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알코올성 지방간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초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을 통한 간 소포체 스트레스 유발 비알코올성 지방간 저해 (Ethyl Acetate Fraction of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 Attenuates Hepatic Endoplasmic Reticulum Stress-Induce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via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 안은정;신수영;이승영;이창민;최경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0-60
    • /
    • 2021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especially includ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is one of the common diseases with 25% of prevalence globally, but there is no thera-peutic access available.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 (Wall. ex Baker) T.L.Wu & S.J.Chen (AX), which is a medicinal herb and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digestive tract disorders in Asia countries. We aimed to examine pharmacological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AX (AXEF) against ER stress-induced NASH mice model using C57/BL6J male mice by tunicamycin (TM, 2 mg/kg) injection focusing on the oxidative stress.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AXEF (12.5, 25, or 50 mg/kg), silymarin (50 mg/kg) or distilled water daily for 5 days, and outcomes for fatty liver,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were measured in serum or liver tissue levels. AXEF drastically attenuated hepatic ER stress-induced NASH which were evidenced by decreases of li-pid droplet accumulations, serum liver enzymes, hepatic inflammations, and cell death signals in the hepatic tissue or serum levels. Interestingly, AXEF showed potent antioxidant effects by quenching of reactive oxidative stress and its final product of lipid peroxide in the hepatic tissue, specifically increase of metallothionein (MT). To confirm underlying actions of AXEF, we ob-served that AXEF increase MT1gene promoter activities in the physiological levels. Collectively, AXEF showed antioxidant properties on TM-induced ER stress of NASH by enhancement of MTs.

  • PDF

비알코올성 지방간 세포 모델에서 소분청음의 지방증 완화 효능 연구 (Research on Anti-lipogenic Effect of Sobuncheong-eum on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이혜인;김지수;김천중;김하나;양태준;정상준;최창원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0-107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ti-lipogenic effect of Sobuncheong-eum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free fatty acid induced cellular model. Methods :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palmitate for 24h to overload intracellular triglyceride (TG) content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buncheong-eum extract. After palmitate treatment, Intracellular TG content was measured with TG assay kit. Several lipogenesis related markers, includ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1c (SREBP-1c),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fatty acid synthase (FAS), were assessed using Western-blot analyses and RT-PCR. Results : Palmitate markedly increased intracellular TG in HepG2 cells, and which were alleviated by coadministered Sobuncheong-eum extract. Sobuncheong-eum extract activated AMPK, which plays a key role in reducing hepatic lipid accumulation, and reduced lipogenic fators, SREBP-1c, ACC, and FAS. Conclusions : Taken together, it is conceivable that Sobuncheong-eum has an potential to alleviate steatosis, and which may be mediated by activating AMPK at least in part.

알코올로 유도된 간손상 모델 HepG2/2E1 세포에서 오리나무 잎 추출물의 간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Extracts of Alnus japonica Leaf on Alcohol-Induced Liver Damage in HepG2/2E1 Cells)

  • 김보람;김태수;성수희;한세희;김진호;서찬;이하늘;임수아;김정은;정지민;정도윤;최경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9
    • /
    • 2024
  • 활성산소종은 미토콘드리아 대사활동을 통해 생성되는 반응성이 강한 산소 함유 분자로서 특히 간에서 복잡한 세포 분자와 반응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물질이다(Choi et al., 2012). 에탄올 대사 과정에서는 ROS가 생성되어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과도한 에탄올은 ROS를 제거하는 항산화 시스템을 억제함으로써 지방, 단백질 또는 DNA와 같은 생체 분자에 산화 손상을 유발하여 세포를 손상시킨다(Albano, 2006; Koch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오리나무 잎 추출물(AJL)에서 알코올(EtOH)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의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epG2/2E1 세포에서 EtOH와 AJL 및 대조군silymarin을 각각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고 세포독성이 없는 범위를 설정하여 활성산소종 생성량, 항산화 관련 지표(DPPH, ABTS, MDA, GSH) 및 간 손상 지표(AST 및 ALT)를 측정하였다.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이 53.8%로 감소하였으나 AJL을 함께 처리 군에서 세포생존율이 85.1%의 유의적인 증가로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AJL에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능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ROS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AJL 농도별 처리시 정상군 수준으로 ROS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MDA 함량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AJL 처리시 농도 의존적으로 에탄올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MDA 함량을 감소시켰다. GSH 함량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AJL 농도별 처리군 모두 에탄올 처리군에 비해 GSH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간손상 지표로 활용되는 AST 및 ALT 활성 변화 확인 시, 에탄올 처리에 따른 간세포 손상군에 비하여 AJL 처리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대조군silymarin과 비교하여 유사한 감소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종합해 볼때AJL은 간손상에 대한 보호 및 간손상 억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간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건강기능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지방간 진행 조절에 대한 헤지호그와 에스트로겐의 잠재적 역할 (Potential Roles of Hedgehog and Estrogen in Regulating the Progression of Fatty Liver Disease)

  • 현정은;정영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95-1803
    • /
    • 2011
  • 현대인의 고지방 식습관과 당뇨와 비만인구 증가로 인한 비 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의 유병률(prevalence rate)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남성과 폐경기 여성에게서 두드러진다. 이런 성 특이적(sex-specific) 간질환의 차이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의 보호 역할 때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에스트로겐의 보호 기작을 포함한 지방간의 만성 간질환으로의 진행 메커니즘이 규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간질환의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책이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 최근에 간 섬유화(fibrosis)를 포함한 만성 간질환의 진행에서 헤지호그(hedgehog) 신호전달계가 주요한 역할을 함이 보고되면서 손상된 간의 회복과 간질환 진행메커니즘 조절을 위한 연구대상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헤지호그는 발생 및 분화를 조절하는 모포젠(morphogen)으로 성인의 건강한 간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나, 손상된 간에서 손상 정도에 비례하게 재 발현되며, 섬유화 유발세포인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s) 및 간 줄기세포(hepatic progenitor cells)의 활성 및 증식인자로 작용하여 지나친 간 섬유화를 일으킨다. 이에 반해, 에스트로겐은 간 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s)가 근섬유아세포로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간 섬유화를 막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간 섬유화에 대한 헤지호그와 에스트로겐의 상반된 역할 사이의 관련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간 섬유화 유발 물질인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발현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억제효과와 헤지호그에 의한 오스테오폰틴 발현 유도는 오스테오폰틴에 의해 매개되는 에스트로겐과 헤지호그 신호전달계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에스트로겐에 의한 헤지호그 신호전달계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은 간질환 환자에서의 간 섬유화 및 만성 질환으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간 섬유화에 대한 헤지호그와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상호 관련성 및 조절 기작을 밝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올레산 유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urple Corn 'Seakso 1' Husk and Cob Extracts on Lipid Accumulation in Oleic Acid-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G2 Model)

  • 이기연;김태희;김재은;배선화;박아름;이효영;최성진;박종열;권순배;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3-101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oleic acid로 지방생성이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에 의한 HepG2 세포 내 지방 축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에 oleic acid로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추출물에 의한 중성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지방합성 및 축적에 관련된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을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Oil Red O와 Nile Red 염색을 통하여 추출물의 처리로 HepG2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RT-PCR에 의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oleic acid에 의하여 지방 생성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추출물 처리군의 SREBP-1c와 SREBP-1a 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AMPK, p-SREBP1, PPARα, FA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간에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SREBP1 단백질의 발현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FAS의 단백질 발현향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지질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간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한방 비만 치료 후 간기능 개선을 보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1례 보고 (A Case Study on 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Patient Improved by The Oriental Obesity Therapy Program)

  • 허자경;황덕상;이창훈;이경섭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5-94
    • /
    • 200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 of oriental medical obesity therapy on obese patient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e supposed to treat patient 21 years old that had non-alcoholic fatty liver with oriental medical obesity therapy.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from the 19th of July to the 22th of August for obesity treatment. And the patient had intensive care through admission treatment from the 19th of July to the 30th of July. Herbal medicine, low calorie and low cholesterol diet, electrolipolysis, auricular acupuncture, aerobic exercise was don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Results His body weight decreased from 107.10㎏ to 98.85㎏. The BMI decreased from 36.2㎏/$m^2$ to 34.5㎏/$m^2$. Abdominal visceral fat tissue decreased from 190.80$cm^2$ to 145.05$cm^2$. AST was decreased from 113 to 45. ALT was decreased from 145 to 40. r-GT was decreased from 123 to 51. Oriental obesity therapy could be effective to treat obese patient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nclusions The obese patient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ad improved liver function after oriental obesity treatment.

  • PDF

C57BL/6 마우스에서 고지방 식이와 CCl4로 유발한 간섬유증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urcumin on CCl4-Induced Hepatic Fibrosis with High Fat Diet in C57BL/6 Mice)

  • 제갈승주;민병운;박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51-258
    • /
    • 2015
  • 커큐민(curcumin)은 강황 내 주요 폴리페놀 화합물의 한 성분으로 비만과 관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막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 식이로 키운 비만 마우스에서 사염화탄소($CCl_4$)로 유발한 간섬유증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군간 비교를 위해, 정상 식이와 고지방 식이로 키운 마우스에 7주간 $CCl_4$를 투여하면서 동시에 커큐민을 투여한 것과 투여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었으며, 체중이나 혈당과 같은 대사 프로파일이나 지방세포의 크기 및 간섬유증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혈청 생화학적 검사, 조직학적 검사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간세포 내자멸세포의 관찰을 위해 TUNEL 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CCl_4$ 마우스에 커큐민을 투여한 군에서는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체중, 공복혈당 수치, 혈청 AST, ALT 수치가 낮았고, 지방조직 내의 지방세포 크기와 대식세포 및 비만세포 수가 감소하였다. 이와 반대로 정상식이+$CCl_4$ 마우스에 커큐민을 투여한 경우에는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체중과 비만세포 수 이외에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더욱이 커큐민은 간조직의 간실질세포의 자멸세포 수는 줄인 반면 활성 간성상세포 모양의 비실질세포의 자멸세포 수를 증가시켰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커큐민은 비만 마우스의 간질환 진행에서 효과적인 항섬유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olesterol Free 우유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lesterol Free UHT Pasteurized Milk)

  • 전정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24-528
    • /
    • 2005
  • 심장질환 등을 유발하는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동물성 지방을 제조공정을 통하여 제거하고 conventional milk의 기호도와 유사한 cholesterol free 우유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동물성 지방 함량은 대조구와 콜레스테롤을 제거한 실험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0.05), 모든 시료는 알코올, 가수, 체세포수에서 안정성이 있는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콜레스테롤은 대조구의 7 mg/100 mL에 비해 실험구는 검출되지 않아 건강에 유익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모든 시료에서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고, 아플라톡신 $M_1$, 항생물질(7종) 및 합성항균제(15종) 잔류물질도 음성이어서 품질적 차이가 없었다. 색도와 관능검사 중 color는 대조구와 CFM1이 유의성(p<0.05)이 있었으나 CFM2는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실험구 중 CFM2가 보통 우유와 품질적으로 유사한 건강지향적인 cholesterol free 우유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세포 모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Benincasa Seeds on the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최준용;김소연;권민정;김균하;주명수;한창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38-447
    • /
    • 2012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ethanol extract of Benincasa seeds on a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established by treating HepG2 cells with palmitate. Methods : We evaluated ethanol extract of Benincasa seeds (EEBS) for its hepatic lipid-lowering potential in fatty acid overloaded HepG2 cells. After incubation in palmitate containing media with or without EEBS, intracellular neutral lipid accumulations were quantified by Nile red staining.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EEBS on lipogenesis and ${\beta}$-oxidation. $LXR{\alpha}$-dependent SREBP-1c activation, expression of lipogenic genes, and expression of ${\beta}$-oxidation related genes were determined with or without pretreatment of EEBS. Results : EEBS significantly attenuated palmitate-induced intracellular neutral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s. EEBS suppressed fatty acid synthesis by inhibiting $LXR{\alpha}$-dependent SREBP-1c activation. EEBS also repressed SREBP-1c mediated induction of lipogenic genes, including ACC, FAS, and SCD-1. However, EEBS had no effect on ${\beta}$-oxidation related CPT-1 and $PPAR{\alpha}$ gene expression.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EEBS has an efficacy to decrease hepatic lipid accumulation, and this effect was mediated by inhibiting the $LXR{\alpha}$-SREBP-1c pathway that leads to expression of lipogenic genes and hepatic steatosis. Therefore, the Benincasa seeds may have a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this chron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지방간 세포 모델에 대한 택사, 산사, 구기자, 울금, 단삼, 인진의 효능 비교 (Comparison of the Therapeutic Efficacy of Rhizoma Alismatis, Fructus Crataegi, Fructus Lycii, Radix Curcumae, Radix Salviae Miltiorrhizae, Herba Artemisiae Scopariae on the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한창우;주명수;이장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33-542
    • /
    • 2012
  • Objectives : We try to compared the efficacy of six herbal medicines, Rhizoma Alismatis (RA), Fructus Crataegi (FC), Fructus Lycii (FL), Radix Curcumae (RC),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SM), and Herba Artemisiae Scopariae (HAS), constituting KHchunggan-tang which was previously proven to be hepatoprotective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combined properties of cellular steatosis, ROS production, and cytoprotection. Methods : HepG2 cells were pretreated with aqueous extracts of the six herb medicines at concentrations of 1, 10, 50 and 100 ${\mu}g/ml$ each, and treated with 0.5 mM palmitate consecutively. After 21 hrs, cell viability was assessed using MTT assay, and the percentage of cells with sub-G1 DNA content was measured using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after propidium iodide staining. Results : The first three extracts, RA, FC, and FL restored cell viability reduced by palmitate in MTT assay, and RA, FC, FL and RC inhibited palmitate-induced apoptosis in sub-G1 analysis. FL showed relatively weak potential only at tested maximal dose, and RA showed the greatest higher efficacy on this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nclusions :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periment, Rhizoma Alismatis seems to have the most powerful potential among the six herbs constituting KHchunggan-tang, and consecutive further study seems to be required for more standardized and effective clinical application of KHchunggan-tang f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