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Skylights and Roof Structures in the Works of Mario Botta

마리오 보타 작품에 나타난 천창과 지붕구조의 특성 연구

  • 김용립 (상명대학교 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kylights and roof structures designed by Marie Botta from the viewpoint of the space, the form and the light source, and thus to find out their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his 13 major wor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esign, which could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skylight and roof structures sufficiently. T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realized. 1) The skylights are the main light source in the interiors of his buildings that are comparatively dark, being enclosed by thick materials such as bricks. The roof structures have been precisely designed to disperse the light effectively 2) The skylight and roof structures play the role of form-creating elements in his buildings. They create the unique images for the exteriors and endow form to the interiors. 3) The skylight also serves as a window to communicate with nature outside. Through the skylight, people in his buildings are able to perceive the flow of time and enjoy the scenery of the sky. 4) The light that showers through the skylight and adjusted by roof structures produces special atmosphere in his projects. In his interiors, people can experience a somewhat miraculous and sacred feeling with the light from above. 5) The skylight has meaning as a symbol. It symbo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 and the sky. Also, in religious projects, a skylight provides a symbolic vision of Heaven for Christians. Comparing with recent works presented in our country, which emphasize simple interiors using artificial light, Botta's works suggest another form of design differentiated from the works of our designers in that Botta's works not only take advantage of natural light by using skylights and roof structures but also utilize them as form-creating el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마리오 보타에 의해 디자인된 천창과 지붕구조를 공간적, 형태적 관점에서, 빛의 연출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타의 천창과 지붕구조를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작품 13점을 선정, 디자인 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보타의 천창, 지붕구조의 특성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겠다. 첫째, 벽돌과 같이 두터운 재료에 의해 제한되어 비교적 어두운 실내가 되는 보타의 작품에서 천창은 공간을 밝혀주는 주된 채광수단이 된다. 지붕구조는 천창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분산 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디자인되었다. 둘째, 그의 작품에서 천창과 지붕구조는 형태를 창조하는 요소로서 역할을 담당한다. 그것들은 작품 외관을 위해 고유한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일조하며 실내공간에 형태를 부여하게 된다. 셋째, 천창은 또한 외부의 자연과 대화하는 창으로 실내에 기여한다. 사람들은 실내에서 천창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감지하게 되며 하늘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넷째, 천창을 통해 유입되며 지붕구조에 의해 조절되는 빛은 보타의 실내에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위로부터 떨어지는 빛을 갖는 실내에서 사람들은 신비로움과 경건함을 느끼게 된다. 다섯째, 천창은 또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다. 천창은 하늘과 땅 사이의 관계를 상징하기도 하며 교회 작품에서는 성도들에게 하늘나라의 비젼을 보여주기도 한다. 인공조명을 활용하여 단순한 실내를 강조하는 근래의 우리 작가들 작품과 비교할 때 천창과 지붕구조를 적극적으로 기용, 자연광의 이점을 취하며 이들을 조형요소로도 이용하는 보타의 작품은 우리 작가들의 작품과는 다른 또 다른 형식의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