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혼 남녀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비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for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Never married Choice)

  • 이정하;박정윤;윤나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183-214
    • /
    • 2017
  • 본 연구목적은 비혼 남녀들을 대상으로 결혼에 대한 생각과 비혼 선택 이유에 대한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하여 비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장기적으로 결혼의향이 없다고 밝힌 9명의 20대 중반에서 30대 후반 남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한 결과 2개의 영역, 10의 하위영역, 2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그 연구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결혼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결혼에 대한 기대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부모의 가부장적인 역할수행에 대해 자녀로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었으며, 부모처럼 살고 싶지 않음이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결혼생활을 부모로 부터 분리하여 바라보고 있지 못함도 보고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친밀한 대상과의 관계형성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반복되는 관계갈등 패턴으로 인해 배우자나 결혼에 대해 기대를 갖는 것이 더욱 어려웠음이 나타났다. 넷째, 참여자들이 결혼하지 않으려는 선택에 있어 경험 회피적 성향과 개별성 추구 성향이라는 심리적 측면이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결혼생활에 대한 실패를 예견하였고, 비혼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예상하는 불편한 감정과 고통들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시도임을 보고하였다. 또한 타인과의 연결(연합성)보다 개별성을, 집단적 가치보다 개인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부모나 주변 사람들의 결혼생활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는 비혼의 유형에 있어 소극적 요인에 더 가깝다고 보이는 바, 적극적 비혼 요인에 해당되는 대상들의 특성이 어떠한지 대해 차후의 연구로서 기대해 본다.

'싱글 라이프'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이 비혼 의지와 여가활동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 Life' Media Contents Viewing on Singlehood Culture and Leisure Lifestyles)

  • 나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235-246
    • /
    • 2022
  •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확산과 비혼의 증가라는 사회 트렌드의 요인으로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싱글 라이프'를 보여주는 관찰 리얼리티 및 유튜브 브이로그 콘텐츠의 증가는 1인 가구 확산이라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미 주류가 된 1인 가구들은 미디어 이용을 통해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의지를 공고히 할 수도 있다. "라이프스타일 변형적 리얼리티 콘텐츠" 관점에 따르면, 근래의 리얼리티 영상 콘텐츠는 단순히 오락과 재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의 현실 삶의 방식을 변화시킬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최근 '욜로(YOLO)'에서 '갓생'으로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인구 사회학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그 원인을 설명해온 가운데, 1인 가구 시청자들에게 '싱글 라이프' 관련 미디어 콘텐츠가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미혼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결과, '싱글 라이프'를 보여주는 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유튜브 브이로그의 이용이 많을수록 수용자의 동일시와 비혼 의지가 높았으며, 현재 중심적인 라이프스타일과 미래지향적인 라이프스타일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최근 경향이 청년층의 삶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의 함의에 대해 논했다.

성인 비혼 남녀의 비혼 유형 관련 요인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ypes of never-married among adult men and women)

  • 김지유;조희선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1-228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never-married types of adult men and women and explore factors related to these types. Never-married type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according to continuity and voluntariness: continuous voluntary type; changed voluntary type;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and changed non-voluntary type. Factors related to types of being single were examined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depression), dating relationship factors (current relationship status), original family factors (parental conflict, relationship with parents, parents' demand for marriage), marriage related factors (division of roles after marriage), and occupation related factors (work values, employment instability). Method: As for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never-married adult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35 and 49 living in Seoul, Gyeonggi or Incheon areas.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 distributed, data from 295 copies were processed using SPSS 24.0 program for multinomial logit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of never-married men respondents, continuous voluntary type accounted for 20.5%; changed voluntary type 18.9%;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49.6%; and changed non-voluntary type 11.0%.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among never-married men are age, religion, average monthly income, while the factors related to changed voluntary type are relig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frequency and strength of parental conflict, while the factor related to changed non-voluntary type men was living with parents. Examining never-married women respondents,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voluntary type accounted for 33.9%; changed non-voluntary type 19.6%;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22.6%; and changed voluntary type 23.8%. The factor related to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among never-married women was parents' demand for marriage, while the factors related changed voluntary type were age, depression and strength of parental conflict. Also, the factors related to changed non-voluntary type of never-married women were age, religion, living with parents, depression and parents' demand for marriage. Conclus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formed the largest group among never-married men, whereas continuous voluntary type was the majority in never-married women. Both never-married men and women chose to remain single when they are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al conflict is intense. Parents' demand for marriage was related to women, but not to men.

성인남녀의 비혼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인구학적 특징 및 가족가치관 요인을 중심으로 (Study on Non-Marriage Types and Related Factors among Young Unmarried Adults: Focu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mily Value)

  • 강유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1-25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factors influence various non-marriage types by considering reasons why adults are not married. The roles of individual characters and family values affecting each type of non-marriage were carefully considered. From the data of 'the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in 2015', 1,053 unmarried adults who were in their late 20s to middle 40s were selected. Results show that non-marriage types among unmarried adults were diverse. Depending on sex, the distribution of non-marriage types differed. While economic reasons were predominant among men, lack of opportunities for marriage was the main reason for most women who were not married. Findings also suggest that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s and family values were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each non-marriage type. These findings indicate a great deal of diversity in needs,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married young adults. This suggests that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unmarried adults can be related to prospectively various marriage behaviors and family patterns in our society in the future, and consequently life patterns will be different among the adult generation.

tvN 드라마 <백일의 낭군님>의 내러티브 특징과 현대적 요소의 활용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 Modern Elements of , a Drama of tvN)

  • 염원희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1호
    • /
    • pp.249-280
    • /
    • 2019
  • 본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 <백일의 낭군님>을 통해 퓨전사극의 관습이 무엇이며, 이를 바탕으로 장르 내부에서 개성적인 변주가 이루어지면서 대중성을 확보해가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한다. <백일의 낭군님>은 퓨전사극의 관습을 심화하는 방식으로 오히려 관습성을 탈피하고자 하였다. 기존 드라마에서 반복된 갈등의 역사를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시청자들이 쉽게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궁중 암투를 그리면서도 이와 분리된 공간을 설정하여 남녀의 로맨스를 충실하게 그려내었다. 두 개의 개별적인 수수께끼를 제시하여 내러티브를 풍부하게 만들었다. 또한 '비혼'과 기득권의 횡포라는 사회문제를 이야기하고, 시대상을 반영한 인물과 신조어와 줄임말을 활용한 대사 등 현대 문화의 조선적 해석을 시도하여 과거로 오늘을 보는 것이 아니라, 오늘의 시각으로 과거를 보는 시점을 취하여 새로움을 선사했다. 드라마 콘텐츠의 성공은 관습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무엇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하는 데 있다. <백일의 낭군님>은 퓨전사극의 현재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드라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