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전 센서

Search Result 29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Partial Discharge in Gas-Insulated Switchgear (GIS내부에 부분방전 측정에 관한 연구)

  • Yoon, Jeong-Hoon;Koo, Ja-Yoon;Lim, Yoon-Seog;Yeon, Man-Seung;Kang, Chang-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1797-1799
    • /
    • 2002
  • $SF_6$ 가스로 절연되는 GIS (Gas Insulated Switchgear)는 매우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사고 발생 시 파급효과가 매우 크므로 상시 감시할 수 있는 진단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전기적인 방법과 비전기적인 측정 법을 통해 전자파. 초음파, 전류펄스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GIS 내부알루미늄도체에 침 결함을 고정시켜 전원전압 인가 시 발생되는 부분방전신호를 UHF, AE, CT센서로 검출하였다. 측정 결과 UHF센서와 CT센서로 검출되어진 신호는 매우 유사하게 측정되었고 초음파와 전자파를 검출한 결과 진행속도 차이로 발생되는 시간지연현상이 발생되었다. GIS내 부분방전발생 시 발생되는 전자파 스펙트럼 분석결과도 650MHz에서부터 935MHz까지의 주파수대역이 측정되었다. 이후에는 현장에서 운전중인 GIS내부에서 발생되는 결함들을 실제와 가깝게 모델링하여 발생되는 부분방전신호를 스펙트럼 분석하여 대역에 맞는 UHF센서 개발에 노력하고자 한다. 또한 결함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르게 발생되는 부분방전신호를 검출하여 측정하고 이를 진단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ositional Precision Improvement of RFM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Production of DEMs (상관도 분석을 통한 RFM의 위치 정확도 분석 및 수치표고모형의 제작)

  • Sohn, Hong-Gyoo;Sohn, Duk-Jae;Park, Choung-Hwan;You, Hyung-Uk;Pi, Mun-Hui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27-33
    • /
    • 2002
  • 최근 들어 다항식비례모형(RFM: Rational Function Model)은 비전문가에게 있어서 지형보정을 위한 정확도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센서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센서모델링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엄밀(physical) 모델이 없는 센서 혹은 위성의 궤도력 자료를 제공하지 않는 센서의 경우 다항식비례모형의 적용을 위해서는 다수의 매개변수 사용으로 인한 계수들 간의 상관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차 다항식비례모형에 기초하여 전방 다항식비례모형(Forward RFM)과 상관도 분석을 통한 전방 다항식비례모형의 이른 및 위치정확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연구지역은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과 SPOT으로 촬영한 대전광역시와 그 주변지역으로 SPOT과 KOMPSAT 모두 상관성 분석 전에는 대략 50% 정도의 검사점에 대해 과대오차(>100m)가 얻어졌으며, 이 점들을 제외한 검사점에 대해서도 SPOT은 평균수평오차 20-24m, 평균표고오차 25m, KOMPSAT은 평균수평오차 15-24m, 평균표고오차 30m를 나타내었다. 전방 다항식비례모형에 대하여 상관성 분석을 수행한 후에는 검사점에 대한 모든 과대오차 조정결과가 소거되었고 검사점에 대해서 SPOT은 평균수평오차 8.8m, 평균표고오차 25.2m, KOMPSAT은 평균수평오차 8.4m, 평균표고오차 14.5m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연구지역에 대한 수치표고모형의 제작을 통해 상관도 분석을 통한 다항식비례모형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Development of Fender Segmentation System for Port Structures using Vision Sensor and Deep Learning (비전센서 및 딥러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방충설비 세분화 시스템 개발)

  • Min, Jiyoung;Yu, Byeongjun;Kim, Jonghyeok;Jeon, Haem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6 no.2
    • /
    • pp.28-36
    • /
    • 2022
  • As port structures are exposed to various extreme external loads such as wind (typhoons), sea waves, or collision with ship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periodically. To monitor the port structure, especially the rubber fender, a fender segmentation system using a vision sensor and deep learning method has been proposed in this study. For fender segmentation, a new deep learning network that improves the encoder-decoder framework with the receptive field block convolution module inspired by the eccentric function of the human visual system into the DenseNet format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train the network, various fender images such as BP, V, cell, cylindrical, and tire-types have been collected, and the images are augmented by applying four augmentation methods such as elastic distortion, horizontal flip, color jitter, and affine transforms.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trained and verified with the collected various types of fender images, and the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precisely segmented in real time with high IoU rate (84%) and F1 score (90%)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segmentation model, VGG16 with U-net. The trained network has been applied to the real images taken at one port in Republic of Korea, and found that the fenders are segmented with high accuracy even with a small dataset.

Implementation of Real Time Automatic Running System using Fuzzy Analytic Hierachy Process (퍼지AHP를 이용한 실시간 자율주행 시스템의 구현)

  • Jin, H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11a
    • /
    • pp.328-332
    • /
    • 2007
  • 본연구에서는 센서의 융합을 통하여 환경을 인식하며, 주변환경에 대한 지식을 갱신, 학습할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며, 동적인 장애물의 감지및 움직임 예측에 기반한 지능적 회피 알고리즘과 AHP를 이용한 Navigation Strategy수정과 이동 로봇 스스로 최적의 결과를 낼수 있게 개선 시키는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그와 더불어 AHP를 이용하여 Navigation Performance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방향을로 진화시키는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또한 부여된 임무수행을 위한 목표물 추적을 위한 비전 시스템에서의 대상체 추출및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며 인간뇌의 환경인식 체계와 유사한 방식의 Map building기법을 연구한다.

  • PDF

Development of Lane and Obstacle Detection System Using Vision Sensor (비전 센서를 이용한 차선 및 장애를 인식 시스템 개발)

  • Ahn, Jun-Sik;Oh, Tae-Seok;Kim, Il-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276-27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효율성 높은 차선 인식 및 장애물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된 영상을 배경영상과 도로 영상으로 나눈 후 도로영역에서 Hough 변환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 하도록 한다. 또한 자동차의 그림자와 같은 특징 정보를 활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을 검출한다. 영상의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파선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 PDF

Real-time Marker-free Motion Capture System to Create a 3D Virtual Human Model (3차원 가상 인체 생성을 위한 실시간 마커프리 모션캡쳐 시스템)

  • 김성은;이란희;박창준;이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1093-1098
    • /
    • 2002
  •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MIMIC(Motion Interface & Motion Information Capture system)은 동작자의 동작을 획득하고, 동작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비전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동작자의 머리와 두 손, 두 발의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이 정보를 기반으로 팔꿈치나 무릎 등의 중간 관절을 추정한 후 20개의 관절을 가지는 3차원 인체 모델을 구성한다. 이 인체 모델은 동작자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흉내낸다. 그러므로, 기존의 마커프리 모션캡쳐 시스템과 달리 완벽한 인체를 구성하기 위한 중간 관절까지 생성함으로써 동작자의 동작을 더욱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 PDF

Navigation and Localization of Mobile Robot Based on Vision and Sensor Network Using Fuzzy Rules (퍼지 규칙을 이용한 비전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로봇의 자율 주행 및 위치 인식)

  • Heo, Jun-Young;Kang, Geun-Tack;Lee, Won-Cha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673-67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new navigation algorithm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with vision and IR sensors, Zigbee Sensor Network using fuzzy rules. We also show that the developed mobile robot with the proposed algorithm is navigating very well in complex unknown environments.

  • PDF

Development of Lane Detection System Using Vision Sensor (비전 센서를 이용한 차선 인식 시스템 개발)

  • Sik, An-Jun;Seok, Oh-Tae;Hwan, Kim-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911-191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효율성 높은 차선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된 영상을 배경영상과 도로 영상으로 나눈 후 도로영역에서 Hough 변환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도록 한다. 규정된 도로 규격 정보를 활용하여 한쪽차선만이 인식되더라도 자동차의 차선이탈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영상의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차선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 PDF

Safety of Industrial Work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인공지능의 발전을 통한 산업현장 근로자의 안전과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Park, G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3-124
    • /
    • 2023
  • 현대 산업현장에서의 생산성과 경쟁력은 안전 및 작업 효율성과 직결되어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중심축인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이 산업현장의 작업 환경과 절차를 혁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의 기술적 발전과 산업현장의 작업 안전성 및 효율성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어떻게 AI 기술의 도입과 활용이 산업현장의 미래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 PDF

Design of Curve Road Detection System by Convergence of Sensor (센서 융합에 의한 곡선차선 검출 시스템 설계)

  • Kim, Gea-Hee;Jeong, Seon-Mi;Mun, Hyung-Jin;Kim, Chang-G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8
    • /
    • pp.253-259
    • /
    • 2016
  • Regarding the research on lane recognition, continuous studies have been in progress for vehicles to navigate autonomously an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lane recognition and detection have remarkably developed as different algorithms have appeared recently. Those studies were based on vision system and the recognition rate was improved. However, in case of driving at night or in rain, the recognition rate has not met the level at which it is satisfactory. Improving the weakness of the vision system-based lane recognition and detection, applying sensor convergence technology for the response after accident happened, among studies on lane detection, the study on the curve road detection was conducted. It proceeded to study on the curve road detection among studies on the lane recognition. In terms of the road detection, not only a straight road but also a curve road should be detected and it can be used in investigation on traffic accidents. Setting the threshold value of curvature from 0.001 to 0.06 showing the degree of the curve, it presented that it is able to compute the curve r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