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치료적 약물사용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 of Clinical Improvement of Schizophrenic Symptoms on $^{99m}Tc$-HMPAO Brain SPECT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 증세 호전에 따른 $^{99m}Tc$-HMPAO 뇌 SPECT 소견의 변화)

  • Shin, Chul-Jin;Koong, Sung-Soo;Chung, In-Wo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1 no.3
    • /
    • pp.310-319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regional blood flow changes of frontal, temporal, and basal ganglia in eleven schizophrenic patients on DSM-IV criteri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CBF and clinical improvement of symptoms.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imaging with $^{99m}Tc$-HMPAO was peformed in baseline and sixth weeks after the treatment, and concurrently psychopathology was assessed by PANSS. Antipsychotics wash-out period was more than 2 weeks, and three patient were drug naive. All patients were final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improved or not improved.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amount of rCBF changes between two groups. Finally, frontal activity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both groups show decreased frontal blood flow after antipsychotic treatment. However, the change of right temporal rCBF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ange of the total PANSS score, and the change of left temporal lobe activity was greater in the improved group than in the not improved group.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temporal lobe activity has relation to the underlying schizophrenic symptoms.

  • PDF

A Clinical Study on Tumors of the Parapharyngeal Space (부인두강 종양의 임상적 고찰)

  • Kim Young-Min;Rho Young-Soo;Park Young-Min;Lim Hyun-Jo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0 no.1
    • /
    • pp.38-45
    • /
    • 1994
  • 부인두강(Parapharyngeal space)는 비인두강과 구인두강에 인접하여 위로는 두개저, 아래로는 설골사이에 위치하는 해부학적 잠재공간으로 이곳에 발생하는 종양은 매우 드무나 다양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며 인접한 중요장기들로 인한 수술적 어려움으로 두경부 외과의사의 관심이 되어 왔다. 최근 CT나 MRI의 도입으로 이학적 검사가 어려웠던 이부위의 진단에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고, 발달된 수술방법의 사용으로 크기가 매우 큰 종양도 절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1990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한림대학교 이비인후과학교실에서 술전 CT나 MRI를 시행한 후 조직검사로 확진된 부인두강 종물 22례의 후향적 임상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양성종양이 11례(30.0%), 악성종양이 11례(50.0%)로 빈도에 차이는 없었다. 2) 종양의 조직학적 기원은 타액선종양이 10례(45.5%)로 가장 많았으며 신경종양이 4례(18.2%)였고 기타 종양이 8례(36.4%)로 다양하였다. 3) 방사선학적 진단방법으로는 18례(81.8%)에서 CT를 시행하였고 필요한 경우에 MRI를 5례(22.7%), 혈관조영술을 3례(13.6%)에서 시행하였다. 4) 치료방법으로는 악성종양은 수술 및 방사선치료 또는 항암약물요법을 병리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단독 또는 병합하여 시행하였고, 양성종양의 경우에는 모두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수술방법은 경이하선 접근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5) 추적조사는 평균 20개월로 양성종양의 경우는 모두 종양의 재발이 없이 치료되었으나 악성종양 중 전이암 1례와 악성 임파종 1례가 사망하였다.

  • PDF

A Study on Clinical Features and Pharmacologic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Trigeminal Neuralgia (삼차신경통의 임상 소견과 약물 치료에 관한 연구)

  • Ko, Yu-Jeong;Kim, Kyun-Yo;Hur, Yun-Kyung;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2
    • /
    • pp.207-216
    • /
    • 2009
  • Trigeminal neuralgia is defined "a sudden, usually unilateral, severe, brief, stabbing, recurrent pain in the distribution of one or more branches of the fifth cranial nerve". The initial treatment of choice for trigeminal neuralgia is medical therapy. In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pain or intolerable medication side effects, invasive therapeutic approaches are often necessary. Based on the amount of evidence and estimated efficacy, carbamazepine is the drug of choice in the management of trigeminal neuralgia. In case of insufficient or no response to carbamazepine, second-line drugs can be added.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review and analyzed the cases of 90 patients whom had visited for treatment of trigeminal neuralgia at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3 to 200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rigeminal neuralgia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with advancing age, and nearly twice as common in women than men (ratio of 2.1:1) 2. The maxillary branch of the trigeminal nerve involved most often (51.1%), and the right side of the face is affected more commonly than the left (ratio of 2.9:1). 3. 85(94.4%) patients had experiences visiting medical or dental specialties before being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4. 40(44.4%) patients with trigeminal neuralgia had systemic diseases. 5. Treatment with carbamazepine monotherapy was satisfactory initially in 69(76.7%) the patients, and the mean daily dose of carbamazepine was 402.9mg. On the other hand, 16(17.8%) patients expressed effectiveness after combination therapy of carbamazepine and other drugs. 6. Of the 69 patients who had a good initial response to carbamazepine monotherapy, 18 patients became resistant, so that combination therapy of carbamazepine and other drugs were necessary. 7. 54(60%) patients developed side effects such as dizziness, drowsiness, nausea, vomiting, blood dyscrasias, skin rash and constipation, and 11 of the patients decided to stop tmedicaion due to side effects.

Splenic Irradiation in Chronic Myeologenous Leukemia (만성골수성백혈병 15예의 비장조사)

  • Oh Yoon Kyeong;Kwon Hyung Chul;Yoon Sei Chul;Bahk Yong Whee;Kim Choon Choo;Kim Dong Jip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3 no.2
    • /
    • pp.137-144
    • /
    • 1985
  • Radiation therapy w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CML in the past, in the form of SI or radioactive phosphorus. Its use has been replaced to a large extent by various chemotherapeutic agents. Recently SI in CML has been used, both to relieve painful splenomegaly and to take advantage of an indirect effect of SI on unirradiated bone marrow. We have treated 15 CML cases who had a huge spleen during chemotherapy or even after chemotherapy by 6 MV linear accelerator during the past two years at the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Kang 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College. Response to SI has been rated according to the scoring system of Roger W. Byhardt, et al. which evaluated the splenic and hematologic response as well as the response of disease-related systems. According to this scoring system, most pati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lief of splenomegaly along with improvement of hemogram. And we observed the change of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after SI, and survival after a confirmative diagnosis and SI.

  • PDF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dache comorbidity with epileps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에서 동반된 두통의 역학과 임상적 특징)

  • Rho, Young 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0 no.7
    • /
    • pp.672-677
    • /
    • 2007
  • Purpose :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comorbidity with epileps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specialty epilepsy clinic. Methods : Two hundred twenty nine consecutive patients attending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Pediatric Epilepsy Clinic (mean age $10.0{\pm}4.1\;years$, range 4-17, M:F ratio 1.1:1.0) were interviewed with a standardized headache questionnaire. Headach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2nd Edition and epileps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Disability was assessed using pediatric migraine disability assessment (PedMIDAS). Results : Of the 229 epilepsy patients, 86 (37.6%) had co-morbid headache. Of the headache patients, 64 (74.4%) had migraine (65.6%- migraine without aura, 20.3% - migraine with aura, 14.1% - probable migraine). The mean headache frequency was $7.2{\pm}8.4$ per month, mean duration was $2.2{\pm}4.0$ hours, mean severity was $5.2{\pm}2.2$ out of 10, and mean PedMIDAS score was $13.0{\pm}35.4$. The proportion of females was not higher in epilepsy with headache patients (48.8%) compared to epilepsy patients alone (48.0%). In the patients with migraine, 48.4% had complex partial seizures, 17.2% had simple partial seizures, and 34.4% had generalized seizures (P=0.368). A postictal association of migraine was reported in 18.8% with 17.2% reporting a preictal headache, and 7.8% reporting an ictal headache.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headache in pediatric epilepsy is higher than that in general pediatric population, suggesting a co-morbidity of headache in epilepsy patients with migraine being the most frequent headache disorder. Altered cerebral excitability resulting in an increased occurrence of spreading depression may explain the headache comorbidity with epileps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etiology of this co-morbidity as well as assess the frequency, duration, severity and disability response to antiepileptic drugs.

위평충제치료소아소화성궤양98례임상관찰여수방보고(胃平沖劑治療小兒消化性潰瘍98例臨床觀察與隨訪報告) -위평충제(胃平沖劑)로 소아 소화성궤양 환자 98예(例)에 대한 임상치료 및 추적관찰 결과에 대한 연구-

  • Jin So-Jeong;Yun Hye-Min;Lee So-Jeong;Yeon Yun-Guk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15 no.1
    • /
    • pp.261-265
    • /
    • 2001
  • 소아의 소화성궤양은 소아 소화계질환 중에서 발병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최근 소아과에서 내시경의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장기적으로 반복하여 위완통(胃脘痛), 변혈 (便血)및 구혈(嘔血)이 나타나는 경우 궤양성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원에서는 유명한 중의사 왕붕비(王鵬飛) 교수의 비완통(脾脘痛) 치험방을 토대로 많은 임상을 거쳐 위평충제(胃平沖劑)를 개발하여 1992년6월부터 1997년12월까지 위내시경 검사를 통하여 위궤양으로 진단된 98명의 소아환자에게 투여하여 관찰한 바 만족스러운 효과가 나타나 이를 보고한다. 위평충제(胃平衝劑)의 처방구성은 자초(紫草), 청대(靑黛), 곽향(藿香), 유향(乳香), 회향(茴香), 정향(丁香), 황련(黃連), 적석지(赤石脂), 황정(黃精) 등이다. 한의학적 이론에 따르면 불규칙하고 자극성이 강한 음식섭취 습관은 비위(脾胃)를 손상시켜 중주(中州)를 옹체(壅滯)시키므로 기(氣)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통즉통(不通卽痛)의 기전으로 발전한다. 또한 근래 소아들이 각종 정신적인 압박으로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간기울결(肝氣鬱結)을 초래하여 울화(鬱火)로 인하여 혈락(血絡)이 손상되면서 출혈증상이 나타난다. 왕교수의 견해에 따르면 체내에 어혈이 제거되지 않으면 기혈(氣血)의 순환이 더욱 악화되어 어적(瘀積)이나 궤양 또는 경새(梗塞) 등을 일으키게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위평충제(胃平沖劑)는 활혈화어(活血化瘀), 청열해독(淸熱解毒)과 더불어 익기양위(益氣養胃), 거어지통(祛瘀止痛)의 효능이 있는 약물들로 구성되었다. 동물실험에서 위평충제(胃平衝劑)는 궤양표면을 보호하고 치유하며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위액의 분비, 위단백질효소의 활성에 대한 억제 및 진통효과도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한 중약 투여는 일부 양약에 의한 소아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더 많은 임상연구가 이어져야 한다.(當歸) 목단피(牧丹皮)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枸杞子) 산수황육(山茱黃肉)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비신양허형(脾腎陽虛型)은 온보비신(溫補脾腎) 화어척담(化瘀滌痰)을 원칙으로 하며, 처방에는 구마황( 灸麻黃)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단삼(丹蔘)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반하(半夏) 보골지(補骨脂) 선령비(仙靈脾) 태자삼(太子蔘)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치험(治驗): (1) 천식의 실증(實證)은 치료를 한 뒤 완화단계에 접어들면서 허증(虛證)으로 전화되는데, 허천(虛喘)도 역시 천식이니 만큼 단순히 보법(補法)만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시종일관 천식치료에는 척담화어(滌痰化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폐내(肺內)의 담어(痰瘀)가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폐(肺)의 순환기능을 개선시켜 기도(氣道)의 염증을 신속히 흡수하고 치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약 3-6개월이 필요하다. 완화단계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완치될 확률도 높아진다. (2) 급성기 천식은 폐(肺)를 다스려야 한다. 폐(肺)를 다스리는 방법에는 선폐(宣肺), 청폐(淸肺), 온폐(溫肺), 윤폐(潤肺) 및 척담거어(滌痰祛瘀) 등이 있다. (3) 증상이 완화되면 신(腎)을 다스린다. 천식은 신허(腎虛)가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완화단계에서 심지어 발작기에도 보신제(補腎劑)를 추가하여 사용하면 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비(脾)의 기능을 강화하여 근본을 채우는 부비배본(扶脾培本)도 중요하다. 후천의 수곡정미(水穀精微)로 선천을 충족시키고 자양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 PDF

중의치료소아효천임상관찰(中醫治療小兒哮喘臨床觀察) -소아천식에 대한 중약치료의 임상관찰-

  • Yun Hye-Min;Yang Yeon;Jang Ryeo-Yeong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15 no.1
    • /
    • pp.267-270
    • /
    • 2001
  • 소아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및 과민반응을 특징으로 나타내고 있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부터 차단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현대의학에서 이미 밝히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천증(喘證)에 본디 뿌리 깊은 근원(천유숙근(喘有夙根))이 있다고 간주하여 허약한 체질은 내적인 요인이고, 풍한침습(風寒侵襲)은 유발요인이며, 담음복폐(痰飮伏肺)와 신기휴허(腎氣虧虛)는 재발의 근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천식에 구마황(灸麻黃), 은행(銀杏), 건강(乾薑), 오미자(五味子), 백전(白前), 구백부(灸百部), 소자(蘇子) 등을 사용하였고, 경우에 따라 황기(黃?) 혹은 선령비(仙靈脾)를 추가하여 正氣(正氣)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마황과 건강, 오미자 등은 모두 기도의 염증세포 침윤(浸潤)를 억제하고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으며, 건강과 오미자는 또한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효과(拮抗效果)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 추출물은 혈소판 활성화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들로 인한 기관지의 경련을 방지하여 천식증상을 왕화시킨다. 구백부(灸百部)는 지해(止咳)효과가 뛰어나다. 소아천식에 대한 치료는 표본동치(標本同治)의 원칙을 지키며, 증상이 완화된 단계에서도 중약 투여를 1-2개월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에게 있어서 천식증상이 완화된 후 어혈(瘀血) 상태가 성인에 비해 심하지는 않지만, "구병필어(久病必瘀)"의 결과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천식이 장기간 지속되면 필히 혈액순환 장애가 수반되므로 천궁(川芎)이나 단삼(丹蔘) 등의 활혈제(活血劑)를 가미하여 사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소아의 천식은 항염증, 평천(平喘), 화담(火痰), 지해(止咳)와 더불어 보신익기화어(補腎益氣化瘀)의 약물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한 중약 투여는 일부 양약에 의한 소아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더 많은 임상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 PDF

Fluticasone Propionate and Beclomethasone Dipropionate in Asthmatic Patients (천식환자에서 Fluticasone propionate와 Beclomethasone dipropionate의 치료효과 비교)

  • Yang, Dong-Kyu;Kim, Young-Sam;Ahn, Chul-Min;Ko, Won-Ki;Chang, Joon;Kim, Sung-Kyu;Lee, Won-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7 no.5
    • /
    • pp.629-641
    • /
    • 1999
  • Background: Corticosteroid is most potent and effective anti-inflammatory medication currently available and inhaled form has been used in the long-tenn control of asthma. Fluticasone propionate(Flixotide/Flovent: FP) is highly potent and topically active inhaled corticosteroid and has at least twice the potency of beclomethasone dipropionate(BDP) in the control of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FP and BDP in several aspects. Method: Fifty patients with asthma were treated in a randomized, parallel group study of 4 weeks duration. During 2-week run-in period $\beta_2$-agonist was administered. After run-in period, FP $500{\mu}g/day$ was administered via Diskhaler or BDP $800{\mu}g/day$ via reservoir dry-power device. During the run-in and treatment period, morning and evening 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were measured daily. Daytime and nighttime asthma symptoms, daytime and night-time rescue bronchodilator use were checked daily. $FEV_{1.0}$ and FVC were measured biweekly in both groups. Results: Three patients treated with FP and seven patient treated with BDP were dropped out. Therefore forty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Morning and evening PEFR was increased and diurnal variation of PEFR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FEV_{1.0}$ increased significantly in FP treatment group but not in BDP group. There were also improvements in daytime and night-time asthma symptoms, daytime and night-time rescue bronchodilator use in both groups after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ny of the efficacy parameters. Therapeutic effects were demonstrated earlier in patient treated with FP than BDP. Conclusion: In this study, $500{\mu}g/day$ fluticasone propionate was as effective as $800{\mu}g/day$ beclomethasone dipropionate in the control of asthma. Therapeutic effects were demonstrated earlier in patient treated with FP than BDP without adverse effect.

  • PDF

Bioactive Functions of Detoxified Puffer Liver Oil (제독처리한 복어 간유의 생리활성)

  • 최종원;김나영;김동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7
    • /
    • pp.1126-1131
    • /
    • 200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toxified puffer liver (PL) oil on fatigue, hepatotoxicity and hyperlipidemia. There are no toxicities in both raw and purified PL oil. The test of swimming time was extended in detoxified PL oil pre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When rats treated with PL oil, the hepatic injurie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or DL-galactosamine were reduced. The increased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by poloxamer-407 were lowered by treating with PL oil remarkably. Also the bleeding time of hyperlipidemic animals was extended and plasma clotting time was delayed by PL oil.

Evaluation of the Bioequivalence of Simvastatin 20mg Tablets in Healthy Volunteers (조코 정에 대한 엘바스타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 Yun, Hwi-yeol;Kang, Wonku;Kwon, Kwang-il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15 no.1
    • /
    • pp.41-45
    • /
    • 2005
  • 심바스타틴은 cholesterol 생합성 과정에서 속도 조절 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강력한 상경적 길항약으로서 고지혈증 치료에 널리 쓰이는 약물이다. 심바스타틴 제제인 MSD 사의 조코 20 mg정을 대조약으로 하여 시험약인 유영 제약의 엘바스타 20mg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를 하기 위해 22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모집하였다. 지원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2정씩 투여하였고 $2{\times}2$ 교차시험을 실시하였다. 심바스타틴의 혈장 중의 농도를 정량하기 위하여 발리데이션된 LC/MS/MS를 사용하였다. 채혈 시간은 투약 전 및 투약 후 0.5, 1, 1.5, 2, 2.5, 3, 4, 6, 8, 10, 12 시간에 걸쳐 총 12시점에 걸쳐 시행하였다. 생물학적 동등성을 판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12시간까지의 혈장 중 농도곡선 하 면적 ($AUC_{12hr}$)과 최고 혈중 농도($C_{max}$)를 사용하였다. 12시간 까지의 혈중 농도 곡선 하 면적의 기하 평균은 $17.30ng{\cdot}ml/hr$(시험약)과 $17.35ng{\cdot}ml/hr$(대조약)으로 나타났다. 최고 혈중 농도의 경우 각 각 5.08 ng/ml(시험약)과 5.20 ng/ml(대조약)으로 관찰 되었다. $AUC_{12hr}$의 경우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0.8510 - log1.1694이었고, $C_{max}$의 경우 log0.8176 - log1.1649로 계산되어 두 항목 모두 log0.8-log1.25이어야 한다는 식품의약품 안전청과 FDA의 기준을 모두 만족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시험약 엘바스타 정 20mg은 대조약 조코정 20 mg에 대하여 생물학적 동등한 것으로 판정되었다.트리머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하저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매우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하저에 분포하는 이상대의 분포범위와 발달방향을 규명할 수 있었다.대에 대해 가장 효과적이다. 모델과 현장 적용 결과들을 통해 GRM SSM 방법을 이용하여 불규칙한 굴절면을 가진 지층들에 대해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정밀한 탄성파 속도를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EX>$\alpha/\beta$=10인 경우 $62.0\~121.9\;Gy_{10}$ (중앙값: $93.0\;Gy_{10}$)의 분포를, ${\alpha/\beta}=3$인 경우 $93.6\~187.3\;Gy_3$ (중앙값=$137.6\;Gy_3$ )의 분포를 보였다. MD-BED $Gy_3$는 직장합병증 발생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방광합병증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장합병증과의 연관성은 MD-BED $Gy_3$보다 개별 환자의 직장전벽 총 선량 BED값인 R-BED $Gy_3$가 훨씬 더 높았다. 요도카테터 풍선의 후방지점이 대변하는 방광의 총 선량 BED값인 V-BED $Gy_3$도 방광합병증과 경향성 테스트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하지만, 어떠한 방사선선량도 골반제어율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기관에서 주치의의 선호도에 따라 강내근접치료가 외부방사선치료의 중간에 시행되는 형태인 샌드위치기법과 외부방사선치료 후반부에 시행되는 순차적 기법으로 구분하였을 때, 두 방식간 치료성적 및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 총 치료기간에 대한 분석에서는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재발 위험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나이 및 병기, 종양의 크기, MD-BED $Gy_{1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