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협동 운용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협동 릴레이와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용량 분석 (Capacity of Multiuser Diversity with Cooperative Relaying in Wireless Networks)

  • 정희진;문철;서정태;유강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6C호
    • /
    • pp.423-428
    • /
    • 2008
  • 본 논문은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를 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협동 다이버시티를 사용할 경우, 하향링크 채널에서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와 협동 다이버시티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협동 다이버시티 링크의 수신 신호 대 잡음비 분포를 감마 분포로 근사한 후, 다수의 협동 다이버시티 링크들이 fair-access 스케줄링 되는 단일 셀에서의 평균 용량을 해석적으로 구한다. 제안하는 해석방법을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으며, 각 링크에서 수신 신호 대 잡음비의 변동을 줄여주는 협동 다이버시티가 다수 링크들의 수신 신호 대 잡음비의 변동성을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의 성능을 저하시킴을 용량 분석을 통하여 보여준다.

국내 디지털 지갑 간 상호운용을 위한 기술적·정책적 고려사항

  • 이강효;유주열;김경백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4
    • /
    • 2024
  •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지갑이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 지갑은 이용자의 신원을 보장하고 안전하게 정보를 보관하며,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활용 가능해야 한다. 특히, 블록체인, DID, 비블록체인 디지털 지갑 간 상호운용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준비와 기술 발전이 필요하다. 디지털 지갑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술적 요소 외에도 정책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관련 연구와 기술 표준을 마련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지갑 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고 서비스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정책적 관점의 고려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비협동 양상태 소나 시스템을 위한 펄스식별 자동화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Pulse Classification Method for Non-cooperative Bi-static Sonar System)

  • 김근환;윤경식;김성일;정의철;이균경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8-165
    • /
    • 2018
  • Recently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the bi-static sonar. However, since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operate on different platforms, it may be necessary to operate the system in a non-cooperative mode. In this situation, the detection and localization performance are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received pulse from the transmitter to overcome the performance limi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robust automatic pulse classific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real systems. The proposed method eliminates the effects of noise and multipath propagation through post-processing and improves the pulse classification performance. We also verified the proposed method through the sea experimental data.

협동교전능력을 위한 자료융합 구조와 비선형 통계적 트랙 융합 기법 (Structure of Data Fusion and Nonlinear Statistical Track Data Fusion in 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 정효영;변재욱;이새움;김기성;김기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호
    • /
    • pp.17-27
    • /
    • 2014
  • 협동교전능력과 네트워크 중심의 교전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분산형 추적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이러한 분산형 추적 시스템 연구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거대화에 의해 비선형 시스템에서의 추적 필터와 자료융합기술 개발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협동교전능력 응용을 위해 측지좌표계 기반의 분산형 추적 시스템에 적합한 트랙 융합구조에서 비선형 시스템 환경 하에 운용할 수 있는 비선형 자료융합 기법의 문제를 정립하고 그에 적용 가능한 기법들을 소개하고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비선형 시스템에서는 최적의 트랙 융합 기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상호 공분산을 구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크게 간소화 기법과 근사화 기법의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 간소화 기법에서는 sample mean과 Millman formula의 두 가지 추정치 융합 기법을 유도할 수 있고, 근사화 기법에서는 해석적 선형화 기법과 통계적 선형화 기법의 두 가지 추정치 융합 기법을 유도할 수 있다. 소개된 네 가지 융합 기법을 모의 실험한 결과 각 플랫폼의 추정치 공분산 정보만을 이용하여 필터의 매 단계에서 최적의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는 Millman formula 추정치 융합 기법과 적은 복잡도로 보다 정확히 플랫폼들의 상관 공분산을 근사화 할 수 있는 BCS 융합기법이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경도측정을 이용한 고온 사용설비의 잔여수명 예측

  • 김재철;이해무
    • 기계저널
    • /
    • 제32권4호
    • /
    • pp.351-357
    • /
    • 1992
  • 고온 사용 설비의 잔여수명을 진단하는 비파괴적인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현장에서 간단히 측 정을 함으로써 경년열화 정도를 비교적 쉽게 알아낼 수 있는 경도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방법은 크립손상 평가뿐만 아니라 피로 손상 평가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장 보편화된 방법 중의 하나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노후화된 고온 사용 설비가 상당수되기 때문에 설비의 안전성이나 경제적인 운용을 위해서 이들의 손상 정도를 정 기적으로 진단할 필요성이 매우 크나 이에 대한 연구 성과는 외국에 비하여 미미한 편이기 때 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되나. 특히 현장에서는 휴대용 시 험기를 사용하여야 하나 수명평가에는 비커스 경도값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경도 환 산에 대한 D/B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 기술의 습득 및 손상 평가의 정확도 향상, 새로운 방법들의 개발 그리고 이들의 현장 적용 등을 위해서는 실기 사용재의 입수, 정보교환,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개발을 위한 D/B 구축 등 산 . 학 . 연의 협동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

벡터필드 유도기법이 적용된 다수 무인기를 이용한 적 방공망 제압 임무의 실험적 검증 (Experimental Validation of Multiple UAVs with Vector Field Guidance for SEAD(Suppression of Enemy Air Defense))

  • 정우영;김기덕;이성헌;방효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2-287
    • /
    • 2015
  • 현대전에서 적 방공망 제압 임무는 과거에 비해 그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본 임무는 적의 방공망에 아군의 항공기와 조종사가 노출되는 위험을 안고 있어,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벡터필드 유도기법을 이용하여, 다수 무인기의 적 방공망 제압 임무를 설계하였다. 벡터필드 유도기법은 다른 유도기법들에 비하여 계산 량이 적고 쉽게 응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어, 다수 무인기 운용에 해당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무인기간의 상호 협동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임무를 계획할 수 있다. 따라서 벡터필드 유도기법을 이용한 다수 무인기의 적 방공망 제압 임무의 설계방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비행실험을 통하여 그 운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평가 스트림 추세 분석을 이용한 추천 시스템의 공격 탐지 (Attack Detection in Recommender Systems Using a Rating Stream Trend Analysis)

  • 김용욱;김준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5-101
    • /
    • 2011
  •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아이템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여 책, 영화, 음악 등과 같은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시스템이다. 추천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활용하는 기법은 협동적 여과 기법이며, 협동적 여과 기법은 추천 대상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할 때 유사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이용한다. 협동적 여과 기반 추천은 시스템 공격자가 악의적 목적을 가지고 아이템에 대한 평가를 조작하였을 경우 추천 성능이 저하되며, 이와 같은 추천 시스템에 대한 악의적 행위를 추천 공격이라 한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평가 데이터를 데이터 스트림 관점에서 분석하면 추천 시스템의 공격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동적 여과 기반 추천 시스템에서 아이템 평가의 스트림 추세를 이용하여 추천 시스템에 대한 공격을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평가 데이터를 구성하는 아이템 평가 정보는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화되는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정 주기에 따라 아이템의 평가 변화를 측정하면 추천 시스템의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평가 스트림을 공격 탐지 검사 주기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스트림 추세와 비교하여 비정상적인 스트림 추세를 탐지한다. 본 논문에 제안한 기법을 추천 공격에 적용하면 추천 시스템의 운용성과 평가 데이터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무인 지상 전투 체계의 협동 교전 모델링 및 분석 (Modeling and Analysis of Cooperative Engagements with Manned-Unmanned Ground Combat Systems)

  • 한상우;변재정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05-117
    • /
    • 2020
  • 현대합동작전의 기본 개념인 '효과중심의 동시·통합작전'에 부합하도록 신규 무기체계의 작전 요구 능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무인 무기체계 간의 전술적 협동 개념을 고려한 전투 효과분석이 요구된다. 그러나 수학적, 통계적 모형 등 해석적 기법으로는 비선형전 하에서의 복합체계 효과를 모의하기가 곤란한 실정이다. 이의 대안으로 실제 전장 상황과 유사하도록 시뮬레이션 환경을 조성하고 신규 무기체계가 작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모의 분석 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유·무인 전투개체 간의 협동 교전 개념을 모의할 수 있는 전투 모의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미래 지상 체계의 요구 능력을 고려하여 로봇, 드론 등 무인전투개체와 전투원, 야포 등 유인전투개체를 모델링한다. 그리고 각 개체들이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장 상황 정보를 공유하며 전투를 수행하는 전술적 과업을 모의한다. 마지막으로 소부대 기갑수색정찰 시나리오 하에서 정찰용 지상로봇 운용 시 표적 획득률, 원격 통제 성공률, 수색 소요 시간, 작전간 생존율, 적 손실률 등의 전투효과를 모의실험을 통해 산출함으로써 개발된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향후 제안된 모델은 유·무인 지상무기의 효과 분석은 물론 각종 워게임 전투 실험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지역신협의 성장의 특징 (On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of Regional Credit Unions in Korea)

  • 김명록;최진배
    • 지역연구
    • /
    • 제32권4호
    • /
    • pp.75-90
    • /
    • 2016
  • 한국 지역신협은 1960년부터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조합원의 자발적인 운동을 통해 설립되고 성장해 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다른 금융협동조합과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그것의 정체성이 약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논의는 지역신협의 성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거의 주목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 논문은 지역신협의 성장방식을 분석하고 그것의 특징을 도출하려 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논문은 신협 중앙회에서 제공한 2004년~2015년 개별조합의 재무제표와 대출 및 예금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이 논문에서 밝혀낸 것은 다음과 세 가지이다. 먼저, 2000년대 지역신협의 성장에는 성장논자의 논리가 반영되어 있다. 둘째, 지역신협의 성장은 자금조달면에서는 비과세 예금에 그리고 운용면에서는 거액대출, 담보대출 및 기타담보대출에 의존하고 있다. 셋째, 지역신협의 성장방식은 장기적으로 자산건전성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수익성에도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신협의 지속가능성에 부정적이다. 지역신협은 협동조합으로서 정체성을 강화하여 지역밀착경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극지공학에 있어서 산학연구의 국내외 전망 I

  • 최경식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7-63
    • /
    • 1995
  • 극지개발을 위해서는 극지의 혹독한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지식과 극지에서 사용되는 특수시설과 장비를 설계, 시공 그리고 운용하는 공학기술이 요구된다. 극지관련 공학기술은 저 온용재료 관련기술, 도로나 교량, 건축물과 같은 극한지 천연자원의 시추와 생산, 수송을 위한 해양구조물과 파이프라인 관련기술, 그리고 얼음의 재료특성에 관한 이론 및 실험으로 크게 구 분할 수 있다. (Table 1). 극지용 구조물과 빙해항행선박 (쇄빙선) 은 일반 해역에서 운용되는 구조물에 비해 형상, 구조강도, 의장, 저온특수설비 등에서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 요구되기 때 문에 금후 국내 조선해양산업계가 지향해야 할 고도의 기술집약형 건조물이다. 또한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시베리아 천연자원의 해상운송을 위해 빙해역을 운항할 수 있는 유조선이나 일반 화물선을 확보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국내 조선업계의 생산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외국으로부터의 빙해항행선박의 수주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이들 선박의 설계를 위한 독자적인 기술은 미흡한 현실이다. 극지개발은 이론적 접근과 함께 실험에 의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축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빙해수조(,ice model basin)의 건조나 빙역학 실험을 위한 냉동실험실 (cold room)의 건립을 위한 초기투자가 절실히 요구되며 산업계의 수 요에 따른 포괄적인 산학협동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빙해수조와 냉동실험실은 빙 해역에 직접 접하지 않은 국가에서 극지공학 연구에 참여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설인데 table 2에 대표적인 빙해수조의 설치장소와 규모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 글은 우리 나라가 쉽게 접할 수 없는 극지환경을 이해하고 가까운 장래에 예상되는 수주경쟁에 대비하여, 국내외의 극지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국내의 극지관련 연구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기 위하여 준비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극지공학 일반보다는 조선해양분야에 관련된 내용만으로 국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