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과원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4초

고밀식 사과원에서의 간벌이 '후지'/M.9 사과나무의 영양생장, 생산량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ee Thinning on Vegetativ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in the High Density Orchard)

  • 권헌중;사공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4-111
    • /
    • 2023
  • As apple trees matu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good light distribution within the canopy to produce marketable fruits. Tree thinning is the selective removal of a proportion of trees growing in the orchard to provide more growing space and a good light environment for the remaining trees.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3 years (14-16 years after planting)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ree thinning on vegetative growth, yield, fruit quality, and blooming in the 14 years old slender spindle 'Fuji'/M.9 apple trees planted with the tree space of 3.2×1.2 m. The trees were placed in a control group (no thinning; 260 trees per 10 a) or a tree thinning group (thinned 50% of the control; 130 trees per 10 a). The tree thinning successfully improved light penetration, yield per tree, fruit red color, and yield efficiency for 3 years, and the tree thinning controlled the occurrence of biennial bearing. However, tree thinning significantly decreased accumulated yield per 10 a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vegetative growth, yield per tree, soluble solid contents, and blooming were not clear by the occurrence of biennial bearing in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ree thinning was a good method for improving light penetration and preventing biennial bearing in the old 'Fuji'/M.9 high-density apple orchards.

사과 과수원에서의 토양 CO2 발생량 평가 (Estimation of Soil CO2 Efflux from an Apple Orchard)

  • 이재만;김승희;박희승;서형호;윤석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2-60
    • /
    • 2009
  • 본 실험은 사과원 토양으로부터의 $CO_2$방출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토양호흡과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경기도 수원 국립 원예특작과학원 내의 사과 '후지' 과수원에서 2007년 4월 23일$\sim$2008년 3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자체 제작한 자동 토양호흡 측정장치(밀폐법)를 이용하여 밀폐법에 근거하여 사과원의 토양 호흡을 지속적으로 측정 하였다. 토양 호흡속도의 일변화는 일출 이후의 온도 상승과 함께 아침 7시경부터 증가하여, 온도가 가장 높은 $14{\sim}15$시경에 최대값($399.4{\sim}450.9mg$ $CO_2$ $m^2d^{-1}$)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온도의 하강과 함께 감소하였다. 토양 호흡속도는 $0.82{\sim}13.65g$ $CO_2$ $m^2d^{-1}$ 범위의 계절변화를 보였고, 온도가 높고 강우가 많았던 $7{\sim}9$월에는 비교적 온도가 낮았던 $5{\sim}6$월보다 토양호흡 속도가 낮았다. 토양호흡속도는 지온($r^2=0.800$) 및 기온($r^2=0.805$)과 유의한 지수함수적 관계를 보였다. 지온과 기온에 대한 토양호흡속도의 $Q_{10}$ 값은 각각 2.0과 1.9이었으며, 연간 총 토양 호흡량은 19.6ton $CO_2$ $ha^{-1}$ 이었다.

수치기후도 기반 사과 재배적지 평가시스템

  • Jeong, Yu-Ran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7-114
    • /
    • 2003
  • (1) MAPPLE 친구 만들기 MAPPLE.apr 파일을 실행시킨다. 그림1은 처음 화면이다.(Picture Omitted) \circled1 Tile : 제목 \circled2 Menu Bar : 8개의 상위메뉴로 이루어져 있다. \circled3Button Bar : Button을 클릭함과 동시에 원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Button \circled4Tool Bar : Tool을 클릭하고 View 창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명령을 내리면 수행하는 Tool \circled5View Document : Map 또는 메뉴, Button, Tool에서 수행된 결과물을 볼 수 있는 창(중략)

  • PDF

사과박 퇴비화에서의 미생물군집의 천이와 효소활성도의 변화 (The Succession of Microbial Populations and Variation of Enzyme Activities in Composting of Apple Pomace)

  • 이영옥;조익환;이용세;전하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7권2호
    • /
    • pp.73-82
    • /
    • 1999
  • 사과박의 퇴비화에서 효소활성도가 퇴비의 안정성 혹은 부숙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사용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배양계수법에 의한 미생물군집의 천이와, 무형광상태로 기질에 결합되어있던 형광물질(MUF)이 분해되면서 띠게 되는 형광정도가 해당효소의 활성도에 비례하여 높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beta}$-glucosidase와 cellobiohydrol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탄수화물의 분해에 관여하는 두 효소의 활성도는 시간변화에 따라 점점 낮아졌다. 미생물개체군과 효소활성도간의 상관성은 균류군을 제외하고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 균류가 높은 개체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균류가 사과박의 퇴비화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과수의 생육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적용 - 사과나무를 대상으로 - (Application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for Growing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of a Fruit Tree - A Case of Apple Tree -)

  • 전문장;심규원;김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6-65
    • /
    • 2009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과수 생육환경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 또한, 수세활력도 차이에 따른 과실의 각종 품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위치한 사과 과수원에서 이루어졌다. 사과나무의 수세활력도는 일사량, 온도 및 습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수세활력도는 사과의 과중, 당도 그리고 미네랄 함량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과수의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과학적인 재배 방법을 통해 과수의 품질 개선에도 기여할 뿐 만 아니라, 향후 유비쿼터스 적용분야의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어 알파바이러스 감염증의 국경검역 필요성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necessity of boarder quarantine to prevent introduction of salmonid alphavirus into Korea)

  • 유진하;조재범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7-70
    • /
    • 2018
  • Infection with salmonid alphavirus (SAV) is a serious disease that mainly affects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reared in seawater or freshwater. SAV is prevalent i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Norway that exports rainbow trout and Atlantic salmon to Korea. Consequently, SAV was listed as a disease notifiable to the OIE and many salmonid-producing countries either designate SAV as their notifiable disease or d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is and epidemiology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SAV infection. Unlike other salmonid-producing countries, SAV is not listed as a notifiable disease in Korea, thereby arousing concern that SAV will get into the country through the importation of live salmonids. Under the circumstance, Korea needs to have a legal basis to take much stricter follow-up measures, including listing SAV as a notifiable disease, establishing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OIE standards to declare Korea free from SAV, killing infected fish and conducting fallow system against affected farms.

한국내 양조 환경하의 malo-lactic 박테리아의 분포 및 그들의 양조업에의 이용성 (Malo-lactic Bacteria in Korean Winery Environment and Their Potential Use in Wine Making)

  • 이수오;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3-198
    • /
    • 1980
  • 한국내 양조장을 둘러싼 미생물 환경 즉 신선한 포도즙, 발효중의 포도즙, 앙금, 숙성중의 포도주 및 병속의 사과주들 속에서 많은 수의 malo-lactic 박테리아가 검출되었다. 이들의 환경 속에서 분리된 1363 주의 malo-lactic 균주들 가운데 우수한 4균주를 선택하여 분류한 결과 Leuconostoc oenos 종에 속하는 3균주인 A-35, B-30, C-13과 Lactobacillus Plantarum종에 속하는 1균주 D-11을 얻었다. 이들 가운데 A-25 균주는 malo-lactic 박테리아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Leu. oenos ML34와 거의 동등한 사과산 이용능력을 보였다. 실험적인 양조를 통하여 이 A-25 균주의 malo-lactic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사과원에서 Botryosphaeria dothidea 포자 방출의 경시적 변화 및 관련된 기상요소 (Temporal Dynamics of Botryosphaeria dothidea Spore Dispersal in Apple Orchards and Related Climatological Factors)

  • 김기우;박은우;김성봉;윤진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0-237
    • /
    • 1995
  • Airborne and waterborne ascospores and conidia of Botryosphaeria dothidea were collected in apple orchards at Suwon and Chunan in 1992 through 1994. Both waterborne and airborne spores were first detected in mid April to early May. Thereafter, spores were abundant in early June to late August and present until early December. Rainwater collections contained much more conidia than ascospores during the apple growing seasons. Airborne ascospores catches, which were also detected on humid days without measurable rainfall, were much more than airborne conidia catches. High amounts of ascospores were detected in early times of apple growing season, whereas most conidia catches occurred in later times of the season. The number of waterborne conidia and airborne ascospor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daily maximum, minimum, and average air temperatures during the trapping periods (p=0.01).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number of spores and the total precipitation during the trapping periods.

  • PDF

국내 과수에 발생하는 깍지벌레(진딧물아목)의 종류 (Scale Insects (Stenorrhyncha) Occurred on Fruit Trees in Korea)

  • 권기면;한만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9-288
    • /
    • 2003
  • 과수를 기주식물로 하는 깍지벌레의 종을 파악하기 위해 2001-2002년에 사과 등 11종의 과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농업과학기술원에 소장하고 있는 과수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한 결과, 총 5과 21속 29종의 깍지벌레가 확인되었다. 작물별로 사과나무에서는 10종, 배나무에서 9종, 복숭아나무에서 3종, 귤나무에서 14종, 감나무에서 9종, 자두나무에서 2종, 매실나무에서 1종, 유자나무에서 10종, 포도에서 1종, 대추나무에서 4종 그리고 참다래나무에서 3종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