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빗물관리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565 seconds

Analysis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on 'Rainwater for Drinking' Project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Vietnam Case Studies (개발도상국의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분석 :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 Lee, Minju;Han, Moo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9 no.1
    • /
    • pp.1-8
    • /
    • 2017
  • Drinking water deficiency is prevalent in developing countries due to contamination of surface and ground water, difficulties of water treatment, and lack of water infrastructures. 'Rainwater For Drinking (RFD)' projects are emerging as one of the effective solutions globally since RFD systems provide safe drinking water from rainwater. In RFD projects,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toward RFD project is essential as local residents must manage their RFD systems on their own after the project finishes. This research performed survey and interview to 209 local residents, who use RFD systems, and analyzed their general perception, expected effects and feared factors toward RFD projects. Through the research, it was shown that the most of the local residents have positive perception towards RFD projects' effectiveness (41.9%) and are willing to participate (58.9%). The top three expected effect factors of the RFD projects were 'supply of safe water source', '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and 'expansion of RFD system'. The top three feared factors were 'quality of rainwater', 'technical factors of RFD system', and 'maintenance of RFD system'.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development of simple water quality measuring device and educ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bout RFD system is necessary for better maintenance of the RFD system after the project finishes.

에너지(3) - 버려지는 빗물.하수, 모으면 "돈" 되네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3
    • /
    • pp.58-61
    • /
    • 2010
  • 서울시 강동구청은 버려지는 빗물과 하수를 모아 청소용수나 온수 난방에너지로 재활용해 재해 예방은 물론 환경도 살리고 예산 절감 효과까지 톡톡히 보고 있다. 강동구청은 강동어린이회관 옥상에 '빗물은행'을 설치하여 1톤당 1,280원의 예산을 절감하고 있다. 더 나아가 오는 11월에는 조경수나 청소용수, 화장실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빗물관리시설을 가동할 계획이다. 강동구는 또 지난해 9월 버려지는 하수를 이용한 하수열에너지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강동어린이 회관에 설치하여 온수와 난방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예산절감 효과에 힘입어 강동구는 앞으로 강동아트센터를 비롯한 공공시설 및 민간시설에 빗물집수시설을 설치, 빗물 관련 시설을 확대할 계획이다.

  • PDF

A study on the rainfall management target considering inter-event time definition (IETD) (무강우 지속시간(IETD)을 고려한 빗물관리 목표량 설정 방안 연구)

  • Baek, Jongseok;Kim, Jaemoon;Park, Jaerock;Lim, Kyoungmo;Shin, Hyun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8
    • /
    • pp.603-611
    • /
    • 2022
  • In urban areas, the impermeable area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urbanization, which interferes with the surface penetrating and infiltrating of rainwater, causing most rainwater runoff to the surface, deepening the distortion of water circulation. Distortion of water circulation affects not only flood disasters caused by rainfall and runoff, but also various aspects such as dry stream phenomenon,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destruction of ecosystem balanc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trongly recommends the use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In order to apply the LID technique, it is necessary to set a rainwater management target to handle the increase in outflow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target site, and the current standard sets the rainwater management target using the 10-year daily rainfall.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standards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rainfall ideas using inter-event time definition (IETD) in setting the target amount of rainwater management to improve water circulation. Using 30-year rainfall data from 1991 to 2020, methods such as autocorrelation coefficient (AC) analysis, variation coefficient (VC) analysis, and annual average number of rainfall event (NRE) analysis were applied, and IETD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target rainfall period. The more samples the population had, the more IETD tended to increas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duration and time distribution of independent rainfall according to the IETD, a plan was proposed to calculate the standard design rainfall according to the rainwater management target amou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t an improved rainwater management target amount if sufficient samples of independent rainfall ideas are used through the selection of IETD a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ecentralized Rainwater Tank System on the Reduction of Peak Runoff - A Case Study at M Village - (빗물저류조의 분산배치에 따른 첨두유출 저감효과 분석 - M 마을 사례 -)

  • Han, Moo-Young;Kum, So-Yoon;Mun, Jung-Soo;Kwak, Dong-G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
    • /
    • pp.65-73
    • /
    • 2012
  • Recently climate change and increase of surface runoff caused the urban flooding. Traditional way of dealing with urban flooding has been to increase the sewer capacity or construction of pumping stations, however, it is practically almost impossible because of time, money and traffic problems. Multipurpose DRMS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System) is a new paradigm proposed and recommended by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or both flood control and water conservation. Suwon City has already enacted the ordinance on sound water cycle management by DRMS. In this study, a flood prone area in Suwon is selected and analysis of DRMS has been made using XP-SWMM for different scenarios of RT installation with same total rainwater tank volume and location. Installing one rainwater tank of 3,000$m^3$ can reduce the peak flow rate by 15.5%. Installing six rainwater tanks of 500$m^3$ volume in the area can reduce the peak flow rate by 28%. Three tanks which is concentrated in the middle region can reduce peak rate more than evenly distributed tanks. The method and results foun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sign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DRMS at a flood prone area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sewer system without increase of the sewer capacity.

An Experimental Runoff Formula in Building Roof Area for On-site Rainwater Management (On-site 방식 빗물관리를 위한 건축물 지붕면의 유출특성 경험식 수립)

  • Kim, Young-Jin;Han, Moo-Young;Kim, Yong-Ha;Mun, J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2
    • /
    • pp.171-176
    • /
    • 2009
  • This study proposes an experimental formula for cumulative runoff analysis in building roof for on-site rainwater management. We can not find an appropriate method for roof runoff analysis because of its small area scale. A new runoff equation formula for rainfall depth(D) and cumulative runoff volume(V) is developed on roof runoff conditions. Reliability of the formula is verified with field experimental runoff monitoring for two years in two buildings of rainwater management system. This experimental runoff formula can root the cumulative runoff volume from roof area and rainfall depth, then develop reasonable inflow condition for rainwater retention tank design.

Research on the Use of Rainwater During Fire Suppression (화재진압시 빗물이용에 관한 연구)

  • Gu, Dong-Uk;Shin, Ho-Joo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1-191
    • /
    • 2011
  • 최근 빗물이 우리가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와 함께 빗물이용이 더욱 요구되어졌다. 특히 빗물의 이용 저류 침투를 목적으로 하는 우수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반해 화재발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증가는 소방력 활동의 증가로 귀결되는데 현장활동 인력과 장비 그리고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방용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빗물을 소방용수로 즉, 화재진압시 활용 가능성과 수자원 절약, 화재 사각지역 해소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통계분석, 현장조사, 기존 빗물이용시설 및 향후 완공 예정인 우수유출저감시설 활용과 소방용수 미설치 지역과 소방관서 옥상에 빗물이용시설 설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공공서비스 확대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 빗물이용시설을 소방용수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주 용도로 조경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수 측면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용수로서 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해당 건물관계자나 소방대원들이 빗물이용시설을 인식을 못하고, 사용과 접근성 불편으로 상수도와 연결된 소화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둘째, 상수도시설이 없는 지역은 빗물이용으로 소방용수를 확보해야 한다. 섬, 산간, 고지대, 농촌지역 등 상수도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은 화재발생시 수원확보곤란으로 인명과 재산피해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서비스 확대차원에서 화재 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지붕면을 이용한 각 가정마다 또는 공동 빗물저장소와 지형의 비탈면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설치로 소방용수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셋째, 소방관서 신설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설치한다. 화재통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소방차 출동대기부터 화재진압까지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 먹는 물 즉, 상수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수자원 절약과 화재진압에 사용된 물은 재생 불가능이라는 환경보전 측면에서 빗물이용으로 해답을 찾아본다. 따라서 빗물을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옥상, 부지 등 집수면적을 확대하고 이에 적합한 저류시설을 갖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 끝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중요한 만큼 빗물을 소방용수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언제 어디에서나 현장 접근성, 사용 편리성, 충분한 수량을 고려해야한다.

  • PDF

A Study on Rainwater Utilization Methods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빗물이용시설의 빗물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Park, Yoonkyung;Song, Yang Ho;Choi, Youngkwon;Kim, Re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1-501
    • /
    • 2022
  • 2014년 개정된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법률(이하, 물재이용법)에 따라서 빗물이용시설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실제 연간사용량의 경우 연별 증가량은 미미하다. 또한 2016년도 환경부 하수도 통계에 따른 2,043개의 빗물이용시설 중 집수면적 미파악시설의 749개, 여과시설 유무 미파악시설 564개, 연간 운영비 산출 불가능 시설 1,843개, 연강 사용량 미집계 시설 905개로 관리실태가 부실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빗물이용시설의 설치·운영 실태조사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빗물이용이 비교적 활성화 된 시설을 대상은 현장조사를 수행을 통해 빗물이용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현실적인 여건을 반영하여 빗물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물재이용법에 따른 빗물이용시설 법정의무대상시설의 빗물활용처는 전체의 약 92%가 조경요수로 활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청소화장실용수(약 3%)로 활용하고 있다. 건축물 용도에 따라서 골프장, 공공기관청사/공공업무시설, 대규모점포, 실내체육관/종합운동장, 학교의 경우 건축물 용도별로 각 30% 정도가, 공동주택의 경우 약 60%가 빗물이용시설을 활용하고 있음에도 빗물을 사용하지 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빗물을 사용해야하는 시기에 저류조에 저류된 빗물의 양이 부족한 것과 운영비 부담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빗물이용시설의 빗물이용활성화를 위해서는 물수요-공급에 대한 개념을 도입한 물수지 분석이 필요하며,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현장조사 결과에서도 기술 등의 발달로 빗물이용시설은 잘 구축되고 있으나 활용처에서 필요한 필요수량에 따라 활용률이 상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실태조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빗물이용시설의 빗물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적 및 제도적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 PDF

Methodology for determination of rainwater storage capcity (우수저류조 용량 결정 방법)

  • Maeng, Seung Jin;Hwang, Ju Ha;Kim, Da 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3-423
    • /
    • 2018
  • 전세계적으로 집중호우, 홍수, 가뭄 등 기상이변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기와 갈수기가 뚜렷해지고, 이에 따라 수자원 확보에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물의 재이용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재정하여 효율적인 빗물 관리에 주력을 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빗물관리는 미흡한 실정이다. 즉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할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 작물에 대한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빗물저류조를 시공 및 모니터링을 하기 위하여 먼저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의 기상 및 수문특성 조사를 실시하였고,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 보은기상관측소의 지속기간별 강우 자료를 수집하여 확률분포를 선정하고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이에 따른 적합도 검정 결과 최적 확률분포형을 산정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통해 대상지역의 집수되는 면적에 내리는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집수되는 유형은 지붕으로서 그에 대한 면적은 $120.0m^2$로 측정되었고, 지붕에 대한 유출계수로서 0.9의 값을 적용하였다. 지붕에서 집수되는 유출량의 값을 산정하였으며, 6월의 50년 빈도에서 부족한 9.4톤은 집수된 유출량으로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50년 빈도의 10톤을 저류할 빗물은 저류조에서 30%의 여유율을 두어 13톤으로 저류조를 설계하는 것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빗물자원의 대부분은 바다로 유입되어 소모되거나, 하수로 유입되어 불필요한 고도처리공정이 진행되고, 하수처리장 용량에 과부하를 발생시키는 등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갈수기시 농가에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용수 운반장치 등 기반구축과 인력 부족으로 정상적인 용수공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빗물자원을 용수로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ling Way of Storm Water by Using Rain Garden (레인가든을 적용한 환경 친화적 빗물 처리방안 검토)

  • Kim, Sun-Mi;Lee, 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0 no.5
    • /
    • pp.58-66
    • /
    • 2007
  • 과거 빗물은 토양으로 흡수되어 정화작용을 거쳐 호수나 강으로 유입됨으로써 하천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개발로 인한 도시의 불투수층 증가로 빗물은 여과없이 도시의 오염물질을 쓸어 내리며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의 수질 오염이 날로 심해지고 범람하는 빗물은 짧은 시간에 도시를 물에 잠기게 한다. 오염물질을 함유한 빗물의 정화 및 빗물 유량 조절을 위한 방안으로 미국에서는 레인 가든의 조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레인 가든의 환경적 의의와 조성방법, 그리고 빗물로부터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미국의 관련 규정을 알아보고 레인 가든의 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레인 가든은 오염 물질의 하천 유입방지 및 빗물의 저장 역할 외에 도시지역에서 최소 관리로 생물 서식처 역할을 함으로써 생태도시 조성 기술을 한 단계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