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체계적 위험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비정상적 위험에 대비한 자산운용방안

  • Chae, Jun;Kim, Nu-Ri;Lee, Eun-J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1
    • /
    • pp.157-1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적 사건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비정상적 위험의 구체적인 유형을 파악하며, 이와 관련된 사학연금의 위험관리 체계에 대한 검토와 함께 비정상적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산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비정상적 사건을 '과거 자료를 이용한 발생확률의 추정이나 발생여부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이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고려하고 대비하는 사전적인 대처가 어려운 사건으로서 자산운용과 위험관리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정의하였으며, 이의 구체적인 형태로서 금융위기를 포함하는 9가지 사건 유형을 파악하였다. 동비정상적 사건들은 포트폴리오 투자를 통한 자산운용에서 개별자산군의 기대수익률과 위험 및 자산군 사이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자산배분안의 최적성을 상실시키고 위험수준의 측정치인 VaR값을 과소 또는 과대추정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비정상적 사건의 해외 사례에 대한 분석에서는 비정상적 사건의 영향이 개별 사건마다 다양한 양태로 발현되는 것이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학연금의 현행 자산배분 체계가 이와 같은 비정상적 사건의 영향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하였으며, 비정상적 사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자산관리방안의 일환으로서 일별 수익률 자료를 사용한 비정상적 사건의 영향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사학연금의 현행 위험관리 체계는 비정상적 사건의 발생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rian Strategy's Abnormal Returns and Systematic Risk Change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 Woo, Choon-Sik;Kwak, Jae-Su다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1
    • /
    • pp.67-89
    • /
    • 2000
  •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와 체계적 위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모형과 Ibbotson(1975)의 RATS 모형을 이용하여 형성기간과 검증기간의 베타계수를 측정한 결과 체계적 위험의 변동가설에서 예견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검증기간에서 하락하는 한편 패자 포트폴리오와 차익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ATS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측정한 결과, 차익 포트폴리오의 경우 시장조정수익률 모형을 이용할 때의 월평균비정상수익률(1.32%)보다 작은 0.87%(t=3.153)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대거래전략의 투자성과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기인하는 증거로서 의미를 갖는다. 한편 형성기간과 검증기간에서 베타계수와 월평균비정상수익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베타계수와 월평균비정상수익률이 동일 방향으로 변화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기인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Chan (1988)의 모형을 이용하여 체계적 위험과 시장위험프리미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Chan(1988)이 주장한 것처럼, 패자 포트폴리오와 차익 포트폴리오의 경우 베타계수와 시장위험프리미엄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그리고 승자 포트폴리오의 경우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han(1988)이 주장한 것처럼, 체계적 위험과 시장위험프리미엄의 변화 관계가 시장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황시장과 침체시장으로 분류하여 각 시장상황에 따라 베타계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패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활황시장에서 1.0967(t=13.018), 침체시장에서 1.0883(t=15.310)을 보였으며,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활황시장에서 0.9468(t=9.100), 침체시장에서 0.9086 (t=7.431)을 보였다. 다시 말하여 패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시장상황에 따라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침체시장보다 활황시장에서 크게 나타남으로써 체계적 위험 변동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ESG Performance on Firm Risk (ESG 성과가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ung-Hyuck Choy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19-26
    • /
    • 2023
  • The impact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performance on investors' decision-making is growing. Investors' focu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s in the past is expanding to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surrounding firm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conducted a panel regression analysis on firms evaluated by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o analyze the impact of ESG performance, a firm's non-financial performance, on firm risk. According to the analysis, ESG performance has a negative (-) effect on all three firm risks (systematic risk, unsystematic risk, and total risk), indicating that the stakeholder theory and risk management theory are suppor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ESG reduces not only unsystematic risk but also broad and indiscriminate systematic risk; Second, investors can reduce the risk of their investment portfolio by executing ESG investments; Third, companies can achieve stable financial performance even in adverse circumstances by utilizing the insurance function of ESG management; Lastly, the government can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financial market while improving the financial soundness of firms through reasonable ESG-related regulations.

A Development of the Risk Identification Checklist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Risk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Project (건설사업 위험분류체계의 재정립을 통한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 Chu Hae-Keum;Kim Seon-Gy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2 s.14
    • /
    • pp.109-117
    • /
    • 2003
  • The construction project is largely exposed to much more risk events over the project life cycle due to its complexity and size than the other industries. Therefore, the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process to identify and response the risk events is not only performing acutely but also proceeding systematically. The risk identification phase in the risk management process is to identify various risk events and define its characteristics. At this phase, the risk identification system is very useful tool to identify every possible risk events in the project. This study shows some problems of the existing risk identification system and proposes the modified risk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project phases and the contract bodies, and also suggests partial but more enough detailed risk checklists to be implemented in the actual risk identification phase than any other existing risk breakdown systems to be examined at this study.

The Plan of Sensing of Disaster Signs Analyz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전조감지 방안)

  • Choi, Seon-Hwa;Choi, Se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1-801
    • /
    • 2012
  • 최근 과학 IT 패러다임은 기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심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등 제반 이슈와 연계된 분석 예측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등장으로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되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였다. 급속히 변화하고 복잡해진 사회구조와 재난환경으로 인해 인력에만 의존한 재난관리의 사각지대가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므로 다양한 재난전조(前兆)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재난관련 언론보도, 민원, 제보, 소셜 미디어 등의 비정형 데이터와 재난관련 정형 데이터(DB)를 융합 분석하여 재난전조를 사전에 감지하고 위험요소를 신속히 제거하는 빅데이터 기반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제안한다. 최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도시내수침수 피해 위험 예방을 위해 제안한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적용하여 피해발생 위험요소 및 전조, 긴급 이슈 등을 감지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전조를 감지하고 사전 침수 피해를 예측하여 피해 최소화 및 복구비용 절감, 저감능력 강화의 효과뿐만 아니라 위험요인 사전 차단 및 확산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Performance By Risk Adjustment Model (위험조정모형을 활용한 미국 REITs의 부동산 유형별 성과 분석)

  • Park, Won-Se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665-680
    • /
    • 2009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REITs) by Risk Adjustment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property types of REITs gain positive(+) excess overall returns at first and second period. On the contrary, most property types of REITs gain negative(-) excess overall return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are larger at financial crisis period. Secondly, lodging, regional mall and commercial mortgage show lower risk-lower return, and freestanding, apartment and specialty show higher risk-higher return than average REITs, according to the CAPM results of . Moreover CAPM results of show the characteristics of REITs as investment commodities changes into higher risk-higher return for financial crisis period. Lastly, risk adjusted demanded returns of REITs are affected positively(+) by systemic risks and negatively(-) by unsystemic risks, according to the Risk Adjustment Model results of both and . Comparing risk adjusted demanded returns of REITs with their realized returns, healthcare reveals the largest outperformance.

  • PDF

가격제한폭 도달빈도와 주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n, Tae-Hong;Ji, H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3 no.1
    • /
    • pp.93-109
    • /
    • 2007
  • 주식시장의 일일 가격제한폭은 개별 주식의 거래 특성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가격제한폭 도달 빈도에 대한 주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가격제한폭 도달 빈도가 높은 주식들이 지니는 공통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 분석결과는 다음으로 요약된다. 첫째,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이 높은 주식일수록 가격제한폭 도달 빈도가 높다. 둘째, 시장가치로 측정된 기업규모가 작은 주식일수록 상대적으로 가격제한폭 도달 빈도가 높다. 셋째, 거래량이 많은 주식일수록 가격제한폭 도달 빈도가 높다. 넷째, 장부가치-시장가치비율이 낮은 주식일수록 하한가제한폭에 자주 도달하는 성향이 있다. 체계적 위험과 기업규모가 주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것을 고려하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가격제한폭 제도가 시장에서 주식 가격이 적정하게 형성되는 기능을 일부 저해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 PDF

A Design of the Social Disasters Safety Platform based on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정형/비정형 데이터 기반 사회재난 안전 플랫폼 설계)

  • Lee, Chang Yeol;Park, Gil Joo;Kim, Junggon;Kim, Tae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609-621
    • /
    • 2022
  • Purpose: Natural Disaster has well formed framework more than social disaster, because natural disaster is controlled by one department, such as MOIS, but social disaster is distributed. This study is on the design of the integrated service platform for the social diaster data. and then, apply to the local governments. Method: Firstly, we design DB templates for the incident cases considering the incident investigation reports. For the risk management, life-damage oriented social disaster risk assessment is defined. In case of the real-time incident data from NDMS, AI system provides the prediction information in the life damage and the cause of the incident. Result: We design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incident data management system, and design the integrated social disaster and safety incident management system. Conclusion: The integrated social disaster and safety incident management system may be used in the local governments

밀도 기반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위험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양지민;최충정;백연지;임광현;노유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6-147
    • /
    • 2023
  • 해양사고는 도로교통과 달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명피해가 주로 발생하는 주요 사고의 치사율은 도로교통의 11.7배 이상이다. 해양사고는 외부 환경에 따라 사고 위치가 변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워 타 교통에 비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여전히 사고가 발생하고 난 후 대응하는 등 사후적 관리 단계에 무르고 있어 사고의 주요 요인을 사전에 식별·관리하는 선제적 관리단계로의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발생 지점 밀도 기반의 가변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반복적인 공간 가산분석을 통해 밀도가 높을수록 작은 규모의 격자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상세한 공간 군집체계를 구성하였으며, 단순 사고 위험도 예측뿐만 아닌 사고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BN(Bayesian Network) 기반의 모형을 사용하여 해양사고 위험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ost-of-Omission을 통해 해양사고 예측확률의 변화와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월별 해양사고예측 결과를 GIS를 활용하여 2D/3D 기반으로 시각화하였다.

  • PDF

Design of Opportunity Tree to Decrease CBD Risk Exposure (CBD 개발과제 위험 노출도(Risk Exposure)를 줄이기 위한 Opportunity Tree의 설계)

  • 이민광;이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05-507
    • /
    • 2004
  • 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컴포넌트 재사용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검증된 컴포넌트의 사용으로 소프트웨어 품질을 증대시키며, 개발비용 및 일정의 단축을 유도하는 등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컴포넌트 기반개발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바로 컴포넌트 기반 개발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고 영향을 미치는 측정 메트릭을 조사하여 위험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또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CBD 개발과제 위험 노출도를 줄이기 위한 OT(Opportunity Tree)'를 제시하였다.s;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