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여수로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sign of Emergency Spillway Using Hydraulic and Numerical Model - ImHa Multipurpose Dam (수리모형실험과 수치모의를 이용한 비상여수로 설계-임하댐)

  • Jeon, Tae-Myoung;Kim, Hyung-Il;Park, Hyung-Seop;Baek, 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26-1731
    • /
    • 2006
  • Hydraulic and numerical models were applied to design the emergency spillway of ImHa multipurpose Dam. For the numerical model, FLOW-3D was used to evaluate the three-dimensional flow in the spillway. The results of hydraulic mode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numerical model which were separated into four zones such as approaching zone, weir zone, transition & tunnel chute zone, and dissipator zone. Moreover, for optimum design of the spillway, the hydraulic and numerical models were performed for the basic pla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basic plan, the optimized alternative design was proposed. The numerical models for various conditions of the spillway were performed, which is not always feasible in the hydraulic models. Verified by using the hydraulic models, the optimum alternative design was proposed.

  • PDF

Effect of Cut-off Wall near the Entrance of Spillway Tunnel (비상여수로 입구부의 차수벽 설치 효과 분석)

  • Kim, Gyoo-Bum;Son, Young-Chul;Seo, Kyung-S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2
    • /
    • pp.147-153
    • /
    • 2010
  • Cut-off wall with a low permeability can be constructed to prevent groundwater seepage in spillway tunnel areas. Three spillway tunnels are constructed in Im-ha multipurpose dam region and three types of cut-off walls with a variety of directions and scales are designed. As a result of MODFLOW modeling to assess the effect of cut-off wall for three types, groundwater inflows to the tunnels range from 64.26 $m^3/day$ to 65.49 $m^3/day$ and also they through a cut-off wall section from a reservoir do from 44.08 $m^3/day$ to 45.31 $m^3/day$ and i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Therefore, a construction process and 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rather than the effectiveness of cut-off wall need to be considered to select the best cut-off wall in this region.

A Case Study of Spillway Design of Imha Dam (임하댐 비상여수로 설계 사례 소개)

  • Kim, Dong-Min;Kim, Tae-Hyun;Jang, Min-Chul
    • 기술발표회
    • /
    • s.2006
    • /
    • pp.364-371
    • /
    • 2006
  •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이상홍수가 빈번하고, 댐 설계홍수량 설계기준이 가능최대홍수량(PMF)으로 강화되었으며, 최근의 주요 호우사상을 고려하여 산정한 임하댐 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P.M.P)이 설계 당시보다 증가됨에 따라 가능최대홍수량(PMF) 유입시 댐 안정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 과업은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검토 및 치수능력증대 기본계획 수립, 2004. 9.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에 의거하여, 최근의 태풍 ‘RUSA’(’02) 및 ‘MAEMI’(’03)와 같은 이상호우에 대한 댐 및 여수로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비상여수로를 계획하였다. 비상여수로는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한 후, 가능최대홍수량(PMF)과 같은 홍수유입시 댐의 안전을 위하여 신속히 홍수를 배제시킬 수 있는 수리적.구조적인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고, 시공성, 경제성 및 환경성 측면을 고려하여 댐우안 300m 지점에 터널규모 D15m${\times}$3련 ${\times}$L1,262m (L1=379m, L2=421m, L3=462m)의 월류형 터널식으로 계획하였다.

  • PDF

Effectiveness Analysis of Aerator for the Prevention of Cavitation in the spillway (여수로 공동현상 발생방지를 위한 공기혼입장치의 효과분석)

  • Lee, Bum-Ju;Lee, Jae-Hong;Lee, Eun-Tae;Lee, Je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8-538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홍수의 발생으로 인하여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댐의 비상여수로를 건설하여 이상홍수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여수로의 운영상 고유속의 흐름이 방류되는데 이때 공동현상이 발생하며, 공동현상으로 인해 발생된 공동이 파괴되면서 구조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피해예방을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대책은 공기혼입장치이며, 국내에는 최근에 적용되고 있으나, 세부적인 설계기준과 설계기법, 절차등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로 구조물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공동현상에 대해서 이론적, 실험적인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공동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기존댐에 적용한 공기혼입장치 설치에 대해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여수로의 대표단면인 개착식 여수로의 구형단면에 대해서는 주암조절지댐을 선정하고 터널식 여수로의 원형단면에 대해서는 임하댐 비상여수로를 대상구조물로 선정하여 각각 1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공기혼입장치의 위치 및 최적규모를 산정하고자 한다. 1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된 공동현상 및 공기혼입장치에 대해서 3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압력변화 및 공기혼입량등 공기혼입장치의 설치전과 설치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1차원, 3차원 수치해석 결과에 대한 검증과 구조물의 안정성 증대를 확인하고, 추후 기타 여수로 구조물의 설계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고효율기기로 飛翔하는 '여수공항'

  • Park, Yun-Sil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37
    • /
    • pp.18-21
    • /
    • 2005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의 여수공항. 90년 한국공항공사가 여수지사를 설립한 이후 95년 공항시설 확장공사에 들어간 여수공항이 지난 11월 25일 신여객청사를 개관했다. 여수공항의 확장공사는 외관의 크기만 늘어나는 것이 아니다. 내부의 전등기기, 기계실 기기 등을 고효율기기를 활용하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도 잡아내고 있다. 새로워진 모습으로 국제화를 위해 비상할 여수공항을 찾았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the Spillway Tunnel Located on the Granite Region Including Fault Fractured Zone (단층파쇄대를 포함한 화강암지역의 여수로 터널 안정성 분석)

  • Han, Kong-Chang;Ryu, Dong-Woo;Kim, Sun-Ki;Bae, Ki-Chung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8 no.1
    • /
    • pp.58-68
    • /
    • 2008
  • The construction of an emergency spillway of Imha Dam is being in progress on the granite region including fault fractured zone. Considering that this tunnel is being excavated in three paralled rows, the pillar width between each tunnel and the face distance between each tunnel face were evaluated. The Influence of the fault fractured zone for the tunnel stability was investigated by numerical modelling in 3D. Various geophysical investigations and rock engineering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se purposes. It was suitable that the second tunnel would be excavated in advance, maintaining the face distance between each tunnel face of minimum 25 m.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ling showed that the roof displacement and the convergence of the second tunnel were insignificant, and the maximum bending compressive stress, the maximum shear stress of shotcrete and the maximum axial force of rockbolt were also insignificant.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the stability of the spillway tunnel was ensured.

Investigating Operation Rule of Daecheong-dam with additional Emergency Spillway (비상여수로 설치에 따른 대청댐의 운영수위 검토)

  • Seo, Hyun-Gyoo;Kim, Dae-Geun;Kim, Chang-Si;Lee,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37-9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상여수로와 같은 치수능력 증대를 위한 구조물의 이수적 측면의 활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로 구분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고, 대청댐 하류부 무피해 방류량을 산정하였으며,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비홍수기 운영수위인 상시만수위와 홍수기 운영수위인 제한수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 비홍수기 상시만수위와 홍수기 제한수위를 가변적으로 운용하여 다목적댐의 이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pillway Design by Using Numerical Model Experiment - Case Study of AnDong Multipurpose Dam -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여수로 설계 - 안동다목적댐 -)

  • Kim, Dae-Geun;Park, Sun-Jung;Lee, Young-Sik;Hwang,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04-1608
    • /
    • 2008
  • 최근 기상이변 등에 따라 빈번히 발생하는 이상홍수에 대비하여 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댐설계기준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가능최대홍수량(PMF) 유입시 댐의 항구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치수능력 증대사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의 치수능력 증대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비상여수로에 대하여 2차원, 3차원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비상여수로의 수리학적 안정성과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최적의 설계안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접근수로의 유황, 월류위어의 방류능력, 급경사수로 및 감세공의 유황을 검토하였다. 특히, 월류위어의 교각형상에 따른 수면형상, 조절부의 제원에 따른 방류량 검토, 조절부의 평면형상에 따른 유황, 급경사수로의 종단경사에 따른 유황, 저유량 방류시 플립버킷부에서의 사출궤적 등에 대한 검토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치모형실험은 설계자에게 실용적인 해석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