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이용한 숙주조절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 (Effects of host modulation b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periodonta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강대영;조인우;신현승;안형식;김현정;박정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7-18
    • /
    • 2017
  • 목적: 아라키돈산 대사물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잠재적인 숙주조절제로 고려되고 있다. 이종설의 목적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비외과적 치주치료와 병용하였을 때 치주질환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관련된 연구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Cochrane의 고찰 방법론에 따라 방법론적인 질, 임상 부착 수준과 탐침 깊이 변화량에 대한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12개의 연구의 방법론을 평가하였고 이중 9개의 연구에 대해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 부착 수준의 변화에 대한 평균차의 경우 모든 관찰기간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군과 대조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가장 큰 평균차는 4주 때 0.30 mm로 나타났다(95% 신뢰구간 = -0.37 to 0.97). 탐침 깊이 변화에 대한 평균차는 6주 때 0.34 mm(95% 신뢰구간 = 0.29 to 0.40)로 유의차를 보였다. 결론: 이를 토대로 하였을 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비외과적 치주치료와 병용하여 투여하였을 때 부가적으로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Sulindac의 성장억제와 세포고사 유도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of Sulindac on Human Lung Cancer Cells)

  • 김학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14-522
    • /
    • 2004
  • 연구 배경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대장암의 화학 예방에 이용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복용한 결과 대장암 발생의 위험이 40-50% 감소하였다. Sulindac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일종으로 대장암의 예방 효과가 있으며 암세포의 성장 억제와 세포 고사를 유도시킨다. 이에 저자들은 3가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sulindac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A549(선암), NCI-H157(편평상피암), NCI-H460(대세포암) 세포주에 sulindac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MTT assay로서 암세포의 생존율을, 유식세포 분석법과 핵산 염색으로 세포 고사의 비율을, 유산탈수소효소유리로서 세포 사멸의 정도를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결 과 : Sulindac에 의해 농도와 시간에 의존적으로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암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였고, 유산 탈수소 효소 유리는 증가하였으며, 세포 고사 역시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결 론 : Sulindac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생존율 감소와 세포 고사증가를 유도하였다.

Cyclooxygenase 억제제 검색을 통한 항염증제 개발 연구 (New screening method for anti-inflammatory agent)

  • 이수환;정성원;이우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36
    • /
    • 1994
  • Gram 음성균의 세포벽 성분인 lipopolysaccharide는 각종 세포에서의 prostaglandin 합성을 증진 시키며 이는 cyclooxygenase-2의 선택적 발현에 기인한다는 사실이 이미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use peritoneal marophage를 대상으로 하여 LPS의 prostaglandin 합성 증진 작용에 대한 특성으로 검토함으로써, COX-2에 대한 선택적 저해제 검색에 이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코자 하였다. LPS는 peritoneal macrophage에 처리시 약 8시간 정도의 lag time을 보인 후 prostaglandin 합성을 현저히 증진 시켰으며, 이는 주로 COX 활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LPS의 작용은 항염증제인 dexamethasone에 의해서 강하게 억제 되었으며 metabolic labeling 결과 이는 COX-2의 생합성을 억제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ouse peritoneal macrophage에서의 LPS에 의한 prostaglandin 합성 증진 작용은 rat alveolar macrophage와 정성적으로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실험 조건은 COX-2에 대한 선택적 저해제 검색에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실험 조건하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인 ketoprofen의 작용을 검토한 결과 ketoprofen은 COX-1에 비교적 선택적인 저해 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 PDF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효소 억제제에 의한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 억제 및 분자약리학적 기전 (Inhibition of Human Neutrophil Elastase by NSAIDs and Inhibitors, and Molecular Pharmacological Mechanism of the Inhibition)

  • 강구일;김우미;홍인식;이무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5-431
    • /
    • 1996
  • 염증 질환의 원인이 되는 사람 중성구 elastases는 혈액에 존재하는 ${\alpha}_1-PI$${\alpha}_2-macroglobulin$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에 의하여 조절되어진다. 그러나 특수한 병리적 상황에서 과다하게 분비되는 효소나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의 비정상적 작용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염증질환이 유발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미 임상에 적용 하고 있으며, prostaglandin 합성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s의 활성도를 억제하는 것이 그 작용 기전으로 잘 알려져 왔다.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는 naproxen, phenylbutazone, oxyphenbutazone 등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ibuprofen, ketoprofen, aspirin, salicylic acid, tolmetin 등에 의하여서는 억제되지 않았다. 또한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는 EDTA, EGTA, tetracycline 등에 의하여서도 억제되었다. EDTA에 의하여 2가 이온 $Ca^{++}$$Zn^{++}$등을 elastase 분자로부터 일부 제거함으로 효소 활성도가 억제되었고 Raman spectra의 변화도 강하게 일어났으며, 금속이온 $Zn^{++}$를 새로 충진함으로 그 활성도는 원래대로 회복되고 Raman spectrum도 원래 상태와 유사한 상태로 회복되었다. 이런 현상은 chelator나 chelator-like agents가 효소분자안에 존재하는 $Zn^{++}$ 이온을 제거하거나 chelation함으로 활성 부위나 그 인접 부위의 4차원 구조의 변화를 일으켰음에 기인하며 특히 -C=O나 -COOH기의 관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와사끼병에서 정맥용 면역글로불린에 반응 후 아급성기에 발생한 관절염 (Arthritis in the Subacute Stage of Kawasaki Disease after Responding to Intravenous Immunoglobulin Treatment)

  • 이경일;오진희;고대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124-1127
    • /
    • 2003
  • 저자들은 가와사끼병으로 IVIG 치료로 해열을 보인 후, 급격히 발병한 관절염을 보인 5명의 환아에 대해 임상적 경과, 실험실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IVIG 치료에 반응 후 평균 5.8일 후에 관절염 증상이 나타났으며, 임상적 분류상 소수 관절형 형이 3례, 다수관절형이 2례로 나타났다. 검사실 소견에서 류마토이드 인자는 1례에서 양성을 보였으나 이 후 음성으로 전환되었다. 3명에서 조사된 HLA B27은 모두 음성을 보였다. 치료로는 고용량 아스피린(2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이부프로펜, 3례), 스테로이드제(메틸프레드니솔론, 1례)를 사용하였다. 가와사끼병의 경과 중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치료 후 관절염이 드물게 관찰된다. 이러한 관절염은 스테로이드제를 비롯한 항염증제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고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에 의한 사람 중성구 Cathepsin G의 활성도 억제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Cathepsin G by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 배성준;감사열;강구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54
    • /
    • 1990
  • 사람 중성구내의 azurophil granule 내에 존재하는 serine protease인 cathepsin G는 정상 반응에서는 항 박테리아 작용을 나타내는데 관여하지만, 이들의 효소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었을 때는 오히려 인체 정상 조직을 파괴함으로써 rheumatoid arthritis를 비롯한 여러가지 염증성 질환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항염증제로 작용하는데 있어서 prostaglandin 합성을 억제하는 작용 이외에 다른 작용 기전이 있는가 하는것은 대단히 흥미있는 연구 과제이었으므로 neutral protease 중의 하나인 cathepsin G와 이 염증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두 단계의 크로마토그라피를 거쳐 순수한 cathepsin G를 분리하고, 여러가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이용하여 cathepsin G에 대한 억제 정도를 관찰하였다. 이중 sulindac, salicylate, phenylbutazone, oxyphenbutazone 그리고 salicyluric acid가 각각 4.3mM, 14.3mM, 6.5mM, 11mM, 15mM의 $IC_{50}$로써 cathepsin G의 활성도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NSAIDs의 항염증 작용 기전은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cyclooxygenase 억제에 따른 prostaglanndin 합성, 분비 억제 기전이외에 rheumatoid arthritis 부위에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cathepsin G를 억제 함으로써 조직 파괴를 막는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약물독성 예방을 위한 Methocarbamol의 약물조합 (A Methocarbamol Combination to Prevent Toxicity of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s)

  • 염승민;김민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88-98
    • /
    • 2017
  •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대한 개별적 독성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로박스 플라티넘(Robax Platinum), 로박스아세트(Robaxacet), 나프록센(Naproxen) 그리고 재활치료를 선택적으로 처방하여 비 스테로이드 진통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에 대한 독성증상을 예방을 위한 효과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로박스 플라티넘(Robax platinum), 로박스아세트(Robaxacet), 나프록센(Naproxen)을 주한미군 처방전(Annex A-Over-The-Counter Prescription)을 기준으로 하여 처방하였고, 앨리스 리치의 통증 척도(Alice Rich's Pain Scale)를 사용하여 통증 경과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IBM SPSS statics 24 버전을 사용하여 데이를 계산했다. 결합된 메토카바몰(Methocarbamol, 500 mg),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325 mg), 이부프로펜(Ibuprofen, 200 mg) 정제는 결합된 메토카바몰(Methocarbamol, 500 mg) 정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325 mg)의 알약이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메도카바몰 500mg, 아세트아미토펜 325 mg 및 이부프로펜 200 mg 정제의 약물 조합은 메도카바몰 500 mg 및 아세트아미노펜 325 mg 정제가 전반적인 통증 조절과 관련하여 물리적인 스트레칭 운동과 쌍을 이룬 것과 유사한 통증 완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FMLP에 의한 사람 중성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the FMLP-Induced Migration of Neutrophil)

  • 김우미;강구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7-143
    • /
    • 1994
  • 본 연구는 7종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FMLP에 의한 사람 중성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약물의 농도별로 관찰하고자, Hypaque-Ficoll step gradient centrifugation방법에 의하여 중성구를 분리하고, 48-well micro chemotaxis assembly를 이용하여 chemotactic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Oxyphenbutazone, phenylbutazone, zomepirac, ibuprofen은 약물의 치료 농도하에서 중성구의 이동에 대한 강력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며, indomethacin은 중성구의 이동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약제들은 모두 100uM미만의 약물 농도에서 각각 IC50를 나타내었으며, oxyphenbutazone, phenylbutazone은 10uM에서 최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zomepirac, ibuprofen은 각각 0.luM과 100uM에서 가장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약제를 FMLP와 함께 하단 구획에 첨가하였을 때에는 세포와 함께 상단구획에 첨가하였을 때와는 상이하게 세포의 이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약제가 FMLP와의 분자적 상호 작용을 통하여 FMLP의 작용을 저하시키는 것보다는 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였음을 나타내어 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oxyphenbutazone등의 약제가 100uM미만의 저농도에서 FMLP에 의한 중성구의 이동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보고, 이 작용은 지금까지 비스테로이드성 함염증제의 작용 기전으로 말려진 cyclooxygenage 억제 작용과는 별개의 기전으로 사료되므로, 이를 상기 약제가 세포 수준에서 나타내는 제 2의 약리 기전으로 제시한다.denosine의 효과를 길항함을 볼 수 있었으나 $K{^+}$-통로 차단제인 glibenclamide는 adenosine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8-Bromo-cAMP (100과 $300{\mu}M$) 그 자체로는 ACh 유리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치 못하였으나 $300\;{\mu}M$ 8-bromo-cAMP 전처리에 의하여 $30\;{\mu}M\;adenosine$의 효과가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A_1-adenosine$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ACh유리 감소는 G-단백에 의존적이며, 이러한 효과에 nifedipine에 예민한 $Ca^{++}$-통로와 adenylate cyclase계가 일부 관여함은 확실하나 proteinkinase C 및 glibenclamide에 예민한 $K{^+}$통로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新稱), Phellinus pomaceus), 회주름구멍버섯(신칭(新稱), Antrodia crassa), 층주름구멍버섯(신칭(新稱), Antrodia serialis), 흰그물구멍버섯(신칭(新稱), Ceriporia reticulata), 겹친손등버섯(신칭(新稱), Oligoporus balsameus), 점박이손등버섯(신칭(新稱), Oligoporus guttulatus), 무른흰살버섯(신칭(新稱), Oxyporus cuneatus), 각목버섯(신칭(新稱), Rigidoporus microporus), 및 주름옷솔버섯(신칭(新稱), Trichaptum laricinum)으로서 우리말 이름과 영문 기재(記載)와 함께 우리나라의 균류목록(菌類目錄)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였으며, White+NAA

  • PDF

근골격계 질환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 (Opioids and Antidepressants for Pain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ease)

  • 박세진;김우섭;장태동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20
  • 고령화의 진행 및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수술적 치료 방법을 포함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이 증가되고 있으나 수술적 치료 시행 전 보존적 치료는 충분히 시행되어야 한다. 보존적 치료 중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는 오래 전부터 보존적 치료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스테로이드(steroid), 마약성 진통제(opioid),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등이 있으며 저자는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으로 인해 말초 부위에 있는 통각 수용체에 자극이 전달되면 통증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상향성 경로(ascending pathway)를 거쳐 대뇌에 전달되고 대뇌는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하향성 조절 경로(descending pathway)를 통해 엔도르핀(endorphin)과 같은 내인성 마약성 진통제를 분비하게 된다. 마약성 진통제라는 것은 마약성 진통제 수용체(receptor)에 작용하는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마약성 진통제는 세 가지의 수용체가 존재하며 조직이나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달라진다. 이와는 달리 항우울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에 작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상향성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된 기전으로 만성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적이며 이는 마약성 진통제 계열과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설에서는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와 항우울제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시 유의점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인간 A549 폐암세포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genistein의 복합처리에 의한 NAG-1 의존적 세포사멸 증진 효과 (Combined Treatment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Genistein Synergistically Induces Apoptosis via Induction of NAG-1 in Human Lung Adenocarcinoma A549 Cells)

  • 김초희;김민영;이수연;문지영;한송이;박혜경;강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73-1080
    • /
    • 2009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은 항염 및 진통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억제 외에 다양한 신호전달 분자를 통해 여러 가지 세포생리활성을 조절하며, 암세포에서는 세포사멸 유도를 통한 항암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SAIDs가 암세포사멸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데 있어 phosphatidyl inositol 3-kinase (PI3K)-Akt/protein kinase B (PKB) 그리고 MEK1/2-ERK1/2 신호 전달계과 같은 anti-apoptotic program이 NSAIDs의 효과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예상하고, 이들 항세포사멸 프로그램을 억제하였을 경우, NSAIDs의 세포사멸 유도작용이 증가되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세포사멸은 Hoeschst 33342으로 핵응축과 핵 쪼개짐을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통해 단백질 발현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NSAIDs 처리와 동시에 PI3K-Akt/PKB와 MEK-ERK1/2 신호전달계의 억제제를 함께 처리했을 때, NSAIDs의 세포사멸유도작용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I3K와 MEKl/2 신호전달계의 상위에 존재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의 억제제인 genistein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복합처리에 의해 NAG-1 발현이 증가하며 NAG-1 interference 하였을 경우 복합처리에 의한 세포사멸증진 효과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암세포에 활성화 되어 있는 세포생존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물질(genistein 혹은 LY294002+U0126)을 복합처방함으로써 NSAIDs의 항암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