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고대응방법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52초

초장대교량의 재난관리시스템 설계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n Design Technology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uper Long Span Bridge)

  • 윤정현;장준호;함은구;김문옥;최윤정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93-93
    • /
    • 2011
  • 연육 연도교에 주로 건설되는 초장대교량은 시설물 특성상 이용객들의 대피공간이 제약받고 태풍, 해일 등 자연재해에 노출이 많기 때문에 다른 공공시설물보다 재난에 취약한 구조물이다. 최근 공공시설물의 건설동향이 구조물의 장대화로 되어감에 따라 재난 발생시 예상 위험이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재난관리 시나리오를 토대로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초장대교량의 재난은 자연재해와 인적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재해 중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난관리 알고리즘은 자연재해의 경우 안개, 강설, 결빙, 강풍, 지진, 해일 및 풍수해이며 인적재해의 경우 화재, 교통사고, 구조물파괴 및 테러이다. 이 재난관리 알고리즘은 재난관리 전산 프로그램 구축의 기초로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재난관리 관련 사례조사를 토대로 재난 수준별 평가방법을 수립하였다. 안개, 강설, 결빙, 강풍, 지진, 해일 및 풍수해와 같은 자연재난은 심각한 재난 발생전에 교통통제가 가능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례조사를 통해 교통통제 관리기준을 설정하였다. 화재, 교통사고, 구조물 파괴 및 테러와 같은 인적재난은 상황 발생시부터 비상대응을 취해야할 재난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고발생 시나리오를 통해 대응 단계별 평가방법을 설정하였다. 또한 재난 수준별 평가방법을 토대로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자연재해와 같이 사고 발생 전에 교통통제가 가능한 재해는 교통통제 모듈로 구분하여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설정하였다. 인적재해와 같이 사고 발생 즉시 비상대응을 실시해야할 재해는 비상대응 모듈로 구분하여 재난관리 알고리즘을 설정하였다. 교통통제 모듈과 비상대응 모듈은 원칙적으로 국가재난관리등급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교통통제 모듈과 비상대응 모듈은 AAD에 의해 관리자, 외부기관 및 이용자 각각의 세부 행동지침 및 요령을 제시하였다.

  • PDF

클라우드 포렌식을 위한 신뢰성이 보장된 데이터 로깅 구조 연구 (A Study on Trusted Data Logging Structure for Cloud Forensics)

  • 박준학;박준영;허의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9-311
    • /
    • 2017
  • 점차 늘어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과 더불어 보안 위협 또한 증가하고 공격 방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했을 시 대응을 위한 조치나 정책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보안사고 대응을 위한 디지털 포렌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많은 해결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가상화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기존의 방법으로 증거의 수집 및 보관에 대한 무결성 증명이 까다롭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가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사고 사후 대응을 위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수집 구조를 제안한다.

원자력 사고후 우유에 대한 비상대응의 정당화/최적화를 위한 방법론 및 적용연구 (A Methodology for Just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Countermeasures for Milk After a Nuclear Accident and Its Application)

  • 황원태;한문희;김은한;조규성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43-249
    • /
    • 1998
  • 원자력 사고 후 우유에 대한 비상대응방법론을 비용/편익 분석법에 근거하여 고안하였다. 목초의 왕성한 성장시기인 8월 15일을 방사성물질의 침적시점(사고시점)으로 가정하여 지표위 방사성물질의 농도, 침적 후 대응행위의 시작시점과 수행기간의 함수로써 적용결과를 논의하였다. 침적 후 우유내 방사성물질의 농도는 동적섭식경로모델 DYNACON으로부터 예측되었다 대응행위로는 침적 후 첫해에 피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수행하기 용이한 섭취금지와 비오염 사료대체가 고려되었다. 대응행위 수행에 따른 총비용은 피폭부담과 금전비용의 합으로 평가하였다. 침적 후 신속한 대응은 소요되는 금전비용에 대한 피폭저감 측면에서 중요한 변수였다. 많은 경우 비오염 사료대체는 섭취금지보다 비용측면에서 효과적인 대응행위였다. 대응행위를 빨리 취할수록 대응행위의 정당화 및 최적기간은 증가하였다.

  • PDF

해상의 기름유출과 방제 대응

  • 이상호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7권5호
    • /
    • pp.4-9
    • /
    • 2008
  • 선박의 기름유출 사고 유형과 해상 유출유의 변화과정, 방제 대응체계, 유출된 기름의 회수방법 및 초동 방제대응 절차에 관한 개요를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실시간 사이버 공격 침해사고 탐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time Cyber Attack Intrusion Detection Method)

  • 최재현;이후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55-62
    • /
    • 2018
  • 최근 다양한 사이버 범죄 위협이 증가하는 추세로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공격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해 실시간 탐지 등 최전선에서 초동 대응을 해야 하는 보안관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안관제센터,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침해 대응센터 등의 이름으로 기관의 관제인원들은 사이버 공격 예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침해사고 탐지를 위한 방법으로 네트워크 보안장비를 이용하거나 관제시스템을 활용하여 탐지를 하고 있지만 장비 위주의 단순한 패턴기반으로 관제를 하는 방법으로는 침해사고의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보안관제시스템은 지속적으로 고도화 되고 있으며 침해위협에 대한 예방활동으로 탐지방법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침해사고 탐지 방법에 대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주요 구성 모듈의 침해사고 탐지 방법을 정의하고, 성능테스트를 통해 효율적인 보안 관제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SIEM(Security Information Event Management)을 활용한 관제시스템 고도화를 통하여 효과적인 침해위협 탐지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유해화학물질 수송용 차량의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ident Response Guidelines for Hazardous Materials(HAZMAT) Transport Vehicle)

  • 설지우;용종원;채충근;태찬호;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7-97
    • /
    • 2015
  •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은 사고 발생 시, 화학물질 사고에 익숙하지 않은 소방대원들이 대응하게 된다. 그 결과 소방대원들이 2차 피해자가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소방대원들이 올바르게 대응하여 2차 피해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험물 수송용 탱크차량 사고를 위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위험성 평가 기법과, 가이드라인 작성방법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의 잠재 위험을 식별하고, 각각에 대하여 guideword를 부여하여 가이드라인 항목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방법, 국내 규정등을 이용하여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산불사고 현황과 대응체계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Response System of Forest Fire Accidents)

  • 정경옥;김대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457-469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연중화, 대형화하는 산불사고 현황과 대응체계를 살펴보고 현장 대응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산불사고 안전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외 문헌 조사와 관련 웹사이트, 통계청 및 산림청의 최근 산불사고 통계를 통해 산불 사고 원인,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국내외 산불사고 대응체계 분석하여 산불사고 안전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발생한 산불 발생 원인분석과 국외 대응 사례를 통하여 대응체계와 전문인력 측면의 산불사고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 산불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크게 2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으며, 추가 관련 연구를 통해 구체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자동화된 침해사고 대응 시스템에서의 안전하고 합법적인 ISP의 IP 정보 제공 방안

  • 김현상;최운호;이석희;이상진;임종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6
    • /
    • 2005
  •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통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ISP는 해킹사고 관련 정보의 제공 및 신고가 의무화되었다. ISP는 이를 이행하고는 있으나, 법률에서 정한바 대로, 관련 정보를 훼손ㆍ멸실 및 변경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ISP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면서도 자동화된 침해사고 대응 시스템과 고도화되고 자동화 된 방법으로 정보를 공유를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월성 2 호기 Small LOCA/PHT Leaks 비상운전지침서

  • 이정표;권종수;박성훈;김성래;나영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266-271
    • /
    • 1995
  • 월성 1호기용 비상운전절차서는 사고별로 세분된 사건대응적 형태의 절차서로 작성되어 있어 발전소 비정상 상태 발생시 운전원이 조치하기 전에 사고진단을 먼저 수행하여야 하며, 또한 다중사고의 경우 적용하는데 난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월성 원자력발전소 2호기용 비상운전지침서는 사건 및 징후대응적 판단 방법을 혼합한 형태이며, 운전원 조치사항으로 필수안전변수의 안정화 및 복구를 위한 핵연료 냉각, 열제거원, 원자로건물의 우선순위로 발전소를 안정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월성 원자력발전소 2 호기용 비상 운전지침서에 고려되고 있는 사건들 중 하나인 소형 냉각재상실 및 냉각재계통 누설 사고 비상운전지침서의 특성을 소개하였다.

  • PDF

추가안전대책비용, 사고위험대응비용의 외부비용을 반영한 원전비용 추정 연구 (Analysis for External Cost of Nuclear Power Focusing on Additional Safety and Accident Risk Costs)

  • 김윤경;조성진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2권2호
    • /
    • pp.367-391
    • /
    • 2013
  • 후쿠시마원자력발전소의 사고를 계기로 원전의 안전대책비용, 사고위험대응비용과 같은 외부비용들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원전의 외부비용들 중에서 추가안전대책비용과 사고위험대응비용을 추정하고, 이를 발전원가 및 전기요금에 반영하여 변화정도를 살폈다. 원전의 추가안전대책비용은 70~90%의 이용률에서 0.53원/kWh~0.80원/kWh으로 원전의 발전원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사고위험대응비용은 원전사고피해규모별, 사고발생빈도별, 이용률별로 0.0025원/kWh~26.4188원/kWh로 추정되었다. 사고위험대응비용을 포함시키면 원전발전원가는 47.58원/kWh~85.92원/kWh가 된다. 2011년을 기준으로 사고위험대응비용을 내부화한 경우의 전기요금의 증가율은 70~90%의 이용률에서 0.001%~10.0563% 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원전의 외부비용을 내부화하는 방법으로서 외부비용을 발전원가에 포함하여 전기요금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논의되지 않았던 원전 외부비용을 내부화하는 방법의 하나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