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빛과 공간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1초

여백에 관하여 (A Study on Margin)

  • 진정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7
    • /
    • 2004
  • 우주의 암흑이 빛이 없음이 아니고 암흑물질이며, 무극ㆍ태극이 하나이고 빈 공간을 비어 있다고 하지 않고 무로 꽉 차 있다 하는 것처럼 미술에서 여백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negative space와 positive shape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일된 공감을 형성하고 소멸되는 살아있는 공간이다.

  • PDF

섬광 픽셀과 동일한 물질로 광가이드를 적용한 매우 작은 섬광 픽셀 검출기 설계 (Design of Small-sized Scintillation Pixel Detector with a Light Guid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cintillation Pixel)

  • 이승재;조병두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23-529
    • /
    • 2023
  • 우수한 공간분해능을 달성하기 위해 소동물용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기의 검출기에는 매우 작은 섬광 픽셀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매우 작은 섬광 픽셀을 사용함으로써 배열의 가장자리 부분의 섬광 픽셀들이 평면 영상에서 중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빛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광가이드를 사용하였다. 광가이드의 물질에 따라 빛이 퍼지는 경향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어떠한 물질의 광가이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겹침의 발생 유무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리 광가이드를 대신하여 섬광 픽셀과 동일한 물질의 광가이드를 적용한 검출기를 설계하였다. 섬광체 광가이드는 유리 광가이드에 비해 더 높은 굴절률을 지녀, 빛의 퍼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두 광가이드를 사용한 검출기의 가장자리 부분의 섬광 픽셀들의 분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평면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평면 영상의 가장자리 두 섬광 픽셀 영상의 공간분해능과 중심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분리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섬광체 광가이드를 사용하였을 경우, 더 우수한 공간분해능을 보였으며, 섬광 픽셀들의 중심 간의 거리가 더 넓게 나타났다. 기존에 사용하는 유리 광가이드 대신에 섬광체 광가이드를 사용하여 검출기를 구성할 경우 더 작은 섬광 픽셀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우수한 공간분해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마리오 보타 작품에 나타난 천창과 지붕구조의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Skylights and Roof Structures in the Works of Mario Botta)

  • 김용립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43-25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마리오 보타에 의해 디자인된 천창과 지붕구조를 공간적, 형태적 관점에서, 빛의 연출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타의 천창과 지붕구조를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작품 13점을 선정, 디자인 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보타의 천창, 지붕구조의 특성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겠다. 첫째, 벽돌과 같이 두터운 재료에 의해 제한되어 비교적 어두운 실내가 되는 보타의 작품에서 천창은 공간을 밝혀주는 주된 채광수단이 된다. 지붕구조는 천창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분산 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디자인되었다. 둘째, 그의 작품에서 천창과 지붕구조는 형태를 창조하는 요소로서 역할을 담당한다. 그것들은 작품 외관을 위해 고유한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일조하며 실내공간에 형태를 부여하게 된다. 셋째, 천창은 또한 외부의 자연과 대화하는 창으로 실내에 기여한다. 사람들은 실내에서 천창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감지하게 되며 하늘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넷째, 천창을 통해 유입되며 지붕구조에 의해 조절되는 빛은 보타의 실내에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위로부터 떨어지는 빛을 갖는 실내에서 사람들은 신비로움과 경건함을 느끼게 된다. 다섯째, 천창은 또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다. 천창은 하늘과 땅 사이의 관계를 상징하기도 하며 교회 작품에서는 성도들에게 하늘나라의 비젼을 보여주기도 한다. 인공조명을 활용하여 단순한 실내를 강조하는 근래의 우리 작가들 작품과 비교할 때 천창과 지붕구조를 적극적으로 기용, 자연광의 이점을 취하며 이들을 조형요소로도 이용하는 보타의 작품은 우리 작가들의 작품과는 다른 또 다른 형식의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 PDF

반투명 재질의 렌더링과 화면 보간을 위한 실시간 계층화 알고리즘 (Real-Time Hierarchical Techniques for Rendering of Translucent Materials and Screen-Space Interpolation)

  • 기현우;오경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1-42
    • /
    • 2007
  • 피부, 옷 등 실세계의 대부분의 물질들은 반투명한 재질로 되어있고, 부드러운 외양을 띄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PU 기반의 계층화 알고리즘을 통해, 양극 확산 (dipole diffusion) 기법에 기반한 표면 내에서의 빛의 산란에 의한 조명을 근사하여 반투명한 재질을 실시간에 렌더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무수히 많은 수의 픽셀 빛 입자들은 GPU를 활용하여 쿼드트리로 계층화된다. 렌더링될 각 픽셀마다, 많은 빛 입자를 대신하여 좋은 화질로 근사할 수 있는 집합들을 선택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조명을 계산한다. 우리는 또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해 공간적 일관성과 early-z 컬링을 이용한 계층적 화면 보간 기법을 소개한다. 이를 위하여, 화면 정보를 GPU 상에서 계층화한다. 우리는 공간적 유사도가 높은 픽셀들을 하나의 픽셀로 렌더링함으로써 적응적으로 보간한다. 실험을 통해 빛 계층화를 통해 반투명한 물체를 실시간에 렌더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면 보간 기법은 동급 화질에서 렌더링 비용을 $2{\sim}4$배 정도 감소시켰다. 모든 과정은 GPU를 사용한 이미지 공간 상에서 빠르게 수행되며, 어떠한 긴 전처리과정도 필요하지 않는다.

  • PDF

SPECIAL REPORT - LED 산업동향 및 정책추진 방향

  • 장선호;권영희
    • IT SoC Magazine
    • /
    • 통권31호
    • /
    • pp.9-14
    • /
    • 2009
  • 본고는 최근 정보통신, 디지털 가전, 교통, 자동차, 의료, 조명산업 등으로 응용분야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LED의 산업동향 및 정책적 추진 방향에 대해 소개한다. LED는 빛을 활용하는 경제 사회적 공간에 감성 융합 친환경이란 개념을 접목시켜 다양한 고부가가치 파생산업을 창출하는 등 신성장동력의 원천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광가이드 측면 반사체 사용을 통한 미세 픽셀 섬광체 블록의 영상화 연구 (Imaging Study of Fine Pixel Scintillator Block using Reflector on the Side of Light Guide)

  • 이승재;조병두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71-677
    • /
    • 2023
  • 미세 섬광 픽셀을 사용하여 섬광체 블록을 구성할 경우 섬광체 블록 가장 자리에 위치한 섬광 픽셀들에서 중첩되어 영상화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섬광체 블록과 광센서 사이에 광가이드를 삽입하여 모든 섬광 픽셀들의 영상을 분리하여 획득하였다. 그러나 광가이드를 통해 빛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분해능의 감소로 결국 영상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가이드의 옆면에 반사체를 사용하여 더욱 우수한 섬광 픽셀의 분리가 가능하며, 빛 손실을 최소화해 우수한 에너지 분해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검출기를 설계하였다. 이전 연구와 비교 평가를 위해 빛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DETECT2000을 통해 평면 영상을 획득하여, 분리 정도 및 빛 수집율을 평가하였다. 광가이드의 옆면에 반사체를 사용할 경우, 광가이드의 물질에 상관없이 모든 물질에서 매우 우수한 분리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이전 연구에 비해 더욱 우수한 분리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빛 수집율은 반사체 적용하였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5배 이상 우수한 수집율을 보였다. 본 검출기를 소동물용 양정자방출단층 촬영기기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공간분해능 및 에너지 분해능을 통해 우수한 영상의 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제품 조명에 기대하는 소구 감성 탐색: 냉장고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Users' Desired Emotion in Product Light Focusing on the Refrigerator)

  • 정경아;석현정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3-16
    • /
    • 2018
  • 빛이 제품의 디자인 조형 요소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반해, 제품 구매의 주체인 고객이 소구하는 제품의 빛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제품의 빛과 관련 연구는 특정 소구 감성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 조명 조건을 도출하는 제한되어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써 빛에 소구되는 감성적 효과에 대해 우선 분석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제품의 빛에 대해 고객이 소구하는 감성의 종류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특히 제품의 주요 디자인 요소로써 빛을 활용하고 있는 냉장고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구 감성을 도출하기 위해 다지선다형 선택지와 단답형 주관식 문항을 혼합한 통합연구법을 적용하였다. 실험에서는 조명의 색과 배치가 다른 비슷한 형태의 냉장고 이미지 서너 개씩 그룹화하여 총 12종의 자극물 그룹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참여자(N = 50)로 하여금 각 그룹 별로 선호하는 냉장고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 이유에 대해 단답형 주관식 설문을 작성하게 하였다. 그 결과 총 1,035개의 어휘가 수집되었으며, 위 어휘들은 유의어 관계에 의해 총 29종의 어휘그룹으로 정리되었다. 어휘 그룹은 다시 네 가지의 감성 카테고리 - 추상적 인상, 조명의 객관적 특성, 공간과 내용물의 인지, 시각적 편안함 - 으로 최종 분류된 후 네 가지 카테고리 간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냉장고 조명에 소구하는 감성과 조명의 객관적 특성 간의 관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탐색적 방법을 이용해서 새로운 디자인 요소가 가져다줄 수 있는 감성적 가치를 발굴하고 이를 평가 척도로 활용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아파트 단지(團地) 외부공간(外部空間)의 빛 환경(環境)에 관(關)한 연구(硏究) (A Luminous Environment of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 권소영;하미경;이효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7-241
    • /
    • 2006
  • The Qualitative improvements of outdoor spaces are unsatisfactory in comparison with that of indoor environment in existing apartments. Lately construction companies are differentiating the outdoor spaces of apartment complexes to meet needs of residents. However, high-rise buildings inherently have limitations on providing exposure to the outdoor settings and inappropriate lightings could have serious impacts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resi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luminous environment of outdoor space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apartment complexes' lighting plans. Outdoor space of branded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built after the year 2003, were researched. Through site visits, illumination level and lighting plans were investigated classified into entry area, passage area, plaza, rest area, exercise area, and play area. With the result, illumination level of apartment complexes researched was lower than KS illumination standard in all areas and the lighting plans were mostly shown in different condition of first intended lighting plan because of insufficiency of maintenance in lighting system. Therefore, it is need to provide better luminous environment to make outdoor space more lively and energetic at the night time.

  • PDF

종축형 교회와 중앙 집중형 교회의 공간구성과 빛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Light Effect in Church Architecture: Comparison of Plans to be Designed with Vertical Axis and Centralized Plan)

  • 김창성
    • KIEAE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21-28
    • /
    • 2017
  • Purpose: The early churches such as tabernacle, temple and synagogue had played a important role to form space concepts of western churches. Tabernacle and temple were designed with vertical axis which consisted of sanctuary, sanctum, outdoor yard. Synagogue was designed pew of congregation around pulpit to give a serm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patial principles of churches designed with vertical axis and centralized plan. Method: The concept of vertical axis plan succeeded to Basilica, Romanesque and Gothic churches, and the concept of centralized plan succeeded to Byzantine and Renaissance churche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ole of light in churches according to epoch, and was progressed by examining the existing researches and case studies. Result: The churches designed with vertical axis plan realized spatial composition to show the concept of domus dei, and worship space was illuminated with mysterious light. The churches designed with centralized plan realized spatial composition to show the concept of domus ecclesiae, and light created dramatic holiness in worship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