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수계전해질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탄소나노튜브/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복합체로부터 제조된 탄소의 탄화온도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 (Inflence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vinylidene fluoride) composite-derived carbons)

  • 김지일;박수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4.2-214.2
    • /
    • 2011
  • In this work, porous carbon based electrodes are prepared by carbonization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PVDF)/carbon nanotube (CNT) composites to further increase the specific capacitance for supercapacitors. Electrode materials investigate the aspects of specific capacitance, pore size distribution and surface area: influence of carbonization temperatures of PVDF/CNT composite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by cyclic voltammetry, impedance spectra,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performance with in $TEABF_4$ (tetraethylammonium tetrafluoroborate)/acetonitrile as non-aqueous electrolyte. From the results, the highest value of specific capacitance of ~101 $F{\cdot}g^{-1}$ is obtained for the samples carbonized at $600^{\circ}C$. Furthermore, pore size of samples control be low 7 nm through carbonization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micropore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specific capacitance, resulting from improved charge transfer.

  • PDF

상온제련을 위한 네오디뮴의 비수계 전해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Non-aqueous Electrolysis of Neodymium for Room-temperature Metallurgy)

  • 박제식;이철경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4호
    • /
    • pp.29-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네오디뮴의 상온제련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수계 전해액에서 네오디뮴의 전기화학적 레독스 거동을 조사하였다. 비수계 전해질로는 이온성액체인 $[C_4mim]PF_6$, $[C_4mim]Cl$, $[P_{66614}]PF_6$와 함께 네오디뮴 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에탄올과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탄산염계 유기용액을 기반으로 한 혼합전해질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른 전해액에 비하여 ethylene carbonate(EC)/di-ethylene carbonate (DEC)의 경우가 네오디뮴의 전기화학적 레독스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물성향상을 위하여 에탄올을 첨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순수한 1 : 1 EC/DEC와 에탄올의 혼합 비율, 그리고 $NdCl_3$의 농도에 따른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함량 50 vol%, $NdCl_3$ 농도 0.5 M에서 전해질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순환전위법과 선형전위법을 이용해 -3.8 V (vs. Pt-QRE)에서 네오디뮴의 환원반응으로 추정되는 전류피크가 관찰된다. 상온에서 -6 V (vs. Pt-QRE)에서 18시간 동안 정전압법으로 전해한 결과, 금속 네오디뮴이 전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용 내재적 미세 다공성 고분자 기반 3차원 다공성 탄소 전극 (Intrinsic Porous Polymer-derived 3D Porous Carbon Electrodes for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Applications)

  • 한재희;서동학;김태호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759-764
    • /
    • 2018
  • 내재적 미세 다공성 고분자(polymer of intrinsic microporosity, PIM-1)를 사용하여 빈용매 유도 상전이법으로부터 3차원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필름을 형성하고, 이를 탄화하여 3차원 다공성 탄소(cNPIM)를 제조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 분석을 통해 상전이 공정을 적용한 탄소소재가 마이크로, 메조, 매크로 기공을 모두 가지면서 서로 연결된 계층적 3차원 다공구조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전이 공정의 용매의 함량비를 조절함으로써 기공구조를 제어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평균 0.75 nm의 기공 크기와 $2101.1m^2/g$의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면서 약 30%의 메조, 마크로 기공구조를 겸비한 최적화된 다공성 탄소 전극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3차원 다공성 탄소소재를 전기이중층 캐퍼시터용 전극물질로 사용하여 수계전해질에서 측정한 결과,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는 탄소 소재 내의 비약적 이온 이동속도 향상 효과로 높은 비축전용량(304.8 F/g@10 mV/s)과 우수한 충 방전 속도(77% 용량유지율@100 mV/s)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