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축시스템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Resource Mobilization in Inundation Area through Past Disaster Events (과거 재난사례를 통한 침수지역 자원동원 현황 분석)

  • Ha Young Jang;Yon Soo Kim;Dae Won Jang;Duck Gi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4-404
    • /
    • 2023
  •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침수피해의 위험성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녹지공간의 감소, 도시의 난개발 등 물순환 체계의 왜곡에 따른 침수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침수 발생 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재난초기에 재난관리자원의 신속한 확보와 동원은 피해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하고, 자원의 부족이나 동원의 지연으로 초기 대응이 늦어질 경우 피해가 확대될 수 있기에 침수발생 특성에 따른 필요 자원의 비축 및 동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재난관리자원은 종류가 다양하고 요구되는 비축량이 많기에 모든 재난관리자원을 보유하고,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침수피해재난을 중심으로 최적 자원 비축을 통한 효율적인 재난관리자원 운영 및 관리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2001년~2020년) 동안 발생한 침수피해 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사례를 통해 재난발생 시 동원된 자원현황을 분석하였다. 재해연보, 관련 백서 및 보고서, 침수흔적도 등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지자체 침수피해 현황을 분류하고, 침수재난과 관련된 자원의 비축 및 운용 사례 분석을 통해 장비 28종, 자재 6종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침수재난 발생 시 지자체별 침수피해 규모와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인 비축 및 관리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easibility Study of Underground LNG Storage System in Rock Cavern (LNG 지하공동 비축시스템의 타당성분석)

  • Chung, So-Keul;Han, Kong-Chang;Park, Eui-Seob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6 no.4 s.63
    • /
    • pp.296-306
    • /
    • 2006
  • It is difficult to solve problems regarding the adjustment on demand and supply of LNG due to seasonal variations of domestic demand of LNG, a discordance among import pattern and limits of storage facilities and so on. Also, there may be instability in LNG supply due to chances of accidents at LNG producing area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large LNG storage facilities and to stabilize LNG supply management on a long term ba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scale applicability of a lined underground rock storage system, which have been verified by a successful operation of the Daejeon LNG pilot plant. The new technology has many advantages of better economy, safety and environment protection, for above-ground and in-ground storage sys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mote the first ever real scale underground LNG storage system in a rock cavern.

A Study on Performance and Sensitivity Improvement of an Off-axis TMA Telescope Optical System by Changing the Aperture-stop Position (조리개 위치 변경을 통한 비축 삼반사 망원경 광학계의 성능 및 민감도 개선 연구)

  • Lee, Han-Yul;Jun, Won-Kyoun;Lee, Sang-min;Kim, Ki-hwan;Seo, Hyun-Ju;Park, Seung-Han;Jung, Mee-Suk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2 no.1
    • /
    • pp.9-14
    • /
    • 2021
  •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n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aperture position of an off-axis TMA telescope for satellites. An off-axis TMA telescope should have high resolution and wide field of view (FOV). 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should have a wide tolerance range, because it is structurally located off-axis and is difficult to assembl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performance and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aperture-stop position, so it is important to select a suitable aperture-stop posi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each off-axis TMA telescope according to the aperture-stop position, and have analyzed th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to suggest a suitable aperture-stop position.

A Study of Resource Mobilization Cases and Problems in the Case of Inundation (침수 발생 시 자원동원 사례 및 문제점 고찰)

  • Yon Soo Kim;Ha Young Jang;Min Young Jung;Ho Young J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6-406
    • /
    • 2023
  • 자연재난은 각각의 유형별로 발생 특성이 다양하고, 피해 유형도 상이하기에 재난 발생 시 재난 특성에 따른 최적 자원의 비축 및 동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재난관리자원은 종류가 다양하고 요구 비축량이 많으며, 재난유형별로 발생특성이 다양하고 피해유형도 상이하기 때문에 모든 자원을 비축하고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재난특성에 맞는 필요 자원의 비축을 통한 효율적인 재난관리자원 운영 및 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침수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의 경우 과거 20년(2001년~2020년)동안 발생 건수는 282건으로 같은 기간 발생한 413건의 자연재난 중 68%를 차지할 만큼 침수 대응에 따른 필요 자원의 분석이 필요하지만, 관련 자원의 운영현황 및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2001년~2020년)동안 발생한 침수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발생 시 동원된 재난관리자원 사례를 분석하였다. 재해연보, 관련 백서 및 보고서 등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침수 발생 시 동원된 장비, 자재를 분석하였으며, 자원동원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자원비축, 자원능력, 자원활용, 대응시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발생한 침수관련 재난에 대하여 재난관리자원의 동원 사례와 시사점 및 문제점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침수 관련 재난 발생 시 자원의 효율적인 비축 및 관리, 동원 및 응원 등 효율적 운영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the stockpile and mobilization framework for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재난관리자원 비축 및 동원 체계 연구)

  •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3
    • /
    • pp.376-384
    • /
    • 2015
  • It needs a framework to minimizing the damage using the just-time just-resources strategy. But it is not easy to put 'what kinds of resources', 'how many resources', 'from where institutions', and 'how much money for the reimbursement'. So most of the local government depends on the field manager.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conventional system and provides the efficient methodology to the stockpiling and mobilizing against to the disaster. The study does not provide the stockpile amount for the local governments, because the stockpile amounts must consider the local diverse situations.

A Study on the Management Improvement of Disaster Recovery Resources of Municipality with Field Survey (현장실태조사를 활용한 지자체 재난관리자원 관리 개선 연구)

  • Kim, Joon-Ha;Kim, Tae-Heon;Jung, Jae-W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55-16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problems in disaster recovery resource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and utilize them as improvement proposal for disaster recovery resources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s. Method: Areas with high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recorded in historical and yearly records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related books, and annual reports for 20 years were selected. The DRSS data of the selected local governm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erve warehouse were selected for field survey. Result: It is analyz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city hall and district offices is somewhat insufficient due to heavy work by the working-level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s on the storage of disaster recovery resources. The actual amount of stockpiles and DRSS data are somewhat different or missing because the input method and criteria are not clear at present when inputting the current data. Conclusion: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 disaster recovery resource reserve, it is deemed that education of DRSS and training of best practices for the operation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re urgently needed, and that a systematic management of stockpiles using disaster prevention experts will be required.

코로나19의 백신개발 동향 및 백신비축 규모에 관한 소론

  • Park, Ho-Jeong;Im, Jae-Ye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9 no.2
    • /
    • pp.273-292
    • /
    • 2020
  • 본고는 코로나19라는 글로벌 팬데믹 상황에서 감염병 역학모형에 관한 내용과 기초재생산수, 집단면역임계, 백신비축 등의 주요 개념을 개론 수준에서 다루었다. 국내 첫 감염자 발생 이후 4월 12일까지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석해 볼 때 한국의 기초재생산수는 약 2의 값을 가지는데 이는 코로나19가 발생한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로 평가된다. 만일에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는 것을 가정하여 이의 비축규모를 추정해보면 인구의 최소 62%에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의 코로나19의 성공적 대응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주된 요인 중의 하나라는 점도 발견하였다. 그러나 5월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다소 느슨해진 경향이 없지 않은데, 지역감염의 확산을 위해서는 원론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학술적 관점이 아닌, 방역의 실무적 차원에서 역학모형, 그리고 경제-역학 모형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 것 뿐이다. 보다 정교한 역학 모형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규모의 팀워크가 필요하다. 2015년 메르스 이후 역학조사를 위한 자원이 보강되었다 하지만, 앞으로 역학조사 인력, 데이터 시스템 구축, 그리고 보건·경제·통계·수학 분야 등의 연구진이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Schwarzschild-Chang 망원경의 천문학적 응용

  • Kim, Sang-Hyeok;Jo, Jeong-Hun;Jang, Seung-Hyeok;Park, Su-Jong;Kim, Geon-Hui;Yang, Sun-Cheol;Heo, Myeong-Sang;Lee, Sang-Y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67.2-67.2
    • /
    • 2011
  • Schwarzschild-Chang 망원경은 두 개의 반사경을 사용한 비축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에 사용된 비축 광학 이론을 이용하면 선형 비점수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3차 이상의 고차수차들도 동축 광학계와 동일한 정도로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 망원경 디자인을 응용하면 단일 광학계 망원경을 제작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2개의 망원경 시스템을 조합할 경우 색수차나 중앙차폐 없이 대형 망원경의 focal reducer 또는 분광기의 내부 광학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팀은 현재 구경 50 mm, 유효초점거리 100 mm, 시야각 $8{\times}8^{\circ}$ 인 Schwarzschild-Chang 망원경 시험 모델을 완성했다. 본 발표에서는 적외선 관측을 직접 할 수 있는 Schwarzschild-Chang 망원경의 개발 진행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