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뽕잎분말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누에분말, 뽕잎 및 상백피 투여가 흰쥐의 장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kworm Powder, Mulberry Leaves and Mulberry Root Bark Adminstered to Rat on Gastrointestinal Function)

  • 이희삼;김선여;이용기;이완주;이상덕;문재유;류강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35
    • /
    • 1999
  • 누에분말, 쫑잎, 상백피의 투여가 흰쥐의 장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시료이용효율은 대조구 0.1792, 뽕잎 투여구 0.1486, 누에분말 투여구 0.1543, 상백피 투여구 0.1573으로 잠상산물 투여가 사료이용효율을 떨어뜨렸다. 장통과시간은 대조구 644.0분, 뽕잎 투여구 512.2분, 누에분말 투여구 555.9분, 상백피 투여구 574.0분 이었다. 또한 잠상산물을 투여함에 따라 소장길이는 6~11% 증가하였으며, 대장길이는 0~11% 증가하였다. 장의 통과속도는 대조구 20.77 mm/분, 뽕잎 투여구 29.11 mm/분, 누에분말 투여구 26.07 mm/분, 상백피 투여구 25.05 mm/분으로 잠상산물의 투여에 따라 장의 통과속도가 21~61% 빨라졌다. 소장의 무게는 7.26~8.45g과 대장의 무게는 1.69~2.08g으로 잠상산물 투여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변의 pH는 뽕잎 투여구가 가장 낮은 5.95이며, 변량 또한 5.42g/day으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잠상산물을 투여함에 따라 장관 기능이 유의성 있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뽕잎 함유 대두발효물이 신생 당뇨유도쥐에 미치는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황교열;김영훈;조용석;박영식;이재연;강경돈;김근;주동관;안덕균;성수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2-458
    • /
    • 2008
  • 당뇨 환자를 위한 기존의 뽕잎 건강식품의 기능을 보완할 목적으로 뽕잎분말과 DNJ 생산균주인 Bacillus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 혼합물을 신생 당뇨유도쥐에 4주간 경구투여 하여 먹이섭취량, 체중변화, 혈당량, 내당능, 혈중 지질함량, 장기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당뇨유도 시험군은 정상시험군(NC군)과 비교하여 사료섭취량은 많았으나 증체량이 적어 낮은 사료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뽕잎(M군) 및 뽕잎함유대두발효물(MM군)의 투여에 의해 사료효율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MM-60군에서 가장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1주일 간격으로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혈당량 측정 결과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공복혈당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MM-60군과 MM-120군은 당뇨대조군(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주간의 시료투여 후 경구당부하시험에 의한 내당능 조사 결과 뽕잎투여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혈당량을 꾸준히 감소시켰으며 특히 포도당 투여 후 120분에서의 MM-60군과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량을 보여 뽕잎 단독보다는 대두발효배양물 첨가에 의해 내당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역시 DC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 투여에 의해 지질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량 정도는 총콜레스테롤에서는 MM-60군과 MM-120군에서 그리고 중성지질의 경우에는 M군, MM-60군, MM-120군에서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뇨 유발에 의해 쥐의 간, 신장, 비장, 심장 등 체내 주요장기의 무게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뽕잎 또는 뽕잎함유대두 발효물 투여에 의해 이들 장기의 무게는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특히 MM-60군,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뽕잎분말과 DNJ 생산 균주인 B.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물의 혼합물은 신생 당뇨유도쥐의 제반 당뇨증세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은 앞으로 당뇨환자들에 대한 건강식품 소재로 그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하겠다.

뽕잎분말을 첨가한 당면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ngmyon(starch vermicelli)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 전서영;이영숙;노정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37-44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ngmyon(starch vermicelli) prepar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Mulberry leaves powder was added in ratios (w/w) of 0% (CON), 0.5% (MD1), 1.0% (MD2), 1.5% (MD3). and 2.0%(MD4), and then proximate compositions, physicochemical properties, RVA, SEM,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s of the Dangmyon were measured. MD1~MD4 samples showed higher contents of moisture, crude lipid, crude protein and crude ash as well as pH compared to control (p<0.001). In terms of color, lightness (L), yellowness (b), and redness (a) decreased as the mulberry leaves powder increased. The results of RVA properties analysis on all samples showed that control had the highest. With regard to the texture of Dangmyon samples, the scores of hardness, adhesiceness, gumminess, chewiness, resilience of C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mples MD1~MD4 (p<0.001), but the scores of springiness, cohesiveness was not significantly among samples. The result of observation on the cross section of Dangmyon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showed that number, size of cavity more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In sensory evaluation, the scores of appearance, flav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for MD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mples (CON, MD1, MD2, and MD4).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1.5% addition of mulberry leaves powder was effective for preparation of Dangmyon in the aspects of the consumer acceptability.

식이 뽕잎이 흰쥐의 장내균총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ulberry leaf o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in SD Rats)

  • 이희삼;전호정;이상덕;문재유;김애정;류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2-255
    • /
    • 2001
  • 뽕잎 분말이 1, 10%가 되도록 사료에 첨가시켜 4주동안 SD 흰쥐에게 급여한 후 이들의 대장 내용물로부터 총균수와 주요장내미생물의 생균수를 배지를 이용하여 혐기배양한 후 측정한 결과 총균수는 뽕잎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유해균으로 분류할 수 있는 Clostridium은 대조군보다 뽕잎투여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E. coli와 Staphylococcus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뽕잎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미생물의 생장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헥산분획과 물분획물이 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보였다. 장내균총의 개선 측면에서 뽕잎은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뽕잎 분말과 현미가루가 첨가된 pellet을 이용하여 제조한 뽕잎 팽화과자(뻥튀기)의 특성 (Properties of Puffed Mulberry-Rice Snack, Ppeongtuigi by Pellet with Mulberry Leaf and Brown Rice Flour)

  • 장은영;김철암;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56-761
    • /
    • 2006
  • 뽕잎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을 서로 다른 수분 함량(14, 16, 18%), 팽화온도(220, 230, 240$^{\circ}C$), 팽화시간(4, 5, 6초)에서 제조된 뻥튀기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체적은 수분 함량, 팽화온도,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고 파괴력은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지만 수분 함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 L값은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고 a값과 b값은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수분 함량과는 서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수분 함량 18%, 팽화온도 240$^{\circ}C$, 팽화시간 4초에서 제조된 뽕잎 뻥튀기가 제일 높게 나타났고 높은 수분 함량, 높은 팽화온도, 짧은 팽화시간에서 제조된 뽕잎 뻥튀기가 전체적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높은 수분 함량, 높은 팽화온도, 짧은 팽화시간 조건으로 품질 특성이 우수한 뽕잎 뻥튀기를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이 뽕잎분말이 흰쥐의 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ulberry Leaf Powder on Gastrointestinal Function of Rat)

  • 이희삼;김선여;이완주;이상덕;문재유;류강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65-869
    • /
    • 2000
  • 흰쥐에게 뽕잎을 4주동안 투여하여 장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료이용효율은 10% 투여구에서 14% 감소되었고, 장 통과시간은 1% 투여구에서 16%, 10% 투여구에서 21% 빨라졌다. 장의 길이는 1% 투여구에서 10%, 10% 투여구에서 11% 증가되었고, 장 통과속도는 1% 투여구에서 30%, 10% 투여구에서 40% 빨라졌다. 변의 pH는 대조구가 6.91인데 비해 1% 투여구는 6.07, 10% 투여구는 5.95로서 뽕잎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변의 pH는 점차 낮아졌다. 변량은 1% 투여구에서 57%, 10% 투여구에서 91% 증가되었다. 변중의 무기성분 중에서 K의 함량이 50% 증가하였으나, 이는 뽕잎 중에 K함량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누에 인공사료 소재로서 목초분말의 이용 (Utilization of Grass Powder as an Ingredient of Artificial Diet fro Silkworm, Bombyx mori L.)

  • 설광열;홍성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4-19
    • /
    • 1999
  • 누에 인공사료소재로서 값싼 목초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5년부터 96년까지 2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개미누에때부터 각 사료를 공시한 결과 목초분말 10% 함유사료는 호밀,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모두 털떨이율 96% 이상으로 섭식이 양호 하였고 수견성적도 양호하였으나 목초분말 함량이 많을수록 섭식성이 매우 불량하였으며 따라서 3령까지 성장한 누에가 없었다. 한편 오차드그라스의 경우에는 초기 섭식이 매우 나빠 10% 함유사료의 사육성적도 대조에 비해 매우 떨어지는 결과였다. 2. 큰누에때에는 목초분말 함량이 많을수록 경과일수가 길어졌으나 공시 목초분말 30%함유(뽕잎분말 불포함) 사료를 제외하고는 수견성적에 대차가 없었다. 5령때의 배분수를 조사해 본 결과도 사료의 목초분말 함량과 역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 견성적과는 정비례하는 경향이었다. 3. 호밀과 화이트클로버는 누에 사료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이 인정되었으며 채취시기가 빠를수록 섭식성이 좋았다. 따라서 이들 목초를 파종후 2~3개월째에 채취하여 분말화한 후 20%이하 함유사료를 조제, 1령때부터 공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종합적으로 볼 때 목초분말이 누에의 섭식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목초의 종류 및 채취시기에 따라 다르나 누에의 인공사료소재로서 10~20% 정도 함유하는 사료조제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MP-O 인공사료에 대한 누에의 섭식상과 유전현상 (Inheritance of Feeding Respons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to MP-O Artificial Diet.)

  • 황재삼;강현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5-118
    • /
    • 1994
  • 뽕잎분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MP-O 인공사료에 대한 누에의 섭식성의 유전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품종간의 섭식성의 차이와 그 유전양시겡 관하여 실험하였다. 280개 보존누에품종 및 71개 육종계통에 대해 섭식성을 조사한 결과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섭식성의 분포는 비정규분포에 가까웠고 저섭식성 쪽으로 편기되어 있었다. 또한 MP-O 인공사료 고섭식성은 저섭식성에 대해 열성적 형질로 판명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열성유전자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이 명확해졌다.

  • PDF

율무와 꾸지뽕잎 혼합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지방 및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s with Job's Tears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Mixed-powder Supplements on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 박주헌;이경원;성기승;김성수;조경동;이복희;한찬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43-949
    • /
    • 2012
  • 율무와 꾸지뽕잎 혼합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지방 감소 및 혈청 지질 농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 1기에는 고지방식 이를 5주간 급여하고, 실험 2기에는 율무 분말 10%, 꾸지뽕잎 분말 10%, 그리고 이들 두 소재의 1:1 혼합분말 20%를 첨가한 식이를 5주간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2기의 증체량은 율무와 꾸지뽕잎 혼합물 첨가군(MIX-20)이 고지방대조군(HFD)보다 약 21%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체지방(RFP, EFP) 무게는 HFD군에 비해 꾸지뽕잎 첨가군(CTL-10) 및 혼합물 첨가군(MIX-20)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배변량은 MIX-20군이 실험군 중 통계적으로 가장 많았고(p<0.05), 실험 1기 대비 2기의 배변량도 MIX-20군 및 CTL-10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 총콜레스테롤(TC) 농도는 CTL-10군 및 MIX-20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JT-10군(율무 첨가군)과 MIX-20군에서 HFD군보다 통계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보였으며(p<0.05), 중성지방(TG) 농도는 MIX-20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 차이 없이 약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당농도는 시험식이 급여군(JT-10, CTL-10, MIX-20) 모두 HFD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율무와 꾸지뽕잎 혼합 식이는 체지방과 혈청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고, 배변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이들 혼합소재의 활용은 체내 지질대사 개선을 위한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뽕잎분말 첨가수준에 따른 증편의 품질특성 및 무기질 함량변화 (Quality and Changes of Mineral Contents in Jeung-pyun according to the Addition Levels of Mulberry Leaves Powder)

  • 김애정;임영희;김미원;김명희;우경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1-25
    • /
    • 2001
  • Jeung-pyun added to mulberry leaves powder was tested to prove in inorganic ingredients, physical function, chromaticity and rheometer. For cake, mulberry leaves powder were added to rice flour in the ratio of 0%, 1%, 2%, and 3% respectively. In inorganic ingredients test, the amounts of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increased according to adding levels of mulberry leaves powder. But the amounts of iron, copper and zinc, were not correlated with it.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are anti-hypertension inorganic substanc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food with plenty amountsz of inorganic ingredients is an effective diet for the patients who suffer from cardiovascular disease. In physical evalution test, the ratio of mulberry leaves powder was not correlated with the appearance of Jeung-pyun. The value of color decreased as the ratio of mulberry leaves powder increases. In texture, Jeung-pyun. The value of color decreased as the ratio of mulberry leaves power increase. In texture, Jeung-pyun added with 2% mulberry leaves powder had the highest value. In moisture, as the level of mulberry leaves powder was increased, the value was decreased. In rheometer test, Jeung-pyun 0% mulberry leaves powder had the highest value in hardness. While the ratio of mulberry leaves powder was not correlated with cohesiveness. Jeung-pyun added to 1% mulberry leaves powder had the highest value. In gummines and brittleness, 0% Jeung-pyun had the highest value, but the ratio was not correlate with cohesive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