가 HMS나 fructo-oligo 당 보다 낮았다. 온도증가에 따라 당용액의 점도는 지수적 감소경향을 보여 Arrhenius식을 따랐으며 유동활성화에너지는 sorbitol과 HMS가 설탕보다 큰 반면 fructo-oligo 당과 maltitol은 설탕보다 작았다. Fructo-oligo 당을 사과잼에 설탕 대용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팥양갱에서는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응집성을 모두 크게 저하시켰다. HMS는 사과잼과 팥양갱에 설탕 대용으로 전량 대체할 경우 큰 조직감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나 설탕과 50%씩 혼용할 경우 견고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반면 당알콜류를 설탕대용으로 잼이나 양갱에 사용할 경우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을 저하시켰다. Fructo-oligo 당과 HMS를 설탕에 첨가할 경우 캔디의 고화속도에 큰 변화가 없으나 sorbitol은 고화속도를 크게 저하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