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암성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의 비암성 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f Physicians' Perspectives on Non-Cancer Hospice-Palliative Care in Korea: Focus on AIDS, COPD and Liver Cirrhosis)

  • 신진영;윤석준;김선현;이언숙;고수진;박진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3호
    • /
    • pp.177-187
    • /
    • 2017
  • 목적: 2017년 8월부터 말기 암 이외에도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 환자들에게도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질환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 내용 및 적용 방법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생각, 인식, 태도에 대해 살펴보아, 국내 실정에 맞는 비암성 호스피스 완화의료 진료 모델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반구조적 심층 면담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이다.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는 네 명의 임상 의사가 85편의 문헌 검색을 통해 핵심 질문을 선정하여 총 11명의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에게 면담을 하고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전문가들은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를 정의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와 내용은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하였지만, 통증보다는 다른 신체 증상과 정서적 문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말기라고 진단할 수 있는 시점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질환 별로 특수한 점들(AIDS 환자들의 항바이러스제 사용, COPD 환자들의 호흡곤란, LC 환자들의 간이식)과 의료진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 시 환자들이 자신을 포기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고 정부의 재정 지원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결론: 비암성 질환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입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에 대한 정의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암성 말기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진과 현재 말기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의 협력이 필요하다.

통증 조절에 있어서 $Myprodol^{(R)}$의 효과 (Effectiveness of $Myprodol^{(R)}$ in ram Management)

  • 신상욱;이현섭;김인세;백승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4권1호
    • /
    • pp.41-46
    • /
    • 2001
  • 목적 : 경구로 투여되는 진통제 중에서 $Myprodol^{(R)}$은 codeine, ibuprofen과 paracetamol이 복합 처방된 진통제로서 최근에 임상에 사용되기 시작한 약제이다. 본 연구는 실제로 임상에서 $Myprodol^{(R)}$이 사용되고 있는 질환의 종류, 부작용과 진통 효과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 부산대학교병원에서 $Myprodol^{(R)}$을 사용한 적이 있는 183명의 환자의 병력기록지를 조사하여 통증의 원인이 된 질환의 종류와 통증의 유형, 병원에 내원하여 최초로 $Myprodol^{(R)}$이 투여되었을 때까지의 통증의 기간 $Myprodol^{(R)}$을 투여한 기간, $Myprodol^{(R)}$의 투여 이후에 나타난 부작용, 통증에 대한 $Myprodol^{(R)}$의 통증 조절 정도를 통증시각등급(VAS)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Myprodol^{(R)}$을 사용한 환자의 질환은 각종 암성 통증으로 인한 경우가 64.3%이었고, 비암성 통증으로 인한 경우가 35.7%이었다. 투여 중에 나타난 부작용에는 암성 통증 환자에서 메스꺼움, 변비, 전신부종이 있었고, 비암성 통증 환자에서는 위복부통, 변비 등이 있었다. 비암성 통증 관리측면에서 $Myprodol^{(R)}$은 암성 통증 치료에서보다 더 효과가 있었다. 결론 : $Myprodol^{(R)}$은 약한 초기 암성 통증에 비교적 적은 부작용으로 진통효과를 나타내었다. 비암성 통증 환자에서는 흉통, 요통, 치과 수술 후에 주로 사용되었고 적은 부작용으로 진통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가정전문간호사의 비암성 말기환자 간호행위 시간 분석 (A Time Study of Nursing Activities by Home Care Nurses for Non-Cancer Terminal Patients)

  • 이하늘;이종은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0-188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duration of each nursing activity performed by home care nurses for non-cancer pati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 and duration of each nursing activity. Methods: Nursing activities performed for six non-cancer terminal patients were timed using a stopwatch, and 18 parameters were measured by visiting each patient thric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of duration for each category of nursing activities were compu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y-specific duration of nursing activities and PPI was analyzed with Spearma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nursing activities, the highest greatest duration of time was spent on traffic time (11.91 min), followed by urinary catheter management (10.65 min) and insertion and management of nasogastric tube (9.03 min). In terms of nursing categories, after excluding movement time, the greatest duration of time was spent on excretion care (5.48 min), nutrition care (5.40 min), and medication (3.82 min). PPI correlated with hygiene care, excretion care, and pati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PI in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hygiene care. Conclusion: These study findings provide grounds for the increased nursing time of hygiene care for people reaching the end of life.

비암성 만성질환자 대상 완화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접근성 및 효과성 검증; 파일럿 연구 (Reach and Efficacy of Palliative Care Nurse Train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Non Cancerous Chronic Disease; A Pilot Study)

  • 차은석;이소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4-97
    • /
    • 2020
  • 본 연구는 비암성 생애 후기 만성질환자 대상 완화간호 제공을 위해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후 교육대상자 접근 가능성과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 파일럿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와 그룹 인터뷰의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자료로 수집한 완화간호 제공과 관련된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의 변화는 SPSS 21.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프로그램의 실무적용 가능성과 피드백은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질적연구 자료를 내용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교육 후 지식 점수와 자기효능감에 있어 유의한 증가을 보였고, 모든 참가자는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및 온라인-오프라인 교육을 혼합한 블렌디드 방법에 만족했다. 하지만, 현장 적용 및 확산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시간의 단축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비암성 질환들의 호스피스 의뢰 기준 (Hospice Medical Guideline, Non-Cancer Diseases)

  • 최윤선;김현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2호
    • /
    • pp.69-75
    • /
    • 2010
  • Hospice is defined by the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NHPCO, USA) and WHO, as a program of care that provides comprehensive medical, nursing and support services to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Despite its broad definition, however, hospice care in Korea has been focused mostly on terminal cancer patients. Thus hospice eligibility for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s relatively easier to predict than those with other fatal chronic illnesses such as heart, lung, renal or liver diseases, and dementia. This makes it more difficult for patients and families to prepare for death and gain full benefits of hospice ca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medical guidelines for selected non-cancer patients who are expected to live for only six months, this making it possible for patients, who are nearing the end of life, to avoid unwarranted suffering.

심혈관대사질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환자의 질환경험 및 완화의료 요구 (Illness Experiences and Palliative Care Needs in Community 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 차은석;이재환;이강욱;황유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1호
    • /
    • pp.8-18
    • /
    • 2019
  • 목적: 본 질적 연구는 비암성 만성 질환이자 중 심혈관대사 질병(심장병, 신장병, 말기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질환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의 완화의료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서술적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환자들의 질환경험 및 자가간호행태, 질병 진행에 대한 준비 등을 알아보았다. 질적 연구 훈련을 받은 연구자가 반구조화된 면담 지침을 통해 연구참여자가 원하는 장소, 시간에 상담을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은 필사되었으며, 필사된 내용은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참여자는 40대에서 80대의 11명의 만성 질환이자(남성 9명, 여성 2명)였고, 세 개의 범주(같은 질병- 다른 질환경험; 나의 질병, 내 몸의 주체는 나; 질병진행에 대한 준비)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진단명은 알고 있었지만, 의료진으로부터 질병단계 및 진행에 대한 준비, 자가간호 방법, 생애후기계획(돌봄계획) 수립과 관련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다. 의료진은 질병진행에 따라 처방을 바꿔주는 사람, 약물은 질병치료를 하는 것, 자가간호는 단순 보조적 요법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약복용을 지시대로 규칙적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이 진행된다고 느낄 때, 자가간호에 보다 적극적이 되었다. 모든 연구 참여자들이 질병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으나, 생애 말기 대비에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이었다. 많은 환자들이 돌봄계획 수립이나 성년후견인 지정의 필요성에 공감하였으나,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하고 있었다. 결론: 의료진은 비암성 만성질환자의 질환경험을 듣고 질병 관리를 도울 수 있는 치료적 파트너가 되어야 할 것이며,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고려한 교육이 제공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비암성 만성질환자의 웰리빙에 대한 요구와 삶의 질 향상을 지지하는 측면에서 이들을 위한 완화의료 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암성 생애말기 환자 가족돌봄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of Non-cancer Patients at the End-of-life Stage)

  • 이윤지;이종은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3-251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of non-cancer patients at the end-of-life stage.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Participants included 172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non-cancer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2016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4.0 program. Results: The mean of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was 51.70±9.98.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were spiritual care (𝛽=-.45, p=.021), coordination among family members or relatives (𝛽=-.27, p=.029), and psychological support (𝛽=-.04, p=.03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1.0%.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re needs; spiritual care, coordination among family members or relatives, and psychologic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for family caregivers' quality of life. To improv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who are taking care of non-cancer patients at the end-of-life stage, national systems establishing comprehensive support considering the respective care needs of patients are crucial.

노인 입원 환자의 비암성 통증에 대한 약물 처방 현황 (Prescribing Patterns of Pain Medication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Non-Cancer Pain)

  • 남기남;최은옥;김범해;성새라;허유정;이경주;이유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5-150
    • /
    • 2015
  • Objective: Pain is very common in the elderly, so there is a high prevalence of analgesic use among this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atterns of analgesic use and evaluate factors associated with analgesic use in elderly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over 65 years old hospitalized in a teaching hospital located in Chuncheon-si, Korea between January 1, 2014 and March 31, 2014. Data collection regarding analgesic prescriptions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using computerized hospital database by medical information tea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analgesic use. Results: A total of 2,394 patients were finally included. Among these patients, 700 (29.2%) took analgesics; 521 (74.4%) out of these 700 patients were received opioid analgesics and 179 (25.6%) were received only non-opioid analgesics.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opioid analgesic was pethidine (45.7%), and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non-opioid analgesic was acetaminophen (44.1%). Fractur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opioid analgesic prescriptions (OR = 2.766, 95% CI = 2.019-3.790, p < 0.001) and any analgesic prescriptions (OR = 2.394, 95% CI = 1.766-3.244, p < 0.001). Stroke or cerebral infarction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odds of opioid analgesic prescriptions (OR = 0.636, 95% CI = 0.471-0.858, p = 0.003). Conclusion: A significant proportion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use analgesics.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factors associated with analgesic use in this population to improve pain management.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신체적 의존을 경피적 Buprenorphine 패취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보고 (Successful Treatment with Transdermal Buprenorphine Patch in Opioid-Dependent Cancer Patients: Case Series)

  • 고세일;김정훈;이경원;강정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52-157
    • /
    • 2018
  • 암환자에서 암성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강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마약성 진통제 관련 이상행동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암성 환자에서의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중독 및 신체적 의존의 치료는 잘 알려져 있으나, 암환자, 특히 국내의 암환자에서는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저자들은 강한 마약성 진통제에 대해 신체적 의존을 보여 부분 뮤-아편양 수용체 작용제인 buprenorphine으로 성공적으로 치료 받았던 열 명의 암환자들을 보고하고자 한다. 이는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신체적 의존을 경피적 buprenorphine 패취로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준 첫 번째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