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빗물저류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Hydrological evaluation on rainwater utilization systems (빗물이용시설의 수문학적 평가)

  • Yoo, Chul-Sang;Kim, Kyoung-Jun;Yun, Zu-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20-72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수문학적 평가를 장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빗물이용시설의 특성에 잘 부합되고,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여 10년간 장기유출모의시켰다. 유출모의된 자료를 이용하여 사용량, 저류량, 월류량, 손실량등을 계산할 수 있었으며, 그들에 대한 월별 특성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stability for stable management prepare continuous flood in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연속강우 대비 안정적 운영을 위한 수리적 안정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 Oh, Jun Oh;Kim, Young Do;Jun, Sang M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6
    • /
    • pp.451-461
    • /
    • 2020
  • Urban flooding due to rapid urbanization has recently become frequent. In this study,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construc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to prevent urban flooding. Experiments were preformed for 55 scenarios, of which 19 overflows occurred. In addition, the video analysis for the scenarios where the overflow occurred showd that the overflow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exhausting the pressurized air in the facility and the undular bore were moving.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judge that it would be advantageous to maintain a completely drained or full-pipe condition for stable operation of the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for continuous rainfall in the future. And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 research on the correlation for the magnitude of inflow discharge, overflow and undular bore.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Water Quantity of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based on the Planning Simulation in the Wonheungs' ecological park (모의실험에 의한 청주S(3)택지개발지구 원흥이생태공원일대 우수저류시설의 빗물저류효과 분석 연구)

  • Kim, Gi-Soo;Lee, Tae-Gu;Hwang, Hee-Yeun
    • KIEAE Journal
    • /
    • v.7 no.2
    • /
    • pp.25-3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water quantity of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based on the Planning Simulation in Residential Area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calculate the supply water quantity of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and the demand water quantity of the Wonheungs' ecological park.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water quantity, based on the Planning Simulation, in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nvironment-friendly site planning methods which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Circulation Facilities with Infiltration and Retention Functions (침투 및 저류 기능을 가진 물 순환 시설의 효과 평가)

  • Hong, Jung Sun;Maniquiz-Redillas, Marla C.;Kim, Ree Ho;Lee, Seon Ha;Kim, Lee-Hy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4
    • /
    • pp.305-310
    • /
    • 2015
  • In 2014, the city of Seoul revised the ordinance regarding water-cycle resto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by incorporating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policy. The new ordinance plan will utilize 630 mm or almost 45 to 50% of annual rainfall until 2050 by means of providing a rainwater management system consisting of infiltration, retention and vegetation. The LID is believed to be the key to achieving the target requirements, specifically in development project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ormwater runoff and pollutant reduction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LID facilities (water circulation facilities) including an infiltration inlet, bioretention swale, and permeable pavement constructed in Seoul City. Results show that among the water circulation facilities, the permeable pavement achieved the highest runoff reduction as it was able to entirely capture and infiltrate the runoff to the ground. However, in order to attain a long-term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accumulated sediment and trapped pollutants in the landscape areas through other water circulation techniques such as through soil erosion control. In terms of pollutant reduction capability, the infiltration inlet performed well since it was applied in highly polluted areas. The bioretention facility integrating th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mechanisms of soil, microorganisms and plants were able to also achieve a high runoff and pollutant reduction. The water circulation facilities provided not only benefits for water circulation but also various other benefits such as pollutant reduction, ecological restoration, and aesthetic functions.

Development of treatment facilities for improving water cycle in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의 물순환 개선시설 모듈 개발)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60-1364
    • /
    • 2010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여기서, 물순환 개선시설이란 빗물을 흡수하고 저류할 수 있는 도시녹지시설 혹은 구조물로서 도심 내의 불투수면을 저감시키고 유출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녹지를 확보하여 효과적인 물순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들이다. 이러한 물순환 개선시설은 신도시 및 지역 혁신도시 개발 등의 대규모 토지이용변화가 예상되는 개발지역에 대한 평가 및 개선 기술을 제공하여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설계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침투 시설은 계획침투량을 반영하며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지하수로의 이동을 모의한다. 저류시설은 하도 내에 위치한 online 저류지와 하도 외에 위치한 offline 저류지로 구분하고 저류지 수면의 증발량과 취수량을 고려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하도 내의 흐름의 규모에 따라서 일정량을 넘는 경우만 offline 저류지로 유입될 수 있는 양을 산정하도록 하였으며 하류 하천으로의 방류를 반영하여 홍수 후에 저류지가 비워지도록 하였다. 유역 내의 습지는 식생과 수면에서의 증발산을 반영하였다. 습지의 저류능력을 넘는 양은 월류되어 하류로 유출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빗물저장시설의 경우는 초기우수와 같은 일정량 이하의 유입량과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양은 방류하도록 하였고, 물 사용량을 반영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는 하천 내에서 취수하여 유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리사이클 처리노드를 계획하였다. 리사이클은 용수 이용 목적에 따라 필요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하천유지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어 상류 혹은 하류의 임의 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였다. 또한, 유역외부에 광역으로 급수되는 공급량도 반영하도록 하였다.

  • PDF

Urban Waterway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unoff Reduction (유출저감을 위한 도시형 수로 시스템 및 시공방법)

  • Oh, Yungtak;Han, Seung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4 no.2
    • /
    • pp.25-33
    • /
    • 2021
  • This technology is to let rainwater flow into a waterway that is located side gutter of a street with blocking garbage including cigarette butts at the same time. The first waterway is located beside the sidewalk and it enhances the water circulation in a city. This waterway is filled with aggregates and filter media, which removes fine dust that is washed out of the street and let water flow down to the earth. The second waterway is located beside the street and it retains rainwater temporarily with decreasing its flow speed. The second waterway shall reduce flooding damages by avoiding bottleneck situation in the street inlets and storm water pipelines which is the main causation of flooding in a city.

Analysis of Stream Characteristics at Tangential Intake Structure of Deep Underground Strom Water Tunnel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의 접선식 유입구 흐름특성 분석)

  • Kim, Jung-Soo;Kim, So-Young;Choi, Tea-Soon;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04-604
    • /
    • 2012
  • 국지성 집중호우에 따른 도심지 내수 침수 피해의 주원인으로 하수관거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우가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이며, 도심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되는 시간이 짧아 저지대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2010년과 2011년에 100년 이상의 강우사상이 서울시에 연이어 나타나면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광화문 거리의 연이은 침수는 현재 서울시의 하수관거의 용량과 빗물펌프장 및 저류조 시설로 구성된 기존 수방대책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광화문 일대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자배수분구 빗물배수터널을 계획하고 있다. 일본,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대심도 지하수로 시설에 대한 수리실험 및 수치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하방수로가 건설되어 국지성 집중 강우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대심도 지하방수로 시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지하방수로 설계 지침 및 기술적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에서의 흐름특성 분석에 관한 수리실험 및 수치해석 등의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실험의 물질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3차원 유체거동의 특성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Fluent 6.3 모형을 이용하여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의 접선식 유입구에 대한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하였다. 접선식 유입구 및 수직갱(drop shaft)에 대한 기하 모형의 격자망은 수치해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그림 1과 같이 6면체 격자로 구성하였다. 맨홀 내의 다상유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VOF(Volume of Fluid) Scheme을 적용하였으며,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1st order implicit method를 사용하였다. Fluent에서의 난류 흐름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난류 운동에너지와 난류 에너지 소산율 $\epsilon$의 전달 방정식을 도입한 k-$\epsilon$ 난류 모형을 채택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Optimum Capacity Rainwater Utilizing Facilities by Analysis of the Water Supply by Land Use Scenario (토지이용 시나리오별 용수공급 분석에 따른 빗물이용시설 최적 용량 결정)

  • Lim, Seok Hwa;Kim, Byung Sung;Ryoo, Kyong Sik;Lee, Sang 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4
    • /
    • pp.387-397
    • /
    • 2021
  • Most of Korea's agricultural water is supplied by reservoirs, so dependence on them is very high.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reduce this dependence and provide a stable agricultural water supply by utilizing an applicable alternative water source. Therefore, in this work, scenarios for different land uses were constructed, and an optimal water supply plan using rainwater and reused sewage water - which are alternative water sources - was created. A study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apacity of a rainwater facility. From the analysis, a stable water supply was achieved in the scenario of maximum utilization of rainwater by changing an existing paddy area to a greenhouse area, and about 0.82 ton of flow capacity was required for 1 mm of rainfall on farms utilizing rainwa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timal scenario to derive the ratio of the storage capacity per unit water collection area, the rainwater storage capacity determined through MODSIM and the storage capacity determined through actual monitoring showed similar results, about 31 and 32 %, respectively, and the optimal capacity of rainwater facilities was calculated to be about 5,796,000-6,182,400 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