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주얼 포트란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Implementation of Virtual Device Oliver Kit using Windows Device Model (WDM을 이용한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 구현)

  • 정재기;이상욱;김일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43-345
    • /
    • 2003
  • 본 논문은 windows 상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구현을 위하여 타겟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이전에 가상의 범용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도구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최종 타겟 디바이스 개발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개발 기간의 단축 및 비용 절감하는데 목표를 둔다. 일반 PC에서 COM 포트를 이용하는 시리얼 통신으로 테스트 킷을 구현하여 드라이버를 개발하고 테스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드라이버 연구에 있어서 실제 타겟 디바이스 없이 S/W 만으로도 올바른 드라이버를 개발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 동작과 내부 메커니즘을 비주얼하게 확인하여 초보 드라이버 개발자들에게도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새로운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실험을 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Air Dispersion Software for Administrating Air Pollutant Emission Facility (대기배출시설 관리용 대기확산 소프트웨어 개발)

  • 김종화;황주현;박성순;구윤서;이임학;김성태;전경석;윤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96-399
    • /
    • 2000
  • 환경부가 발표한 21세기 대기환경관리 정책방향에서도 사업장의 대기오염 물질 관리강화를 포함시키고 있어, 이제 바야흐로 우리 나라도 사업장에 대한 과학적인 대기 환경관리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기확산예측 평가분야는 아직 국내기술이 미약하고,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미국환경보호청에서 추천하는 모델을 사용하므로, 국내 실정에 맞는 데이터를 적용하기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모해야 했다. 본 프로그램은 기존의 포트란으로 프로그램 된 소프트웨어보다 비주얼한 환경에 중점을 두고 C++언어로 프로그램 하였다. 또한, 국내 실정에 맞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적은 비용과 짧은 시간 내에 대기확산예측을 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 Simulation Program for Virtual Laser Machining (가상 레이저가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구축)

  • Lee Ho Yong;Lim Joong Yeon;Shin Kui Sung;Yoon Kyung Koo;Whang Kyung Hyun;Bang Se 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2 no.7 s.172
    • /
    • pp.54-61
    • /
    • 2005
  • A simulator for virtual laser machining is developed to help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effects of machining parameters on the final machined results. Main program is based on the model for polymer ablation with short pulse excimer lasers. Version f of the simulator is built using Visual Fortran to make the user work under visual environment such as Windows on PC, where the important machining parameters can be input via dialog box and the calculated results for machined shape, beam fluenc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can be plotted through the 2-D graphics windows. Version II of the simulator is built using HTML, CGI and JAVA languages, allowing the user to control the input parameters and to see the results plot through the internet.

The Development of Window Operating EMTP Package Using Matlab (매트랩을 사용한 윈도우 구동형 EMTP 패키지의 개발)

  • 이재용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T
    • /
    • v.36T no.3
    • /
    • pp.79-84
    • /
    • 1999
  • The existing EMTP(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is writted by FORTRAN-77, has a closed architecture and uses a large number of code lines to satisfy requirements ranging from low level data manipulation to the actual solution mathematics which eventually become diluted and almost impossible to visualize. Thus has a difficulty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enace of its program module. This paper proposes a new design idea suitable (or a re-development of EMTP using the MATLAB and VISUAL-C++, which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new EMTP package is operated in the window environment. The package has the GUI(Graphic User Interface) ability, and the MATLAB computation engine for an analysis of a transient state in an electric circuit.

  • PDF

3D SVG Presentation Using Export of 3ds max 3D (3ds max의 익스포트를 이용한 3차원 SVG 표현)

  • 김승완;박덕규;정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640-642
    • /
    • 2004
  • SVG(Scalable Vector Graphic)는 웹 개발자 디자이너 및 사용자가 간단한 선언 방식의 프로그래밍 모델을 통해 HTML의 한계를 뛰어 넘어 견고한 비주얼 컨텐츠와 대화형 기능을 작성할 수 있는 W3C의 표준 XML 기반의 이미징 모델이다. 웹에서의 SVG는 확장형 벡터 그래픽으로서 2차원 이미지를 이미지의 손상 없이 표현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2차원에 국한되어 있는 SVG를 확장하여 3차원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한다. 2차원 이미지의 표현은 x축과 y축의 평면 축만 있는데 비해 3차원 이미지의 표현은 깊이 정보인 z축을 가지고 있어야 3차원 이미지를 표현하게 된다. 비트맵 그래픽과 달리 벡터 그래픽인 SVG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3차원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친 고찰하고자 한다.

  • PDF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Serial Communication and Visual Basic (직렬통신과 Visual Basic을 이용한 Home Automation System)

  • Ji, Jun-Keun;Lee, Kwa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d
    • /
    • pp.2463-246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Home Automation을 위한 하드웨어와 제어용 프로그램의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Home Automation에 쓰인 하드웨어 부분에서는 8051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플랜트끼리의 통신 알고리즘이며, 일반 가정용 IBM PC의 USB 포트를 이용한 화상 전달방법이다. 화상 전달에 필요한 DLL부분은 C++로 제작되었으며 전체적인 제어용 프로그램은 비주얼툴인 Visual Basic으로 제작하였다. 하드웨어는 각각의 플랜트에 따라 각각의 구동부가 있으며 몇몇 구동부에는 다중 통신을 위한 8051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있다. 이 모든 장치의 데이터 흐름을 알 수 있도록 PC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PC와 직렬 통신을 통해 이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 PDF

Studies on the Cycle Simulation for a Geothermal Heat Pump System using CO2 as Refrigerant (CO2 지열 히트펌프 사이클 모사에 관한 연구)

  • Kim, Young-Jae;Chang, Keun-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6
    • /
    • pp.2888-2897
    • /
    • 2011
  • The performance of a geothermal heat pump system using carbon dioxide was investigated by the steady-state cycle simul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 parametric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on the performance of the basic cycle without an IHX(internal heat exchanger). The simulation program consists of several Fortran subroutines for simulating indoor and outdoor heat exchangers, compressors, and expansion valves and Visual Basic subroutines for the graphic user interface(GUI) consisted with pre-processor for input data and post-processor for the output data. Refprop V6.01 was used for estimating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and equilibrium behaviors of carbon dioxide. The simulation results were validated by comparing experimental data through a series of case studies. The cycle simul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work would seem to be a useful tool in optimizing and establishing economical and efficient operating conditions in the $CO_2$ geothermal heat pump system.

A Study on Automatic Module Control Robot System (자율 모듈 제어 로봇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Jeong-Ic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610-613
    • /
    • 2010
  • 본 과제를 통하여 기술적으로는 로봇 개발에 있어 기존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로 발전해 갈 수 있도록, 각 요소별 기능을 표준화 모듈화 하여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 손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본 platform으로의 역할이 가능해졌다. 구동부 제작 및 설계, 금형 비용 등을 절감하기 위한 다목적 완구로봇 플랫폼을 확보할 수 있었다. 로봇이 복잡한 환경을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며, 예측하지 못한 문제에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로봇 개발에 있어 전문지식이 없는 초보자들이 직접 제작 구동해 볼 수 있는 비주얼한 개발환경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GUI 개발환경 및 TEXT Programming 으로 상호 전환이 가능한 코딩 방법을 지원(MSRS와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기존 하드웨어 지식과 소프트웨어지식이 없는 상태에서도 제작자의 창의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제작 적용이 용의 하며 초보자들에 대한 로봇개발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급사용자를 위한 별도의 다운로딩 포트를 제공하였다. 로봇공학의 기본지식을 습득(아날로그/디지털 회로를 이해하고, 각종 센서의 이해하며, 스템/서보/DC모터의 제어기술, 펌웨어개발능력, 기본수준의 소프트웨어개발 능력)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경제 및 산업적 측면으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기존 기술들의 장점을 취합하여 추가적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Base형태의 로봇을 개발할 경우 이를 활용한 제품 개발 및 Base자체로도 충분한 시장을 형성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터넷기반 로봇 제어 기술의 확보로 로봇시스템의 생산비용을 낮추고 TTM (Time-to-Market) 제약을 해결시켜 준다. 다른 응용 시스템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지식기반 로봇 서비스의 요소기술 개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분야(교육/게임/오락 등)의 활성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타 IT산업에의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B2B를 통한 실질적인 판매를 통한 동종기업의 연구 개발비 및 개발 기간의 단축이 예상된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bot Training Kit for Java Programming Learning (Java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로봇 트레이닝키트의 설계 및 구현)

  • Baek, Je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0
    • /
    • pp.97-107
    • /
    • 2013
  • The latest programming paradigm has been mostly geared toward object-oriented programming and visual programming based on the object-oriented programming. However, object-oriented programming has a more difficult and complicated concept compared with that of existing structural programming technique; thus it has been very difficult to educate students in the IT-related department.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Java robot training kit in which the Java virtual machine is built so that it may enhance the desire and motivation of students for learning the object-oriented programming using the training kit which is possible to attach various input and output devices and to control a robot. The developed Java robot training kit is able to communicate with a computer through the USB interface, and it also enables learners to manufacture a robot for education and to practice applied programming because there is a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port inside the kit, through which diverse input and output devices, DC motor, and servo motor can be operated. Accordingly, facing the IT fusion era, the wall between the academic circles and the major becomes lower and the need for introducing education about creative engineering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is emerging. At this point, the Java robot training kit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great commitment in this reg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