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빗물저류조의 분산배치에 따른 첨두유출 저감효과 분석 - M 마을 사례 -

The Effect of Decentralized Rainwater Tank System on the Reduction of Peak Runoff - A Case Study at M Village -

  • 한무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금소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문정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
  • 곽동근 (포스코 건설 물환경사업본부)
  • Han, Moo-Young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 Seoul National Univ.) ;
  • Kum, So-Yoo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 Seoul National Univ.) ;
  • Mun, Jung-Soo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ep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wak, Dong-Geun (Water & Environment Division, Posco E&C)
  • 투고 : 2011.07.21
  • 심사 : 2011.11.16
  • 발행 : 2012.01.31

초록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많은 양의 비를 바로 하수관거로 유출시켜 관거 용량초과로 저지대침수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지금까지는 도시의 치수안전도를 높이기 위해 하수관거를 확장하고, 빗물펌프장의 용량을 증대하는 등의 방법을 주로 채택하고 있지만 많은 비용과 시간의 소비를 필요로 하여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최근 소방방재청과 수원시는 기존 우수배수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고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대처방안으로 다목적 분산형 빗물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의 상습침수지역인 M마을을 연구 대상지로하여 XP-SWMM을 이용하여 분산형 빗물저류조 적용에 따른 첨두유출 저감 효과를 확인을 위해 설치 개수, 배치유형(설치위치)을 다르게 하여 집중호우시 치수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3,000 용량의 빗물저류조 한 개를 설치할 경우 첨두유출이 15.5% 저감되었으며, 500$m^3$ 용량저류조를 6개설치하였을 때는첨두유출이 28%저감되었다. 빗물저류조 배치유형의경우 상류 지역에 가장 비중 있게 설치하고 중류, 하류 순으로 비중을 두어 설치한 형태가 가장 첨두유출 저감효과가 좋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다목적 분산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해석방법은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하수관거 용량을 증설하지 않고도 치수 안전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경제적으로 설계하고, 그 효과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Recently climate change and increase of surface runoff caused the urban flooding. Traditional way of dealing with urban flooding has been to increase the sewer capacity or construction of pumping stations, however, it is practically almost impossible because of time, money and traffic problems. Multipurpose DRMS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System) is a new paradigm proposed and recommended by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or both flood control and water conservation. Suwon City has already enacted the ordinance on sound water cycle management by DRMS. In this study, a flood prone area in Suwon is selected and analysis of DRMS has been made using XP-SWMM for different scenarios of RT installation with same total rainwater tank volume and location. Installing one rainwater tank of 3,000$m^3$ can reduce the peak flow rate by 15.5%. Installing six rainwater tanks of 500$m^3$ volume in the area can reduce the peak flow rate by 28%. Three tanks which is concentrated in the middle region can reduce peak rate more than evenly distributed tanks. The method and results foun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sign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DRMS at a flood prone area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sewer system without increase of the sewer capa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08). 도시유역 유출 수질 해석 모형의 실무 적용 가이드라인 : FFC-G2.
  2. 국토해양부(2009). 행정중심복합도시 빗물관리 계획수립 연구.
  3. 김미경, 이경환, 방기성, 박주석(2007). "제주도의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분산형 빗물관리 방안." 빗물학회지, 한국빗물학회, 제1권, 제1호, pp. 57-63.
  4. 김지태, 권욱, 김영복, 김수전(2006). "도시유역의 분담저류 방식에 따른 유출저감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호, pp. 915-922.
  5. 김현수(2003). 인천 침수피해지역의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6. 문창건, 박종영, 이정식(2009). "중소규모자연하천유역에서 홍수범람기법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76-1481.
  7. 유창열, 임수미(2009). "도시지역 유출해석 및 우수저류시설 설계 : 구례군 설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pp. 49-53.
  8. 이재준, 김호년(2008). "도시유역 저류지 위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B호, pp. 525-546.
  9. 이종형, 연기석(2008). "XP-SWMM 모형을 적용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8권, 제5호, pp. 151-161.
  10. 서울시(2010). "침수피해 중소상공인에게 100억 원 저리 대출." 2010년 9월 23일, 서울시 경제진흥본부 보도자료.
  11. 소방방재청(2009).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사업 설명자료
  12. 수원시(2009a). 먼내배수펌프장 설명자료
  13. 수원시(2009b). 수원시 물순환 관리에 관한 조례
  14. 수원시(2009c). 자연재난으로 인한 최근 4년간 피해현황자료
  15. 현경학, 안성식, 최정주, 정경영, 김성용, 박종배(2006). "공동주택단지 분산식 빗물관리시설의 적용 효과." 주택도시, 주택도시연구원, 제90권, 제9호, pp. 156-163.
  16. Pomeroy, C. A., Postel, N. A., O'Neill, P. A., and Roesner, L. A. (2008). "Development of Storm-Water Management Design Criteria to Maintain Geomorphic Stability in Kansas City Metropolitan Area Stream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EWRI, Volume 134, Issue 5, pp. 562-566. https://doi.org/10.1061/(ASCE)0733-9437(2008)134:5(562)
  17. Luk, G.K. (1999). "Evaluation of Dual-purpose Detention Pond Designs with the Stormwater Management Model (SWMM)", Canadian Water Resources Journal, CWRA, Vol. 24, Issue 4, pp. 331-342. https://doi.org/10.4296/cwrj2404331
  18. Huber, W.C., and Dickinson, R.E. (1988). Stormwater Management Model, Version IV: User's Manual. US EPA, Georgia.

피인용 문헌

  1. Analyzing the Effects and Costs of Flood Protection Measures at the Urban Catchment Scale vol.15, pp.4,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4.31
  2. An Experimental Study on Filtration Efficiency of Sand Filter Layers to TSS and COD in Non-point Source Pollutant vol.34, pp.5,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5.1477
  3. Development of flood inundation area GIS database for Samsung-1 drainage sector, Seoul, Korea vol.49, pp.12,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12.981
  4. Determining Optimal Volume and Quantifying Runoff Reduction Effects of On-site Stormwater Detention Facilities vol.13, pp.4, 2013,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4.257
  5.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lood Reduction Effects of Storm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Measures at a Catchment Scale vol.14, pp.4,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4.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