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부착 강연선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5초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프리텐션 거더교의 설계변수 분석 (Parameter Analysis for Design of Pretension Girder Bridge for Urban Maglev Transit)

  • 이재호;김도학;김승현;김성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515-525
    • /
    • 2016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프리텐션 거더교의 최적설계를 위해서 설계변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기부상철도용 거더 설계 시에는 중앙부 처짐을 고려해야 하므로 이와 연관있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거더 형고, 거더 연장및 강연선비부착 길이를 설계변수로 선정하였다. 또한, 프리텐션 거더에서 지점부의 상연응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강연선 개소수 및 배치방식을 설계변수로 선정하고, 강연선비부착률을 검토하였다. 설계변수 해석결과로부터 거더 처짐량에는 거더 형고와 거더 연장이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강연선 비부착 길이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민감도 분석을 통해 설계 가중값을 제시하였다. 지점부 상연응력 제어를 위해서 비부착 강연선배치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연 긴장선 또는 철근배근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경제성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해 자기부상철도 가이드웨이의 하중특성을 고려한 비부착강연선 기준 향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비부착형 포스트텐션 구조의 모델링기법 (Modeling Technologies for Unbonded Post-Tension Systems)

  • 강현구;나창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33-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부착형 포스트텐션 시스템의 해석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링기법을 제시하였다. 모델링은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ube-to-tube contact 요소를 도입하여 강연선의 물리적 형상을 직접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과 실제의 강연선 외에 가상의 강연선을 콘크리트에 매입하고, 두 개의 강연선을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간접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동시에 제시하고 비교하였다. 콘크리트의 인장경화 현상을 무시하였을때 두 모델링기법에서는 거의 동일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콘크리트의 인장경화를 고려한 경우에는 스프링을 이용한 간접적인 모델링기법을 통해서만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결과 또한 콘크리트의 경화현상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다소 상이하였다. 비교를 통하여 비부착형 포스트텐션 시스템의 모델링기법으로 스프링을 이용한 모델링기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고 기존의 실험적 연구에서 인용한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 검증하였으며 또한 파라미터 스터디를 통해서 모델링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비부착 강연선에 대한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및 성능 시험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for Unbonded Post-Tensioned Anchor)

  • 조아서;조영욱;전병갑;강현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1-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직경 15.2 mm의 비부착식 강연선을 위한 포스트텐션 1구 정착구를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착장치에 대한 성능시험으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따라 KCI-PS101에 제시된 정하중시험과 하중전달시험 방법이 사용되었다. 정하중시험과 강연선 인장시험을 통하여 개발된 정착구가 강연선 공칭인장강도에도 손상 및 파괴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중전달시험을 통해서는 각종 철근보강에 따른 실험체의 압축성능을 확인하였고, 무보강 실험체가 강연선 인장강도의 1.64배까지 저항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비긴장강연선과 철근이 혼용된 보의 설계방안 (Design Concept of Beams Reinforced by Deformed Bars and Non-Prestressed Strands in Combination)

  • 노삼영;조민주;김종성;김승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8-29
    • /
    • 2013
  •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강연선을 적용한 보-기둥 접합부시스템은 2개층 동시 시공이 가능한 2개층 1절 PC기둥 및 U자형 단부형상을 갖는 하프 PC보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 보-기둥 접합부에서는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근과 비긴장강연선이 혼용배근되며, 선행된 연구에서 구조성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된 실험결과와 단면해석결과를 비교검토하여 이형철근과 비긴장강연선이 혼용배근된 보의 설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강도 철근에 대한 기존연구 고찰을 토대로 비긴장강연선의 설계항복강도를 제안하고, 상이한 철근과 비긴장강연선의 항복강도를 고려하여 구조설계기준을 만족하는 최소 최대 보강비, 휨강도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대상시스템에서 보의 사용성을 고려하기 위해, 현행 설계기준식을 사용하여 처짐검토 시 사용하중을 고려하여 비긴장강연선 배근비율을 제안하였으며, 균열폭 검토시 철근과 비긴장강연선의 상이한 부착특성, 항복강도, 직경,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균열폭 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에서 제안된 설계방안들을 적용하여 철근과 비긴장강연선이 혼용배근된 보단면의 설계 방법을 예시하였다.

비부착 탄소섬유판 긴장재로 외부 긴장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해석 (The Analysis for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Externally Unbonded Prestressed CFRP Plates)

  • 박종섭;정우태;박영환;김철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A호
    • /
    • pp.439-44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비부착 CFRP판으로 긴장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를 해석하기 위한 수정된 부착감소계수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비부착 강연선의 극한응력 해석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비부착 CFRP판 긴장재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적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합리적인 비부착 CFRP판 극한응력 해석식을 제안하기 위해 부착 CFRP판 긴장재의 평균변형률 개념으로부터 비부착 CFRP판 긴장재의 보강길이와 하중 재하 형태에 따른 순수휨구간 길이가 고려된 확장된 부착감소계수를 제안하였다. 최종 부착감소계수는 기존의 비부착 CFRP판 긴장 보강보에 대한 실험연구 문헌의 실험결과를 이용한 통계적 방법으로 결정되었으며, 제안된 부착감소계수를 포함한 극한응력 해석식에 의해 계산된 값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제안식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비부착식 단일 강연선용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및 응력해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Unbonded Post-tensioned Anchorage for Single Tendon)

  • 이영학;조용우;김민숙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39-4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보다 효율적인 응력분산이 가능한 비부착식 단일 강연선용 포스트텐션 정착구 형상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착구 형상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착구 형상을 사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최대파열응력이 기존의 정착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정착구역내의 최대파열응력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정착구 형상을 사용하는 경우 최대파열응력 산정을 위해 AASHTO 및 기존 연구자들의 파열력 산정식을 통해 산출된 파열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착구 형상에 따른 위치계수를 수정한 파열력 산정식을 적용할 경우 정착구역이 효율적인 보강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고성능 콘크리트 프리텐션부재의 응력전달길이 (A Stress Transfer Length of Pre-tensioned Members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 김지상;최동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36-341
    • /
    • 2018
  •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에서 긴장재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싱힘은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직접 부착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전달되므로 응력전달길이를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리텐션부재 또는 프리캐스트 부재에 UHPC를 사용하는 경우 품질관리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사용한 프리텐션 부재에 있어서 PS 강연선의 응력전달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피복두께, 긴장재의 지름 및 긴장력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응력 전달길이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압축강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응력전달길이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높은 부착강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험결과와 기존 설계기준의 응력전달길이 산정식을 비교하고, 초고성능 콘크리트 프리텐션 부재의 응력전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새로운 공식을 제안하였다.

비부착 강연선과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한 철근콘크리트 외부 접합부의 내진 거동 (Seismic Behavior of RC Beam-Column Exterior Joints with Unbonded Tendons and High Strength Concrete)

  • 권병운;강현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83-292
    • /
    • 2015
  • In the moment frame subjected to earthquake loads, beam-column joint is structurally important for ductile behavior of a system. ACI Committee 352 proposed guidelines for designing beam-column joint details. The guidelines, however, need to be updated because of the lack of data regarding several factors that may improve the performance of j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joints with high-strength materials and unbonded tendons. Three specimens with different joint shear demand-to-strength ratios were constructed and tested, where headed bars were used to anchor the beam bars into the joint. All specimens showed satisfactory seismic behavior including moment strength of 1.3 times the nominal moment, ductile performance (ductility factor = at least 2.4), and sufficiently large dissipated energy.

현장실험을 통한 외부 후긴장 Steel I-Beam의 휨 거동 특성 (Flexur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eel I-Beam Strengthened by the Post-tensioning Method on the Field Experiment)

  • 조두용;박대열;박선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51-158
    • /
    • 2002
  • 외부 후 긴장 공법은 설계에 수반되는 구조해석이 비교적 명확하여 강교량 구조물뿐만 아니라 건축 구조물 등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비부착 강연선 및 강봉을 가진 Steel I-Beam의 휨거동과 보강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합리적인 이론해를 제시하고, 긴장력 도입 후 정적 휨 재하 실험을 수행하여 긴장력 도입 정도에 따른 휨 보강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강봉을 사용한 경우와 강연선을 사용한 경우로 시험체를 분류하여, 긴장재 종류에 따른 휨거동 특성과 보강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강봉의 개수와 편향부 유.무에 따른 Beam의 휨거동 특성과 부재의 처짐의 증가에 따른 Tendon 위치의 편심량 값이 변화하고, 그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I-Beam의 휨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사보니스풍차의 동력 전달 특성 시험 (Characteristics of power transmission by savonius wind turbine)

  • 김영중;강연구;강금춘;백이;유영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5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75
    • /
    • 2005
  • 사보니스 4익 풍차의 크기에 따른 토크, 회전수, 동력을 각기 다른 풍속에서 측정하였으며 열변환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속기어를 부착하여 풍력의 열변환시험을 하였다. 기어비 1:18 까지 증가시켜 로타의 회전수를 최고 180rpm으로 증가시켰지만 열변환능력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풍차의 크기와 동력의 관계에 관한 심층적 이론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