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빌레나무과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n flora :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Maesaceae] and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 [Brassicaceae] (한국 미기록 식물 : 빌레나무 (빌레나무과)와 꼬마냉이 (십자화과))

  • Moon, Myung-Ok;Tho, Jae-hwa;Kim, Chul Hwan;Kim, Chan-Soo;Kim, Moon-H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6 no.2
    • /
    • pp.153-161
    • /
    • 2006
  • Two Unrecorded species from Jeju Province are reported: Maesa japonica of Maesaceae which is unrecorded family and Cardamine tanakae of Brassicaceae. Monotypic family Maesaceae, is distinguished from Myrsinaceae and Primulaceae by having pedicels with a pair of bracteoles, flowers without staminodia, semi-inferior ovary and indehiscent fruits with many seeds. M. japonica is readily distinguishable from M. salicifolia in China and M. montana var. formosana in Taiwan and Japan by shapes of blades, corolla and bracteoles, the presence/absence of serrulation of leaf margins, ratio of length of corolla tube and corolla lobes, feature and color of fruit surface. C. tanakae is most similar to Korean endemic C. glechomifolia in morphology, however, the two taxa are readily distinguishable by the number of leaflets of cauline leaves, size of terminal leaflets,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the presence of whitish hairs on ovary and fruits.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of Maesa japonica Seedlings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 묘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

  • Min-Ji Park;Ju-Eun Yang;Chae-bin Lee;Yeon-Ok Seo;Byoung-Ki Choi;Eun-Young Im;Hyung-Soon Cho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0-30
    • /
    • 2021
  • 빌레나무는 국내에서 제주도 서부 곶자왈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며 개체수가 희소한 종이다. 본 연구는 광 환경이 빌레나무 묘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서귀포시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내 양묘장에 차광막을 이용하여 35%, 55%, 75% 차광 처리구를 설치하였고 노지에 비차광 처리구를 비교구로 설정하였다. 2019년 7월에 삽목 증식시킨 빌레나무를 2020년 5월에 각 처리구에 이식하였다. 2021년 3월에 각 차광 처리구의 모든 묘목의 묘고, 잎의 수, 줄기 수를 측정하고 생육이 건전하고 평균적인 묘목을 각 9본씩 굴취하여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35%, 55%, 75% 차광 처리구별 평균 묘고(cm)는 각각 53.2, 51.3, 41.4, 평균 잎의 수(개)는 41.3, 42.1, 24.4, 평균 줄기 수(개)는 3.1, 2.7, 2.2로 나타났다. 평균 묘고, 잎의 수, 줄기 수는 35% 차광 처리구와 55% 차광 처리구에서 75% 차광 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건중량 분석 결과, 35%, 55%, 75% 차광 처리구별로 평균 잎 건중량(g)은 각각 11.3, 9.5, 5.5, 평균 줄기 건중량(g)은 5.6, 5.3, 2.6, 평균 뿌리 건중량(g)은 4.5, 3.6, 2.6으로 차광률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모든 부위별 건중량은 처리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지상부 대비 지하부 비율은 75% 차광 처리구에서 0.35로 가장 높았으며 35%, 55% 차광 처리구에서 0.27, 0.26로 나타났다. 한편, 비차광처리구의 모든 묘목들은 2021년 1~2월경 지상부가 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빌레나무 묘목은 노지에서 생존률이 불량하고, 차광 처리 시 차광률 증가에 따라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빌레나무의 건전한 생육 및 유무성증식을 통한 보급 증대에 기여하기 위하여 향후 온도, 수분 등 여러 환경 인자를 조절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Artificial Shading on Flowering and Growth of Maesa japonica Seedlings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Maesa japonica)의 개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 Park, Min Ji;Seo, Yeon Ok;Choi, Hyung Soon;Choi, Byoung Ki;Im, Eun Young;Yang, Ju Eun;Lee, Chae bi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4 no.5
    • /
    • pp.462-469
    • /
    • 2021
  •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is a rare evergreen shrub that occurs in west Gotjawal, Jeju island,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n artificial shading on flower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 japonica seedlings. The level of shading had been set to be 35%, 55% and 75% using shading net. The stage of flowering and flowering ratio, seedling height, the number of leaves and stems, leaf area were measured. Flowering timings were delayed by shading. The number of flowering seedlings per plot and inflorescences per seedling were the most in 55% shading level. Tendency of decreased seedling height with increased shading level was shown. The number of leaves and stems were the fewest values in 75% shading level. The increased biomass with decreased shading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ground and underground biomass were 2.1 and 1.7 times higher in shading 35% than in shading 75%, respectively. Meanwhile, all seedlings in non-shading plots were dead in winter. Such might be speculated as results of the light stress.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M. japonica vitally demands the shading for growth and the optimal shading levels for growth and flowering are 35% and 55%, respectively.

Flora of Hangyeong Gotjawall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Area in Jeju-do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

  • Park, Ji-Hyun;Hyun, Hwa-Ja;Lim, Eun-Young;Kim, Chang-Uk;Chung, Jun-Ho;Kang, Shin-Ho;Song, Gwanp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61-61
    • /
    • 2018
  •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개가시나무와 백서향 등을 포함한 암괴지대의 상록활엽수림으로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산림유전자원 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곶자왈의 분포식물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라산 서쪽 곶자왈지역 중 곶자왈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2017년 6월부터 2017년 9월까지 20여 차례 현장조사를 통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기록 정리하였다. 조사지역의 식물은 총 83과 181속 236종 23변종 2품종 총 261종으로 조사결과 양치식물이 7과 18속 30종 2변종 32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1속 2분류군, 피자식물은 74과 162속 204종 21변종 2품종 227분류군 이었다. 그 중 쌍자엽식물은 67과 139속 179종 16변종 1품종 196분류군이고, 단자엽식물이 7과 23속 25종 5변종 1품종 31분류군이었다. 조사에서 확인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식물은 개가시나무 1종 이었다. 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총 9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등급별로는 V등급 검정개관중, 개가시나무로 2분류군, IV등급 백서향, 녹나무 등 12분류군, III등급 아왜나무, 호자나무 등 37분류군, II등급 올벚나무, 개산초 등 13분류군, I 등급 푸조나무, 자금우 등 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적색목록 식물을 분석해보면 취약(VU)은 개가시나무, 섬다래 등 3분류군, 준위협(NT)은 백서향, 약난초로 2분류군, 관심대상종(LC)은 골고사리, 새우난초 등 9분류군, 미평가종(NE)은 빌레나무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수 저지 곶자왈 지역의 생태학적 자료로 제주도 내 곶자왈과 비교하였을 때 맹아가 발달한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으로 향후 상록수림 천이에 의해 상록수 아래에 자라는 식물로 낙엽활엽수가 대체될 것으로 추정되어 지속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