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고빈도

Search Result 68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고압안전주입이 실패한 소형 냉각재상실사고에서 일차측 급속냉각에 대한 PSA 민감도 분석

  • 황미정;정원대;한상훈;박수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850-855
    • /
    • 1998
  • 소형 냉각재상실사고 발생 후 고압안전주입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안전성평가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에서 고려한 일차측 급속냉각 (Aggressive Cool Down of Reactor Coolant System)의 수행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PSA분석 결과에 의하면, 일차측 급속냉각을 위해서는 운전원 조치가 전체 노심손상빈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현재 작성되어 있는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비상 운전절차서에 따르면 PSA 모델시 가정된 성공기준으로 일차측 급속냉각의 수행에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형 냉각재상실사고로 인한 노심 손상빈도 측면에서 PSA에서 사용한 일차측 급속냉각 성공기준과 인간오류에 대하여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수력학적 분석을 통해 일차측 급속냉각의 타당성과 성공기준을 재검토했다. 이 결과 일차측 급속냉각의 수행 가능성 여부와 노심 손상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고 일차측 급속냉각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새로운 성공기준을 제시한다.

  • PDF

한국 표준형 원천에서의 중대사고시 방사선원 평가

  • 박수용;김시달;전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801-805
    • /
    • 1998
  • 1000 MWe 국내 표준형 원전을 대상으로 노심이 손상되는 각종 중대사고 시나리오에 대하여 방사선원항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단계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방법론에 따라 방사선원 방출군을 정의하고 원전 중대사고 발생시 격납건물 손상을 가정하여 각 방출군별로 격납건물 외부로 방출되는 방사능 방출율을 정량화하였다. 도출된 19개의 그룹중에서 방출률이 작거나 발생빈도가 낮은 7개를 제외하고 12가지 대표 사고경위에 대하여 계산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격납건물 내에서 감쇄효과가 작은 증기발생기 세관 파단사고, 격납건물 격리 실패사고 및 조기 격납건물 파손사고 둥이 상대적으로 큰 방사능 방출량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n the Age Group of Elderly Driver's Accident Characteristics (고령 운전자 연령별 사고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

  • Yoon, Byoung-Jo;Jung, So-Yeon;Lee, So-Yeon;Baek, Jun-Hyo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45-246
    • /
    • 2017
  • 현재 고령자는 65세 이상으로 정해져 있고 고령 운전자 사고에 관련된 연구들은 65세를 기준으로 일반 운전자와 고령 운전자를 구분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교통약자로 분류되어야 하는 신체 능력을 가진 고령 운전자를 구분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분석결과 차종별 주요 사고특성에 대해 70세 이상의 경우 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0~80세 구간에서 사고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승용차에 대해서도 주요사고특성을 분석한 결과 75~84세 구간에서 사고 발생에 대한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고령화가 진행되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 고령자 구간 폭도 증가하기 때문에, 고령자 내에서도 특성이 나뉘게 되고 본 연구를 통해 연령군집별로 사고 발생에 대한 영향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만곡부 연륙교 통항선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Jin-Wan;Park, Seong-Yong;Jeong, Jung-Sik;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565-567
    • /
    • 2012
  • 최근 목포 해상교통관제(VTS)구역 내 만곡부 항로상에 연륙교가 건설됨에 따라 연륙교를 통과하는 선박들의 충돌사고 위험성이 높아질 개연성이 커졌다. 해당 수역에서의 선박교차와 관련된 선박교통의 분석을 집중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향후 해상교통관제 업무와 관련하여 주의하여야 할 사항 및 대책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차빈도가 높은 여객선과 예부선 간의 C PA를 분석함으로써 해상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확보되어야 할 최소안전거리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 PDF

Risk Analysis of Ammonia Leak in the Refrigera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냉동제조 시설의 암모니아 누출사고 위험 분석)

  • Kang, Su-Jin;Lee, Ik-Mo;Moon, Jin-Young;Chon, Yo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1
    • /
    • pp.43-51
    • /
    • 2017
  • Recently, ammonia leak occurred frequently in the domestic refrigera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Ammonia caused great damage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s combustible gases and toxic gases. After considering the types of ammonia accidents of domestic refrigera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selected accident scenarios and to analyze the risk analysis through Impact range estimates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re was a need to establish measures to minimize accident damage. In this study, depending on the method of analysi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we analyzed the risk of the receiver tank of ammonia system. Scenario analysis conditions were set according to the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accident scenario' under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Guidelines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The risk estimates were utilized for consequenc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by SAFETI program of DNV, event tree analysis methodology and part count methodology. The individual risk of ammonia system was derived as 7.71E-04 / yr, social risk were derived as 1.17E-03 / yr. The derived risk was confirmed to apply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of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and through risk calculation, it can be used as a way to minimize accidents ammonia leakage accident damage.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Argument-Based Inquiry(ABI) Science Class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분석)

  • Park, Jiyeon;Nam,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9 no.3
    • /
    • pp.337-3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pistemic thin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3 9th grade students from four classes of a middle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Observations were made over one semester during which argument-based inquiry lessons on five subjects were conducted. Data was collected from argument-based inquiry activity worksheets and student questionnaires. After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in the written reflections, student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epistemic metacognitive skills, followed by epistemic cognition, epistemic metacognitive experience, and epistemic metacognitive knowledge. While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n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on student epistemic thinking and after analysis of the reflections written for the first ABI activity and the fifth ABI activity, we found that all of the sub-elements of epistemic thinking have increased. The rate of growth for epistemic cognition is greatest, followed by epistemic metacognitive knowledge and epistemic metacognitive skills. Assessed for epistemic thinking, the level of epistemic thinking improved over the course of the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ing and being recognized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scientific knowledge. Therefore, an argument-based inquiry science class is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epistemic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its construction through collaboration and agreement.

Assess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avoiding water pipeline accidents by repairing pipelines (갱생사업의 관로사고 피해저감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 Choi, Hyo Yeon;Ryu, Mun Hyun;Choi, Han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6-126
    • /
    • 2017
  • 수도권 광역상수도는 관로 매설 이후 30년 이상 경과하여 수도관로 사고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노후관로를 갱생하여 사고예방과 용수공급 안정성 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사업의 수행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사업 시행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편익에 대한 정량적 정보가 필요하다. 노후관로 갱생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크게 관로사고 피해저감 편익과 복구비용 절감편익으로 구분되는데 후자는 공학적 접근을 통해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는 반면에, 전자는 평가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건부 가치측정법이라는 경제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관로사고 피해저감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수도권 광역상수도 갱생사업의 수혜지역 주민 600 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수도권 광역상수도 갱생사업이 시행되지 않을 경우 관로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한 후, 관로사고를 막기 위한 지불의사액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관로사고 피해 회피를 위한 가구평균 지불의사액은 톤당 약 41.7원이었다. 이 정보는 노후관로 갱생사업에 대한 의사 결정시 활용할 수 있다.

  • PDF

작업시작전 교육-휴대용 연삭기 작업안전

  • Kim, Seok-Ji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23
    • /
    • pp.58-61
    • /
    • 2008
  • 연삭기는 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되는 공구 중 하나이다. 그 중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연삭기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업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빈도가 높아 그 만큼 위험요소 또한 많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크고 작은 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작업자의 부주의 및 관리 소홀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휴대용 연삭기, 어떻게 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

  • PDF

A Study on Analyzing Children's Crossing Behaviors on Non-signalized Crosswalk (비신호 횡단보도에서의 어린이 횡단행태 분석 연구)

  • Lee, Deok Whan;Lee, Yun Suk;Kim, Won Ho;Lee, Back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3
    • /
    • pp.19-32
    • /
    • 2013
  • The study aim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rossing behavior on crosswalk in school zones. It considers accident occurrence and physical form of school zones. Seven elementary school zones were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by field observation and video recording, statistical analysis, CHAID algorithm analysis, and patter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hildren's waiting, attention and distraction were related to the accident occurrence. While 69.1% children showed waiting-before-crossing behavior in low-accident occurrence crosswalk, 83.6% children showed non waiting-before-crossing behavior in high-accident occurrence crosswalk. Moreover, the ratio of waiting, attention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 width of the crosswalk was wide and the distance from the school's entrance to the crosswalk was long. Thes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children's behavior-oriented approach was required to improve safety in school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