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상여수로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초

수리모형실험과 수치모의를 이용한 비상여수로 설계-임하댐 (Design of Emergency Spillway Using Hydraulic and Numerical Model - ImHa Multipurpose Dam)

  • 전태명;김형일;박형섭;백운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26-17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임하다목적댐의 비상여수로 설계를 위하여 수리모형실험과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의에는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사용하였다. 비상여수로 설계를 위하여 접근수로부, 월류웨어부, 천이부 및 도류부, 그리고 감세부로 나누어 수리모형실험과 수치모형실험의 수리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최적의 비상여수로 설계를 위하여 기본계획안에 대하여 모의하고 이에 대한 보완점과 문제점들을 찾아내고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하여 수리모형실험에서 쉽게 수행하기 어려운 다양한 조건을 모의하고 최적의 결과에 찾아 이를 수리모형실험으로 검증함으로써 비상여수로 기본설계안을 도출하였다.

  • PDF

비상여수로 입구부의 차수벽 설치 효과 분석 (Effect of Cut-off Wall near the Entrance of Spillway Tunnel)

  • 김규범;손영철;서경수
    • 지질공학
    • /
    • 제20권2호
    • /
    • pp.147-153
    • /
    • 2010
  • 투수성이 낮은 매질로 설치되는 차수벽(Cut-off wall)은 댐 지역 비상여수로 터널 지역에서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임하댐의 3개 비상여수로 터널 입구부에 차수벽 설치시 지하수 유입의 차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MODFLOW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규모와 설치 방향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차수벽 설치 방안이 검토되었는데, 모델링을 통하여 추정된 비상여수로 터널내로 유입되는 지하수량은 약 64.26~65.49 $m^3/day$이며, 이중에서 차수벽 구간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지하수량은 약 44.08~45.31 $m^3/day$로서 방안별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에서는 방안별 차수 효과보다는 시공성, 환경파괴의 최소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차수벽 설치 방안을 제안하였다.

임하댐 비상여수로 설계 사례 소개 (A Case Study of Spillway Design of Imha Dam)

  • 김동민;김태현;장민철
    • 기술발표회
    • /
    • 통권2006호
    • /
    • pp.364-371
    • /
    • 2006
  •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이상홍수가 빈번하고, 댐 설계홍수량 설계기준이 가능최대홍수량(PMF)으로 강화되었으며, 최근의 주요 호우사상을 고려하여 산정한 임하댐 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P.M.P)이 설계 당시보다 증가됨에 따라 가능최대홍수량(PMF) 유입시 댐 안정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 과업은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검토 및 치수능력증대 기본계획 수립, 2004. 9.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에 의거하여, 최근의 태풍 ‘RUSA’(’02) 및 ‘MAEMI’(’03)와 같은 이상호우에 대한 댐 및 여수로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비상여수로를 계획하였다. 비상여수로는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한 후, 가능최대홍수량(PMF)과 같은 홍수유입시 댐의 안전을 위하여 신속히 홍수를 배제시킬 수 있는 수리적.구조적인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고, 시공성, 경제성 및 환경성 측면을 고려하여 댐우안 300m 지점에 터널규모 D15m${\times}$3련 ${\times}$L1,262m (L1=379m, L2=421m, L3=462m)의 월류형 터널식으로 계획하였다.

  • PDF

여수로 공동현상 발생방지를 위한 공기혼입장치의 효과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Aerator for the Prevention of Cavitation in the spillway)

  • 이범주;이재홍;이은태;이정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8-538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홍수의 발생으로 인하여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댐의 비상여수로를 건설하여 이상홍수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여수로의 운영상 고유속의 흐름이 방류되는데 이때 공동현상이 발생하며, 공동현상으로 인해 발생된 공동이 파괴되면서 구조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피해예방을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대책은 공기혼입장치이며, 국내에는 최근에 적용되고 있으나, 세부적인 설계기준과 설계기법, 절차등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로 구조물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공동현상에 대해서 이론적, 실험적인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공동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기존댐에 적용한 공기혼입장치 설치에 대해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여수로의 대표단면인 개착식 여수로의 구형단면에 대해서는 주암조절지댐을 선정하고 터널식 여수로의 원형단면에 대해서는 임하댐 비상여수로를 대상구조물로 선정하여 각각 1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공기혼입장치의 위치 및 최적규모를 산정하고자 한다. 1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된 공동현상 및 공기혼입장치에 대해서 3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압력변화 및 공기혼입량등 공기혼입장치의 설치전과 설치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1차원, 3차원 수치해석 결과에 대한 검증과 구조물의 안정성 증대를 확인하고, 추후 기타 여수로 구조물의 설계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고효율기기로 飛翔하는 '여수공항'

  • 박윤실
    • ESCO지
    • /
    • 통권37호
    • /
    • pp.18-21
    • /
    • 2005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의 여수공항. 90년 한국공항공사가 여수지사를 설립한 이후 95년 공항시설 확장공사에 들어간 여수공항이 지난 11월 25일 신여객청사를 개관했다. 여수공항의 확장공사는 외관의 크기만 늘어나는 것이 아니다. 내부의 전등기기, 기계실 기기 등을 고효율기기를 활용하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도 잡아내고 있다. 새로워진 모습으로 국제화를 위해 비상할 여수공항을 찾았다.

  • PDF

단층파쇄대를 포함한 화강암지역의 여수로 터널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Spillway Tunnel Located on the Granite Region Including Fault Fractured Zone)

  • 한공창;류동우;김선기;배기충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1호
    • /
    • pp.58-68
    • /
    • 2008
  • 임하댐 비상여수로 터널 공사가 단층파쇄대가 포함된 화강암지역에 굴착되고 있는데 본 터널이 3련 터널임을 감안하여 터널이격거리, 터널막장간 이격거리를 검토하였으며 단층파쇄대가 여수로 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지구물리학적 조사와 암반공학적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터널 막장간 이격거리는 최소 25 m 이상을 유지하면서 2터널의 선행 굴착이 적합하리라 판단되며 단층대의 영향을 받는 터널 만곡부의 3차원 수치해석결과 2터널의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는 미미하며 숏크리트 최대 휨압 축응력, 숏크리트 최대전단응력, 록볼트 최대축력 등을 살펴보면 만곡부 굴착에 따른 응력집중은 미미하여 여수로 터널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상여수로 설치에 따른 대청댐의 운영수위 검토 (Investigating Operation Rule of Daecheong-dam with additional Emergency Spillway)

  • 서현규;김대근;김창시;이지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37-9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상여수로와 같은 치수능력 증대를 위한 구조물의 이수적 측면의 활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로 구분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고, 대청댐 하류부 무피해 방류량을 산정하였으며,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비홍수기 운영수위인 상시만수위와 홍수기 운영수위인 제한수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 비홍수기 상시만수위와 홍수기 제한수위를 가변적으로 운용하여 다목적댐의 이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여수로 설계 - 안동다목적댐 - (Spillway Design by Using Numerical Model Experiment - Case Study of AnDong Multipurpose Dam -)

  • 김대근;박선중;이영식;황종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04-1608
    • /
    • 2008
  • 최근 기상이변 등에 따라 빈번히 발생하는 이상홍수에 대비하여 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댐설계기준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가능최대홍수량(PMF) 유입시 댐의 항구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치수능력 증대사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의 치수능력 증대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비상여수로에 대하여 2차원, 3차원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비상여수로의 수리학적 안정성과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최적의 설계안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접근수로의 유황, 월류위어의 방류능력, 급경사수로 및 감세공의 유황을 검토하였다. 특히, 월류위어의 교각형상에 따른 수면형상, 조절부의 제원에 따른 방류량 검토, 조절부의 평면형상에 따른 유황, 급경사수로의 종단경사에 따른 유황, 저유량 방류시 플립버킷부에서의 사출궤적 등에 대한 검토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치모형실험은 설계자에게 실용적인 해석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