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대응능력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고리 원전 4호기 - 국내 최장 423일간 한 주기 무정지 안전 운전 달성

  • 전재풍
    • Nuclear industry
    • /
    • v.16 no.5 s.159
    • /
    • pp.30-41
    • /
    • 1996
  • 고리 4호기가 지난 4월 5일 국내 최장인 423일간(95. 2. 8$\~$96. 4. 5)의 한 주기 무정지 안전 운전을 달성하고 계획 예방 정비를 위해 정지했다. 이러한 쾌거는 지속적인 설비 환경 개선과 철저한 계획 예방 정비를 통해 기계고장률을 제로화하고, 각종 훈련을 통해 운전원들의 운전 능력과 비상 대응 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라 할 수 있다. 국내 최장 OCTF 달성의 성과 의의와 과정을 들어본다.

  • PDF

Water Supply Stability Analysis using Reliability Indices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신뢰도 지수를 활용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안정성 분석)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5-65
    • /
    • 2017
  • 상수관망 시스템(Water Distribution System, WDS)은 원활한 용수 공급을 위해 구축된 사회기반시설물로써, 물 공급절차에 따라 그 구성요소를 공급원, 공급 경로, 수요지 등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원활한 물 공급이란 수요지에서 요구하는 수량과 압력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능력은 요구 수량 및 압력과 실제 공급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과거에는 두 가지 기준을 별도로 산정하여 이를 평가하였으나, 유량과 압력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에너지 기반의 평가 방법이 제시되면서 시스템 내 에너지 분포를 정량화하여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시스템 내 에너지 흐름 상태를 정량화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수관망의 신뢰도지수(Reliability Index)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때, 대부분의 신뢰도 지수 연구에서는 수요지에 공급된 에너지를 기본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최소요구 에너지(Required Energy)와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잉여 에너지(Surplus Energy)로 구분하고 있으며, 잉여 에너지를 상수관망의 공급 안정성을 나타내는 핵심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확보된 잉여 에너지는 비상시 최소요구 에너지를 대체하는 개념에서 복원력으로 표현되어, 잘 알려진 Resilience Index(RI)를 비롯해 많은 복원력 지수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력 지수를 포함한 세 가지의 신뢰도 지수를 적용하여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상황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절점별 복원력 지수를 산정하고 그 분포를 공간적으로 도시하여 파악함으로써, 비상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판단기준으로써 신뢰도 지수를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A Research on Assessing and Improving EPTA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 Choi, Jin-Kook;Olivares, Cynthia Iris Aria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30 no.2
    • /
    • pp.78-85
    • /
    • 2022
  • 항공교통관제사와 조종사 사이의 의사소통은 항공기 운항 안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민간항공운송산업의 발전과 안전 도모를 위해 조종사 영어자격능력 시험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왜냐하면 조종사의 우수한 의사소통능력은 비상상황 또는 비정상상황을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매우 필수적인 능력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는 2006년부터 ICAO EPTA 시험을 민간항공운송에서 조종사 의무자격시험으로 법적으로 규정하고 산하기관인 교통안전공단을 통해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본 연구는 EPTA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증진시키고 시험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EPTA 시험제도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EPTA 시험제도의 국내에서 정착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셋째, EPTA 시험제도의 신뢰성증진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해 총 15명의 항공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론의 질적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국외 ICAO 공식 인증 EPTA 시험결과와 국내 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하는 EPTA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교차응시에 따른 EPTA 등급을 비교·분석할 수 있었으며 시험응시자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국내 EPTA 시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자율운항선박 원격운항을 위한 원격운항자의 상황인식 요구사항 분석

  • 장은규;정민;김경환;강석용;김정민;김대근;김창우;김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84-186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이 가시화됨에 따라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을 관리·감독하는 원격운항자의 운항능력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IMO에서는 원격운항자의 상시 모니터링과 비상시 원격지원을 기반으로 하는 자율운항 선박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선박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대응할 수 없는 복잡한 상황에 직면할 경우 해당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원격운항자의 판단력과 지식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운항자는 선체와 주변 상황을 원격으로 인식하는 상황인식능력이 필요하며, 원격운항자의 상황인식능력은 기존 항해사의 상황인식능력과는 상이한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항환경의 변화에 따라 원격운항자에게 요구되는 상황인식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기존 선원의 상황인식 모델과 비교하여 자율운항선박의 안전한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to quickly respond to a national emergency rescue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 workforce - Focusing on the Educational Programs Connecting Academy to Army which Reflects the Site Needs - (국가비상사태에 신속히 대응 할 수 있는 응급구조 의무부사관인력 양성 발전방안 연구 - 현장 Needs를 반영한 학·군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LEE, Chang Hun;Bok, Hye Jeo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6 no.3_1
    • /
    • pp.37-45
    • /
    • 2016
  • Targeting 80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 working in the army and 80 students studying in the quickly respond to a national emergency rescue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 this study found out the abilities and knowledge that are required to Duringa national emergency to respond quickly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 set the types of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to equip them with necessary qualifications, established educational goal and selected core tasks, and developed field-centered education process through the process for deducing subjects.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Egress Behavior in Respect of the Fire Prevention Manager in the Large-scale Shopping Mall (대규모 판매시설의 방화관리자의 측면에서 본 피난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박재성;윤명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8 no.3
    • /
    • pp.108-113
    • /
    • 2004
  • Emergency response of fire prevention manager has an effect on decisive emergency exit behavior of customer who is not accustomed to emergency response in a large-scale shopping department on fire. Especially enclosed stairways in a large scale store are usually located in back space where is impossible for customer to access. Therefore, speedy emergency exit inducement by fire prevention manager is needed for the customer's safe egress. The object of study is to analyse the factors affecting egress behavior and emergency response of fire prevention manager in respect of fire prevention management.

어선의 해양사고 방지방안에 대한 고찰

  • Jeong, Dae-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551-555
    • /
    • 2012
  • 최근 10년간 해양사고를 분석한 결과 어선은 전체 해양사고의 7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선의 경우 충돌 및 좌초 등 운항과실에 의한 발생빈도가 높은 반면에 어선은 조업 중 및 기관구역 사고의 발생빈도가 높다. 또한 해양사고의 총톤수별 분석 결과 총톤수 100톤 미만의 소형선박이 72퍼센트를 차지하였다. 이에 이 글은 다음 7가지를 고려한 어선의 해양사고 방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충돌사고, 2)어선의 구조 및 설비에 따른 사고, 3) 어선의 전복사고, 4)어선의 기관, 화재, 폭발사고, 5)혼승선박의 비상대응능력, 6)어선의 출항통제기준, 7)동해안의 특성.

  • PDF

Research on the Rescue Maneuvering of POB to Implement Cognitive Simulation (인지 시뮬레이션 구축을 위한 익수자 구조 선박조종법 검토)

  • Yoon, Cheong-Guem;Kim, Deok-Bong;Jeong, C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9-261
    • /
    • 2015
  • The model for ship maneuvering simulation is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officer's ship maneuvering skills such as navigation equipment operation, collision avoidances, countermeasure an emergency situation so on. Despite using such ship maneuvering model, critical maritime accidents are occurred periodically in the world. To find adequat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competence abilities of deck officer who have maneuvering skills with some competence levels, we search the standard ship maneuvering method representing on the part 3 Person Overboard(POB) to onboard emergences of IAMSAR manual. Moreover we monitor the officer's human factors appearing dur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nsider the use of human factors as fundamental data.

  • PDF

Assess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and Feature Analysis for Coastal Residents of Korea using Sampling Process (표본추출법을 이용한 연안주민의 재해대응능력 평가 및 특성 분석)

  • Kang, Tae-Soon;Oh, Hyeong-Min;Kim, Jong-Kyu;Jeong, Kwang-Young;Hwang, Soon-mi;Kim, Soo-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0 no.1
    • /
    • pp.55-61
    • /
    • 2017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evaluate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of coastal resident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For the sampling process, nonrandom sampling method was used. Sample size is 4,520 and sample error is ${\pm}1.5%p$ at 95% confidence level. As a result of the survey, 72% and 68%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recognized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listened to the disaster broadcast. On the other hand, 17% and 18% said that they organized the local voluntary disaster prevention teams and participated in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In addition, male's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was higher than female's, and first aid techniques and participation in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were higher in teens and twenties. By occupation, public official possess the highest response capability. By region, it was high in the East coast and low in the South coast. It is necessary that the authorities improve the national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and publicity to enhance the coastal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of coastal residents.

연안 여객선용 CBT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안전 여객 대피 요소 검토

  • Jang, Eun-Gyu;Kim, Gi-Seon;Jo, Jang-Won;Gang, Seok-Yong;Lee, Won-Ju;Choe, Seung-Hui;Kim, Jeong-Ho;Bae, Seok-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247-247
    • /
    • 2017
  • 연안선은 국제항해 선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고의 위험성은 높으나 이에 대응할 훈련기반이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선의 화재 및 퇴선상황에서의 승무원의 행동특성을 모델링하고 연안선 환경과 특성에 맞는 CBT용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비상시 연안선 승무원의 사고대응 능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특히 이를 위해 연안 여객선에서 여객 대피를 위해 필요한 요소를 검토하여 개선점을 파악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