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빗물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sign and Constr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Low Impact Development Experimental Complex for Hydrological cycle (부산대학교 GI·LID 물순환 실증단지 계획 및 구축)

  • Lee, Jae-Hyuk;Yoon, Eui-Hyeok;Jang, Young-Su;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9-319
    • /
    • 2016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는 약 20% 증가하고 강우일수는 14% 감소하며 도시 기온이 최대 $3^{\circ}C$까지 증가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한 도시 물순환체계의 파괴는 도시물관리 여건의 악화로 이어지고 특히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한 도시 홍수 및 침수의 증가, 잦은 도시 고온 현상, 도시하천의 건천화로 수질 악화를 야기하는 실정이다. 이에 국토의 자연자원을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도시의 안전도와 가치를 높이기 위한 물관리 정책은 먼저 물을 순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통합적인 물관리 체계 확보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생원 관리를 포함한 소규모 분산관리 체계로 변화하여야 하며 이들 시설에 대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강건하고 통합관리쳬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인프라(GI, Green Infrastructure) 기반의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도적으로 기후변화 대비,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한 물순환 건전화를 위해 100대 국정화제에 포함시키는 등(2013.2) 도시계획 및 기반시설 설치 LID기법의 법제적 산업적 도입을 추진중에 있으나, LID 기술의 수자원 치수, 이수 및 환경 효율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효율성 검증 및 인증시스템의 부재, LID 기술의 무분별한 국외기술 도입으로 인한 효과 저감, LID 기술의 설계, 시공, 관리를 위한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지자체 지원 및 전문가 양성 시스템의 부재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GI 및 LID 기술의 적용을 통한 새로운 도시 및 유역차원의 수자원확보와 재해경감기술 패러다임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LID기술 신뢰도 향상 및 단일화, 표준화된 효율성 검증 기술 개발과 더 나아가서 도시-건축-수자원-도로-조경 등의 종합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LID기술 통합관리 및 기술 고도화를 위해 부산대학교 GI LID 물순환 실증단지의 계획 및 구축을 수행하였다.

  • PDF

Runoff Reduction Effect Analysis of Porous Asphalt Using Rainfall Simulator of Movable-Assemble Type (이동형 강우모의장치를 이용한 투수성 아스팔트 유출저감 효과 분석)

  • Jang, Youngsu;Park, Jaerock;Chun, Jonghyun;Park, Jaehyun;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2-382
    • /
    • 2018
  • 최근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인해 집중호우와 도시 내의 불투수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도심의 강우관리시스템이 한계에 달하여 수재해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영향개발 기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본 기법은 해당 지역의 강우를 분산식 빗물처리 하여 도시 내의 수문학적 특성을 개발이전 상태로 회복 및 유지하는 기술이다. 저영향개발 기법의 종류는 투수성 포장, 옥상녹화, 빗물정원, 식생저류지, 식생화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 기법 중 하나인 투수성 아스팔트에 대한 우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시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그린인프라 저영향개발 센터에서 주차장형 LID 시설의 투수성 아스팔트 포장과 대조군인 불투수 콘크리트 포장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포장체는 $10.85m(L){\times}2.3m(B){\times}0.9 m(H)$의 크기로 원지반 침투가 없는 박스형 실험시설로써 이동형 강우모의장치를 이용하여 인공강우실험을 실시하였다. 강우모의 시에 발생하는 지표유출 및 침투유출은 각 유공관을 통해 모니터링 박스에 차집되어 실시간으로 웹사이트 상에 저장된다. 저장된 자료를 이용하여 투수성아스팔트의 첨두유출량 저감, 지체시간지연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첨두유출량은 11%저감되었고 투수성 아스팔트와 불투수 콘크리트는 각각 3시간, 1시간 동안 유출되어 2시간의 차이를 보여준다.

  • PDF

Application of the Flowerbed Type Infiltration System for Low Impact Development - Focus on the Application to Eco-Village - (저부하형 개발을 위한 화단형 빗물침투시설 적용방안 - 생태전원마을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

  • Han, Young-Hae;Lee, Tae-Goo;Schuetze, T.
    • KIEAE Journal
    • /
    • v.12 no.3
    • /
    • pp.33-40
    • /
    • 2012
  • Since 2000 country region developmental policy has been to integrate not only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ving environment but also various subjects on ecology, environment, scenery, local culture, and green tourism. This study has recently established a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plan in order to provide an hydrology cycle system to the eco-village being planned by Seocheon-gun as a part of the garden village development business promo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ubject area is measured at $10^{-7}{\sim}10^{-10}m/sec$, and a flowerbed-type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non-point pollution source that stems from the development-caused impermeable surface has been applied. In the case of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main entrance way and parking lot within the complex being treated in the flowerbed-type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natural purification effects via soil and plants as well as natural water cycling effects through evaportranspiration and infiltration are expec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mpared to conventional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being applied limited to the urban areas, is that it offers appropriate rainwater management plan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ubject area.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is a valuable measure both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that reduces the burdens on local underground water cultivation as well as rain water pipe lines or purification systems, and sewage pipes.

Effects of Extensive Green Roof System on Rainwater Circulation (관리조방형 옥상녹화시스템이 우수순환체계에 미치는 영향)

  • Lee, Eun-Heui;Jang, Ha-Kyung;Ahn, G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4 no.4
    • /
    • pp.81-88
    • /
    • 2011
  • 본 연구는 관리조방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우수유출 저감 및 유출지연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7년~2010년의 4년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대상지는 서울여자대학교 행정관 옥상에 조성된 관리조방형 옥상녹화지로 2007년에 조성하였으며, 세덤류 및 다년생 초화류를 포함하여 총 18종의 식물을 식재하였다. 우수유출 저감 및 지연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옥상녹화지를 통과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유출수의 유입량 및 시간을 측정였다. 조사기간 중 총 24번의 강우사례를 분석한 결과 단위면적당 평균 약 90.3%(78.8~99.3%)의 유출량이 저감되었으며, 지연시간은 평균 약 1.6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분석해본 바, 빗물이 거의 전량 유출되는 도심의 건축물 옥상을 녹화함으로써 옥상에 유입되는 우수의 유출을 지연 및 저감시켜 도심의 수순환체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pplication of LID to Reduce Storm Runoff according to the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수 유출량 저감을 위한 저영향개발 시설의 적용 방안)

  • Kim, Min ji;Kim, Ji Eun;Park, Kyung Wo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3
    • /
    • pp.333-342
    • /
    • 2022
  • Due to climate change, increased heavy rainfalls result in flood damage every year. To investigate the storm-runoff reduction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this study performed runoff analyses using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for past and future representative storm events of the Yongdu Rainwater Pumping Station basin. As a result, the infiltration loss for representative future rainfalls increased by 3.17 %, and the surface runoff and peak runoff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by 32.50 %, and 128.77 %, respectively. To reduce the increased surface runoff and peak runoff ra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LID approaches, including a permeable pavement, green roof, and rain garden, by adjusting the LID parameters and the ratio of installation area. We identified the ranges of LID parameters that decreased peak runoff rate and surface runoff, and increased infiltration.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ratio of permeable pavement, green roof, and rain garden was 2:1:3, best performance was attained, leading to a reduction of peak runoff of 26.85 %, infiltration loss 12.01 %, surface runoff 15.11 %, and storage 509.47 %. Based on analyzing the effect of storm runoff reductions for various return periods, it was found that as the return period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eak runoff and surface runoff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infiltration loss and storage decreased.

Assessment of Flooding Vulnerability Based on GIS in Urban Area - Focused on Changwon City - (GIS 기반의 도시지역 침수 취약성 평가 - 창원시를 대상으로 -)

  • Song, Bong-Geun;Lee, Taek-Soon;Park,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4
    • /
    • pp.129-1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looding vulnerability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Changwon-si, Gyeongsangnam-do. Assessment Factors are water cycle area ratio, surface runoff, and precipitation. And construction of assessment factors and vulnerability was analyzed by GIS program. Water cycle ratio and surface runoff were vulnerable in urban area. Precipitation was often distributed in agriculture of the northern region. Results of flooding vulnerability were low in agriculture and forest of the northern region. In contrast, urban area was high because there has covered impervious land cover. Analytical results of flooding vulnerability density using hotspot spatial cluster analysis were high in urban area. And these areas were situated in down stream so flooding were generated. Therefore, flooding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is study can help for selecting construction sites of pervious land cover an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vestigation and Maintenance of Sewage Pipeline to Prevent Water Seepage (내수침수 방지를 위한 하수관로 조사 및 유지관리)

  • Kim, Jae Gu;Jo, Deo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9-109
    • /
    • 2023
  • 지구 온난화 등 기상이변으로 추정되는 단시간 동안 특정지역에 집중되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내수침수가 홍수재해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내수침수의 원인으로는 하수관로의 통수능력 부족(39%), 저지대 침수(37%), 내수배제불량(16%) 및 기타(8%)로 조사된 바 있으며, 이중 하수관로의 경우 용량 및 통수능 부족, 구배불량, 토사퇴적에 의한 배수 불량 등으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초자료의 조사가 우선 되어야 한다. 하수관로의 문제로 인한 내수침수의 원인으로 첫째 하수관로 내·외부 불량으로 인한 통수능 저하로 측구 및 빗물받이에 토사 등 장애물, 관로내부 장애물, 관로내부 불량(뿌리침임, 영구장애물, 관붕괴, 관파손, 관변형, 내피생성, 토사퇴적 등)이 있으며, 두 번째로 하수관로 구배불량과 마지막으로 외수위(또는 해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침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의 문제점은 많은 부분이 불탐지역으로 조사가 매우 어려워서 대안 없이 방치되는 실정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탐지역의 조사를 위한 장비의 개발 및 정밀조사를 통해서 하수관로를 진단하고 내수침수 예방을 위한 대책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계단부 관로조사용 내시경 VR장비, 준만관 조사용 부유식 VR장비, 가스 및 안전위험 지역 조사용 지하 드론 장비를 개발하여 시험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 하수관로 체계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하수관로 토탈 솔류션(nPASS) 시스템으로 내수침수대응 및 하수관로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하수관로의 선진화를 통한 내수침수예방의 시작은 불탐지역 하수관로 조사를 통한 정확한 원인 파악이며, 조사 및 축적되는 빅데이타를 기반으로 하수관로 토탈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trol and Level Measurement for a Rainwater Tank (우수 저류조 수위측정 및 제어에 대한 연구)

  • Kim, Kee-Hwa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2 no.4
    • /
    • pp.55-59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rainwater tank by installing an underground storage tank as one of way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to solve the water shortage and imbalance. For this purpose, a microprocessor of ATMEL's Atmega 128 is used for the control module, and th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water level uses a float type level sensor which is a kind of tactile sensor. In particular, the level sensor outputs the output in a industry standard dimension, so that the compatibility is improved so as to replace the existing sensor.

A case study about exterior space design of apartments using Linear infiltration system (선형침투시스템의 공동주택 외부공간 적용 방안 연구)

  • Moon, Soo-young;Kim, Hyeon-soo;Jang, Dae-hee;Lee, Keon-ho
    • KIEAE Journal
    • /
    • v.7 no.4
    • /
    • pp.9-15
    • /
    • 2007
  • As environmental problems and water-shortage phenomenon become a global issue, many states look for the effective method to use water resources. So,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is recognized as a new water management system that rainwater can be infiltrated and used on-site. But it is little difficult to build a park, lake, and forest for evaporating rainwater in city because the land price of city is very high. In order to build an excellent infiltration system for a dwelling and a park in Korea, KICT has developed Linear infiltration system. This infiltration system is consist of first flush treatment, storage and infiltration, overflow control system. These elements are connected closely and working as a combined system. A storm sewer can be changed by the linear infiltration system. This study is to show real application idea about Linear infiltration system with improving some detail in apartments. For this purpose, we devide application idea into the artificial ground and the natural ground and each ground type, suggest a method to cooperate with the other landscape and linear infiltration system. Through this study, we came to recognize a recognition difference of an expert and a commoner about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Design and construction of verification complex that checks the efficiency on water permeability of permeable pavement parking lot LID (투수 주차장형 LID 투수효율성 검증실험단지 설계 및 구축)

  • Lee, Eun Ku;Shin, Hyun Sh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7-317
    • /
    • 2016
  •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시설들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관련법에 따라 개발 및 적용 되어왔으나 국내에서는 최근에서야 LID 시설을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인 틀을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며, 국내 여건에 맞는 LID 시설을 개발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는 2014년 '서울특별시 빗물관리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를 발표함으로써 한국형 LID 시설을 대단위로 적용 하고 검증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서울시의 2014년 전부개정조례에 따르면 시장 및 구청장은 저영향개발 계획 수립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저영항개발 사전협의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하며, 시장은 저영향개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적용 가능한 투수포장 주차장을 설계 할 수 있도록 투수 주차장형 LID 시설을 검증할 수 있는 투수효율성 검증실험단지를 설계 및 구축 하였다. 과거 도심의 우수배제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으로 단기간에 우수를 차집하여 배제하는 방식이었으나, 근래에는 집중형 우수배제 시스템의 위험성, 경제성 그리고 용량한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분산형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순환도시 및 지속가능한 도시 등이 분산형 우수배제 시스템의 예이며, 주차장, 도로, 건물 등 불투수 표면으로부터의 우수를 지면으로 침투 및 침루시키는 방법 등을 활용하여 건전한 물순환을 꾀하고 있다. 침투 및 침루 능력은 각각 포장체 및 포장면 하부구조의 재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재료의 선정은 하부구조의 안정성 확보를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우수 배제를 위한 유공관은 접합점에서 강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유수를 배제할 수 있어야 하며, 저류조 설치는 강수의 활용목적에 맞게 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투수 주차장형 LID 시설은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포장체의 재료에 따른 공학적 성질, 하부구조 구축방법 및 재료 선정 그리고 유공관 배열 등에 따라 그 시스템의 거동이 변화하므로 기존에 행해왔던 단순 재료실험으로는 투수성 주차장의 우수배제 시스템을 평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투수효율성 검증실험단지 설계 및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