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위관 삽관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연하곤란 뇌졸중환자의 비위관으로 영양을 공급 받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asogastric Tube Feeding among Cerebral Stoke Patients with Dysphagia)

  • 김주연;이영휘;조의영;강혜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2-60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provid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nasogastric tube feeding experiences by the cerebral stoke patients with dysphagi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ace to face interview from five cerebral stroke patients who had dysphagia along with a nasogastric tube inserti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van Manen. Results: The experience of having a nasogastric tube was not only limited to physical problems but also was linked to other psychological problems. Many patients reported that they tolerated the nasogastric tube in order to overcome the stroke along with the desire to eventually take food orally. The essential theme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of nasogastric tube insertion were: "The loss of pleasure from food", "The loss of human relationship from surrounding table", "Cower and shrink from the different appearance to others" and "Acceptance for life in painful experiences". Conclusion: This study woul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not only physical focused care but also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Therefore, nurses should consider all factors when providing nursing care to stroke patient with nasogastric tube feeding.

수술적 처치가 필요했던 식도이물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Surgical Treatment of the Esophageal Foreign Body (10 cases report))

  • 황의두;황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117-1120
    • /
    • 1997
  • 충남대학교병원에서 1980년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경험한 식도이물 10례를 수술 치료하였다. 나이는 25 세에서 71세로, 평균 나이는 45.3세였고 남녀의 비는 6:4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연하곤란, 발열, 이물감, 경부 동통이였다. 이물질은 생선뼈 3례였고, 거품 약포장지가 2례였고, 맥주병 마개,욕조 물마개, 깨진 사발 조각, 닭고기, 콩이 각각 1례였다. 진단은 수용성 식도 조영제와 식도 내시경을 이용하였다. 10례중 2례에서는 과거에 가성소다 섭취로 인해 식도 협착이 있었다. 1례에서는 정신과적 문제가 있었다. 식도이물은 모두 수술적 처치로 제거하였다 5례에서는 경부식도절게술을 시행하였고 1례는 우측 개흉술 을, 1례는 개복하여 위를 통해 위관을 역류성으로 통과 제거하였으며, 2례는 경부농양이 있어 절개후 배농하 였다. 3례는 수술 후 누출이 있었으나 수술치료없이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되었으며,1례는 일시적인 애성이 있 었다. 1례는 외상성 기흉이 발생하여 폐쇄적 홉관 삽관술로 치료하였다. 수술 사망자는 없었다.

  • PDF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는 흉부 촬영에서 임상적 사용이 가능한가?: 기존의 이동형 디지털 X선 장치로 촬영한 흉부 X선 사진과 영상품질 비교 (Is a Camera-Type Portable X-Ray Device Clinically Feasible in Chest Imaging?: Image Quality Comparison with Chest Radiographs Taken with Traditional Mobile Digital X-Ray Devices)

  • 김상지;용환석;강은영;양제파;김정윤;윤영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38-146
    • /
    • 2024
  • 목적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흉부 X선 사진의 영상품질을 기존 이동형 디지털 X선 장치로 촬영한 영상과 비교하여 임상에서 사용 가능한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0년 9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기관내 삽관, 중심정맥관, 비위관 등을 삽입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기구 삽입 전 기존 이동형 디지털 X선 장치, 기구 삽입 후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흉부 영상을 촬영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얻어진 두 영상을 삽입기구의 식별에 대하여 5점 척도, 전반적인 영상 품질에 대하여 20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로 삽입한 기구의 식별에 대한 평가는 4.67 ± 0.71점이었다. 전반적인 영상품질에 대한 평가는 기존 이동형 디지털 X선 장치와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가 각각 19.70 ± 0.72점과 15.02 ± 3.31점(p < 0.001)이었고, 호흡 및 움직임 관련 인공물, 기관 및 기관지, 폐혈관, 심장 뒤 혈관, 흉추 추간판 공간, 횡격막 하 혈관, 횡격막 관찰의 세부항목에서 카메라형 X선 장치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횡격막 관찰 세부항목 p = 0.013, 그 외 세부항목 p < 0.001). 결론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는 흉부X선 사진에서 삽입 기구의 평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나 영상의 품질 저하가 있으므로 일반적인 진단 목적의 사용에는 주의를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