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대응

Search Result 32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남북공유하천의 문제점과 협력 방안_2주제: 임진강 유량감소와 대응 방안

  • Song, Mi-Yeong;Lee, Gi-Yeong;Baek, Gy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6-646
    • /
    • 2015
  • 임진강은 북한지역이 유역면적의 60%에 달하고 2000년대 초부터 북한의 4월5일 댐과 황강댐과 남한의 군남과 한탄강 홍수조절지로 인해 물의 흐름과 강의 모습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측면에서도 한반도 중부지역으로 기온 증가와 계절별 유출량, 특히 봄철의 유출량 감소가 전망되는 지역이다. 임진강 본류 유량 감소는 북한 측의 영향은 자료가 전무하고, 남측에서는 횡산, 군남 등 일부 수위표 자료만이 가용한 수준이다. 현재까지 자료로 보면, 2014년에 연강수량이 예년의 50% 수준이었던 점이 본류 유량 감소의 주 원인이었고, 다른 원인은 군남 홍수조절지의 저류 수준이 그 직하류 유량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감소 영향은 2014년 장단반도 일대 파주지역에서 가장 극심하였고, 유량 감소와 연동된 염도 변동이 가중되면서 모내기철 농업용수 공급이 어려웠다. 유량 감소 피해는 농업보다 어업분야에서 그 체감 정도가 극심하였고 경제적 피해도 심각했다. 체감하는 주민들 대부분은 댐 건설 이후 하도와 수변의 침식과 퇴적 등 하천의 역동성이 변화함을 느끼고 있고, 그로 인해 어업과 수생태계가 지속가능성하지 않을 거라는 우려가 팽배해 지고 있다. 지금까지 파악된 임진강 유량 감소의 수준과 피해 정도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지, 그 수준, 심각성, 경제적 피해와 환경적 가치나 서비스 제약 등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하천의 흐름이 단절, 변경되어 야기되는 직간접적 변화를 인정하고 이를 지속가능하게 보완할 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무엇보다 수환경과 수생태계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장기모니터링이 절실하고 그 결과의 해석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2014년 혹은 그보다 심각한 강우량 감소 재현을 대비하고, 기후변화와 남북한 문제까지를 고려한 임진강 관리가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하천 본류는 물론 가용한 저수지, 지하수 등 대체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등 비상급수체계를 운영해야 한다. 그러나 기후변화 등 장래 여건이 수량 압박을 가중할 것을 고려, 유역의 용수수급과 변동성에 대한 재평가가 시급하다. 보다 면밀한 평가는 횡산, 군남 등을 포함한 남북유역의 상황을 장기모니터링하고 북한 지역의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한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보다 합리적 분석을 위해 임진강 수계와 유역을 국가하천에서 국제하천으로 격상하는 방안이나, DMZ와 연계한 남북공유 하천으로 관리하는 등의 새로운 대안이 절실하다. 국제수로협약 등을 통해 접경지역의 하천관리를 공동으로 하고 있는 외국 사례의 시사점도 접목해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임진강 관리를 좀 더 제도적 틀안에서 확립해 가기 위해 지역정부로서의 경기도, 중앙정부 주체로 국토부와 통일부가 보다 협력적인 관계 정립과 역할 배분을 논의해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Safety Program for Small-sized Workplaces and Its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Safety&Health Act: Focusing on Fire, Explosion and Chemical Spill (소규모 사업장 재난안전 프로그램 개발 및 산업안전보건법에의 도입방안: 화재, 폭발, 약품 누출을 중심으로)

  • Ko, Seung-cheol;Eum, Tae-Soo;Song, Chang-G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7
    • /
    • pp.84-90
    • /
    • 2021
  • 98.8% of accidents occurring in domestic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small-sized workplac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isaster safety program that can be implemented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ctively used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industrial safety and facilities. The disaster and safety program included the scope of applic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risk assessment, emergency response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safety equipment provision and program evaluation, and detailed preparation methods and procedures for each item. In addition, items to be aware of when operating a disaster safety program and operational strategies were presented. After that,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the research results in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Measures to Secure the Habitability of Temporary Shelter for Shelter in Place in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원전 사고지역에서 실내대피를 위한 임시대피시설의 거주성 확보방안)

  • Jeongdong Kim;Chonghwa E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582-59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security of temporary shelters in case of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Method: In this study, we mainly rely on the case studies on previou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Chernobyl, Fukushima, and Three Mile Island (TMI) cases. Result: The current radiation emergency response plans for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center around the evacuation procedure. As a result, the concept of "shelter in place" has been understood as a means of assisting resident evacuation. However, based on the case studies, we find that encouraging shelter in place, rather than simply emphasizing evacuation, would help minimize unnecessary casualties, especially in case of the accidents rated greater than or equal to INES 5. To facilitate better shelter in place, we recommend utilize apartments as temporary shelters and suggest some possible improvements to ensure those apartments could be equipped with technologies for high radiation protection. Conclusion: To ensure better shelter in place, we recommend using apartments as temporary shelters, and we seek to supplement the function of apartments by using shielding, positive pressure, and sealing technologies.

Establishment of a Real-time Available Water Quantity Evaluation System Reflecting Amount of River Water Usage (하천수 사용량을 반영한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 구축)

  • Gwon, Yong Hyeon;Kim, Kwang Hoon;Byun, Dong Hyun;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0-370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수자원부존량 대비 수자원이용률이 16%에 불과하며 평상시 하천의 많은 가용수량이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하천수 사용은 갈수와 가뭄시를 기준으로 허가 및 관리하고 있으며, 평상시 가용수량을 모니터링하여 하천유지유량, 하천수 사용, 환경대응 등 다양한 수요에 맞게 수량을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수자원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금강유역의 하천수 사용 및 공급 상황을 파악하고 혼합(유역·하도) 물수지를 이용하여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유역의 수문상황과 기상전망(기온,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장래기간의 강우조건(무강우,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SP), 하천수 사용 및 공급계획(댐, 저수지 방류량 등) 시나리오 조건에 따른 예측기반 가용수량을 평가하였다. 대상 하천의 지류 유입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 물수지를 수행하고 하도 물수지를 통해 주요 지점별 하천관리유량과 가용수량을 산정한다. 또한, 유역(수계)간 물이동 및 하천수 사용 시설별 용·배수 체계를 고려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산정된 각 취수시설별 유입량, 사용량, 회귀수량, 하천유지유량, 하천관리유량, 유량, 가용수량 등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GIS와 테이블 기반으로 표출하였다. 본 평가체계를 활용하여 홍수통제소에서 수원(저수, 유수)별 가용수량을 다양한 수요에 맞게 적절하게 배분하고 조정할 수 있고 추후 가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용수공급조정 및 연계운영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urrent Status of Bioterrorism Education in Health-related Colleges -In the Professors of the Health-related Colleges-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Chun, Byung-Chul;Kim, Kyeong-Uoon;Kim, Jee-Hee;Kim, Jin-Woo;Roh, Sang-G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2
    • /
    • pp.710-717
    • /
    • 2012
  • A bioterrorism attack(BT) attack is the deliberate release of viruses, bacteria, fungi, and toxins used to cause illness or death in people, animal, and plants. Therefore, the healthcare workers are those who will take the main role in BT outbreak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for BT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health-related colleg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BT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the health-allied students in case of unexpected BT outbreak.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arch 10 to June 10 in 2007 via mai l. Approximately 97.6% of the health-related professors answer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f bioterrorism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bioterrorism curricula should contain the followings :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y and disaster, definition of bioterrorism, history of bioterrorism, general characteristics of bioterrorism, etiological agents of bioterrorism, bioterrorism response, systematic response, and medical response. Through these data, we will develop the disaster and bioterrorism preparedness curricula.

Activation Strategies of the Disaster Public-Apps in Korea (국내 재난관련 공공 앱의 활성화 방안 연구)

  • Shin, Dong-Hee;Kim, Yong-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1
    • /
    • pp.644-656
    • /
    • 2014
  • In recent years, a series of large-scale disastrous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frequently bot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Such disasters become catastrophe due to poor early response and delayed prompt rescue. Damage from catastrophe could have been drastically reduced or minimized with effective response and recovery management. The smart phone-based mobile applications have important potentials in providing solutions for the effective response and recovery management. Mobile applications can greatly improve risk communication in case of disasters by integrating process of exchange information and data on risk among risk evaluators, risk manage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In this light of potentia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sures and management to better manage early responses and to effectively deal with domestic disaster-related of the status of public applications service, and utiliz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disaster applications can be better used and how effective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applications could help the post-disaster management process. Based on this findings, it proposes a guideline of effective disaster-related applications by public sector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ctual services and activation solutions. The results show that "User Promptness Side" and "Content Believability Side" factors found to be the two most significant factors in the disaster-related applications by public sector.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Development of a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RMIS) for the LPG refueling station by utilizing GIS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LPG 충전소 위험관리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Ham, Eun-Gu;Roh, Sam-Kew
    • 한국가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4a
    • /
    • pp.195-200
    • /
    • 2007
  • 본 연구는 도심지에 위치한 LPG 충전소를 연구범위로 하여 공간정보의 활용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안전관리 분야의 업무를 중심으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구축 활용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위험관리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 위험성 평가의 자동화를 통해 나타난 위험성을 실시간에 제어하기 위한 필요조건을 표준화하여 기초 정보자료로 구축, 이를 지리정보기능과 연동하여 LPG 충전소의 안전검사의 효율화, 사전 위험성 평가, 사고대응 판단의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유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위험관리정보시스템(RMIS,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개발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지에 위치한 LPG 충전소 위험성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데이터인 부지내(On-site) 관련 자료와 부지 외(Off-site) 관련 자료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Relational Database)로 개발하였다. 둘째,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위험을 관리 제어 할 수 있는 위험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하였다. 셋째, 위험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지리정보시스템에 연동을 통한 의사결정 방안 제시하였다. 위험관리정보시스템(RMIS) 프로그램을 개발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위험관리 데이터 이용하여 사용자와 검사자가 효과적으로 위험을 사전관리 할 수 있는 공유정보를 구축하였다. 둘째, 위험 관리를 부지 내와 부지 외로 나누어 관리함으로서 시설 내부 뿐 만 아니라 시설외부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고려하여 구축하므로 서, 중대사고에 대응 할 수 있는 종합적인 안전관리 기반을 조성하였다. 셋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비상사태 발생시에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제공하여 응용GIS 구축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최종목표인 GIS 소프트웨어 자동 생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등)을 교통망상에 표시할 수 있음으로서 의사결정에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비트율의 증가와 화질 열화는 각각 최대 1.32%와 최대 0.11dB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음을 확인 하였다.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

  • PDF

A Study on the Actuality of School Safety and the Development of Safety Manual (학교안전교육의 실태분석과 안전교육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T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5 no.3 s.18
    • /
    • pp.83-88
    • /
    • 2005
  • It is necessary to hold the school safety manual because recently, the safety-related accidents occur frequently in schools. Accidents can occur inside of schools as well as out of schools, and they can be classified with human accidents, traffic accidents, fire accidents, and explosion accidents. Safety-related accidents occurring in the school are dangerous because nobody can predict them. Illegally infringing violence, targeting unspecified and a lot of people, informs the parents and persons concerned to education of danger. School safety manual, never precedented before, describes epoch-making educational methods for students' safety. It describes safety security such as refuging ways at an emergency, the way to recognize danger for elevated safety based on prevention education, the use and practice of checklist for related facilities, and the implements and facilities for school personnels and students. So, the school safety manual is an important guidance for safety education at the level of prevention from various accidents which occur inside the school as well as out of the school. It presents a variety of prompt response after an accident. At the same time, it checks facilities and dangerous factors in schools and facilities for safety, and analyzes special factors based on them. So it will present the status of safety management of existing facilities and implements, the installment of new facilities and implements, and the way to secure safety for use.

A Study on the Control of Hazar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in Urban area by utilizing GIS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도심지 내의 위해시설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Ham, Eun-Gu;Roh, Sam-Kew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5 no.4 s.19
    • /
    • pp.9-15
    • /
    • 2005
  • This research developed the RMIS(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hich focus on works of risk management fields required of apply of a space information, and focus on the DB to establish and apply the space information efficiently with research scope on the LPG refueling station in city. On the basis of the RMIS, this research provides the baseline to lead on an efficiency of safety inspection of LPG refueling station, advance risk assessment, and efficient making decision of an accident correspondence assessment with interlocking the GIS representing risk through the automation of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standardize requirement to control at real-time. The RMIS development process is as follows. firstly, Relational Database(RDB) was developed by using fundamental data both On-site and Off-site relating data as peforming risk assessment on the LPG refueling station in city. Second, the risk management integral database system was developed to monitor and control the risk efficiently for user with using the Visual Basic Program. Third, through interlocking the risk management integral database system and the GIS(Falcon-map) was suggested the decision making method. Represented results through out the RMIS program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ly, the RMIS was established the mutual information to advance management the risk efficiently for user and inspector with using the risk management data. Second, as this study managed risk for on-site and off-site separately and considered effect for inside and outside of facility, constructed the basis on safety management which can respond to major accident. Third, it was composed the baseline to making decision that on the basis of user interface.

Supplementation of the Indoor Location Tracking Techniques Based-on Load-Cells Mechanism (로드셀 기반의 실내 위치추적 보완 기법)

  • YI, Nam-Su;Moon, Seung-Ji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7 no.6
    • /
    • pp.1-8
    • /
    • 2016
  • Current indoor intrusion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methods have the weakness in seamless operations in tracking the objective because the object must possess a communicating device and the limitation of the single cell size (approximate $100cm{\times}100cm$) exits. Also, the utilization of CCTV technologies show the shortcomings in tracking when the object disappear the area where the CCTV is not installed or illumination is not enough for capturing the scene (e.g. where the context-awarded system is not installed or low illumination pres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mproved in-door tracking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s. Such system is built on a simulated scenario and enables us to detect and extend the area of surveillance as well as actively responding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simulated studies,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system is capable of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signal cutting, and of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We expect the study will improve the better analysis of the intruder behavior, the more effective prevention and flexible response to various emergency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