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밀번호

Search Result 24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f Secure Massaging System Using XML based on Internet Environment (인터넷 환경 하에서의 XML 기반의 안전한 메시징 시스템 연구)

  • Ahn, Kyeong-Rim;Chung,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211-2214
    • /
    • 2002
  • 사업 영역 확대와 네트워크 발달로 인해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는 점차 국제적 환경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알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거래되는 업무가 증가됨에 따라 거래내용, 결제 내용(계좌번호, 카드번호 등), 비밀번호 등 교환되는 정보의 종류도 다양해져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데이터 사용 효율과 응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차세대 인터넷 표준으로 대두되고 있는 XML을 메시지 처리 단위로 정의하고, XML 기반의 인터넷 메시징 시스템인 IMSX (Internet Messaging System based on XML)을 설계하였으며, 보안 위협으로부터 대응하기 위해 암호화(Encryption)와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 등의 메시지 레벨의 응용 보안을 적용하였다. 또한 문서 송신, 문서 수신, 검색, 문서 변환, 템플릿(Template) 제공, 보안 서비스 등을 선정하여 구현하였다.

  • PDF

이동전화를 이용한 공간제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송영규;신승중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5-328
    • /
    • 2000
  • 본 연구는 외출시 항시 열쇠를 휴대해야하는 불편을 없애고 원격지에서도 공간의 개폐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요즘 보급이 일반화 되어있는 이동전화를 원격제어의 통신 채널로 사용하였으며,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숫자와 특수키를 이용하여 열쇠를 이용하지 알고 간단한 버튼 접촉 혹은 근거리에서 리모컨의 동작으로 개폐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f Interpretation Effect of Passwords to Password Generation (패스워드 표기 방식이 패스워드 생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eung-Yeon;Kwon, Taek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5 no.5
    • /
    • pp.1235-124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if the password composition of domestic users is affected by the different form of the word 'Password' in the interface of login or password change. In particular, 'Password', foreign notation, and 'Secret Number', notation translated by Korean, have a semant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rvey of 200 students in S university, passwords made under the word 'Secret Number' are heavy on numbers than alphabet. Because these passwords make much smaller composition space than another case, they have bad security impact. We expect to make use of this paper as a base line data for study to find how improve domestic user's password security.

Countermeasure for Preventing a Secondary Damage of Information Leakage using Financial ISAC (금융 ISAC을 활용한 정보유출 2차피해 방지 방안)

  • Jeong, Gi Seo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4 no.5
    • /
    • pp.31-36
    • /
    • 2014
  • As security management center of financial area, financial ISAC monitors financial corporations and provides security services. Financial ISAC minimizes damage by responding quickly to external attack such as hacking, virus but it is poor at handling internal attack.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stable operation of information source, also to respond jointly to online hacking,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creases day by day in and outside country. This paper proposes financial ISAC that can prevent a secondary damage of leakage information as well as providing security services. The proposed financial ISAC provides new password to financial corporation in which the same ID and password as leakage information are used and in case of financial information leakage it warns customers against phishing etc.

Door lock remote control system using Wi-Fi (와이파이를 이용한 도어락 원격제어 시스템)

  • Kim, Gi Bum;Kim, Do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86-88
    • /
    • 2017
  • The digital door lock is an electronic door lock that uses a password system and has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locking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thus eliminating the worry about the door lock. As the technology has gradually developed, various authentication technologies such as semiconductor key system, RFID, and fingerprint recognition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there is a danger of copying the door lock key, and there are password stealing and infringement. In this paper, we develop a remote control system that can unlock or open a smartphone to supplement the user's risk. The system you are going to develop can use WiFi to check if the door is locked or open on your smartphone, and you can lock or unlock the door remotely.

  • PDF

DoorLock Control System (도어락 원격 제어를 이용한 빈 집 찾기 시스템)

  • Choi, dae geon;Park, Bum Soo;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305-306
    • /
    • 2016
  • In other areas, if the job or university or travel to other areas the firsth problem is Accommodation. When you get home to get around, There is no place to stay. Also of travelers want to Personal Space more than Space group.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It provides a house through a door lock that do not use the remote control system. The system provides a room that is available to users and can be controlled by setting the password to a remote door lock. In addition, by using the NFC provided a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use forgotten the password. Information and reviews of the house were available to help you manage the cloud system.

  • PDF

Enhanced CSRF Defense Using a Secret Value Between Server and User (서버와 사용자간 비밀 값을 이용한 보안성이 강화된 CSRF 방어)

  • Park, Jin-Hyeon;Jung, Im Y.;Kim, Sun-Ja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B no.3
    • /
    • pp.162-168
    • /
    • 2014
  • Cross-Site Request Forgery is one of the attack techniques occurring in today's Web Applications. It allows an unauthorized attacker to send authorized requests to Web Server through end-users' browsers. These requests are approved by the Web Server as normal requests therefore unexpected results arise. The problem is that the Web Server verifies an end-user using his Cooki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hanced CSRF defense scheme which uses Page Identifier and user password's hash value in addition to the Cookie value which is used to verify the normal requests. Our solution is simple to implement and solves the problem of the token disclosure when only a random token is used for normal request verification.

A study on password-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ology on multi-touch environment (멀티터치 환경에서 다중 입력을 통한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 Ju, Seung-Hwan;Seo, Hee-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267-1270
    • /
    • 2010
  • 현재 타블렛PC, 전자칠판, 디지털 키오스크 단말, 은행 ATM기기 등에서 키보드 및 버튼이 아닌 터치패널을 이용해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인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터치패널은 하나의 접점만 인식하는 것이 아닌 현재 기술로 여러 개의 접점을 인식하는 멀티터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멀티터치 환경에서의 다중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식에 대한 아이디어를 소개하고자 한다. 멀티터치 환경에서의 비밀 번호 입력으로 이전의 싱글터치 기반에서 1글자씩 입력되던 비밀번호가 멀티터치 기반에서는 2개 이상의 글자로 입력될 수 있다. 멀티터치 기반의 패스워드 입력은 단순히 [ 1, 2, 3, 4 ] 로 입력되던 패스워드를 [ (1,3), 2, (3,4), (1,2,3) ] 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패스워드의 암호화 강도를 높이고 패스워드 노출 위험을 줄이려 하였다. 본 연구는 나아가 멀티터치 기반에서 사용자 패스워드를 넘어 개인 인증을 위한 보안 기술 연구의 초석으로 활용 될 것이다.

A study on Construction of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Computer Interface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방법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Oh, Seong-Jin;Lee, Young-Dae;Kim, Kee-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2781-2783
    • /
    • 2000
  • 방범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기술적인 문제를 파악하여 해결하고, Protocol을 정하여 방범 시스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컴퓨터 상에서 효율적인 방범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의 보안 시스템의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외출할 때 출입문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키패드를 이용하마 방범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침입자가 있으면 여러 장소에 설치된 센서가 감지되어 이 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로 보낸다. 컴퓨터는 신호가 감지된 위치, 감지 시간을 기록하고 USB 포트에 연결된 CCD 카메라를 통하여 영상을 저장하고. 보안 책임자의 전화기로 침입자가 있다는 사실을 통보해 주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방범시스템의 해제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저장되어 있는 번호와 동일할 경우에만 해제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PDF

Smart Unmanned Courier Locker (스마트 무인 택배함)

  • Jang, Eun-Gyeom;Jung, Hyun-Moon;Jung, Yi-Sak;Kim, Min-Seong;Oh, Se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25-126
    • /
    • 2020
  • 본 프로젝트는 고객과 택배기사가 배송과정에서 겪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App과 IoT센서를 연동하여 배송과정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무인 택배함이다. 기존 택배함의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택배함에 부착되어있는 NFC 태그 스캔을 통하여 편리하게 물품을 배송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App은 택배기사와 고객으로 나뉘어 있으며 택배기사 App의 주요 기능은 운송장 번호를 스캔하여 물품을 보관할 여러 택배함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택배함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으며, 고객 App의 주요 기능은 NFC 스캔을 통해 물품이 보관된 택배함 또는 보관할 택배함을 선택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 그 외에 택배기사 App은 배송 목록 조회, 내 정보 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 App은 택배 예약, 예약 조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택배함은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충격센서와 Mp3 모듈을 사용하여 택배함에 충격을 가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