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만 중년 여성

Search Result 20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고학력 중년 여성의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실태 비교

  • 최지현;정영진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3-1074
    • /
    • 2003
  • 본 연구는 고학력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여 고학력 중년 여성의 영양 및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은 유의추출 방법으로 전업 여성은 고학력자 비율이 높은 대전시의 일정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으로 하였고, 취업여성은 여러 직업의 특성으로 인한 교란(confounding)을 줄이기 위하여 고학력 여성의 비율이 높은 기혼의 교사로 한정하였다. 연령에 의한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령대별로 동일 비율로 무작위 추출하여 전업여성 250명, 취업여성 236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 전일 하루동안의 식이 섭취 내용을 개별 면담으로 조사하였다. 1일 영양소 섭취 조사 결과 취업여성은 전업여성에 비해 인, 비타민 B$_1$, B$_2$를, 전업여성은 취업여성에 비해 지방 및 동물성 지방, 나트륨, 비타민 C, 엽산을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P/M/S비는 전업여성 1/1.19/1.05, 취업여성 l/l.05/0.87로 나타나 취업여성이 전업여성에 비해서, 그리고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기준(1/1/1)에 비해서 포화지방의 비가 낮았다. 또한 지방 에너지 구성비도 전업여성(24.38%)이 취업여성(23.29%)에 비해 높았고, 총 열량에 대한 동물성 지방의 섭취비율이 전업여성 12.44%, 취업여성 11.46%으로 나타나 전업여성이 취업여성에 비해 동물성 지방, 포화지방비, 지방에너지 구성비가 모두 높았다. 영양권장량에 대한 영양소 섭취 백분율에서 전업여성과 취업여성 모두 칼슘과 아연을 권장량에 비해 낮게 섭취하고 있었고, 질적 영양지수(INQ)도 두 군 모두에서 칼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의 영양밀도(Nutrient Density)가 취업주부에서 높았던 점 외에는 영양밀도와 영양소 적정섭취비(NAR) 모두에서 비타민 B$_1$, B$_2$가 전업여성에 비해 취업여성이, 비타민 C가 취업여성에 비해 전업여성이 더 높았다. 한편 두 군 모두 INQ가 가장 높은 영양소는 인이었고, INQ가 가장 낮은 영양소는 칼슘으로 나타났으며, INQ가 1 미만인 영양소는 칼슘과 함께 철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45세 이상 여성의 경우 관절염, 요통.좌골통, 디스크 등 근골격계질환 유병률이 남자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 결과에 비추어볼 때 이들 관련 영양소에 대한 섭취 방안 지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학력 중년 여성중 전업여성에 대해서는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 식품 섭취에 대한 적절한 영양교육과 식사관리 지도가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고학력 중년 여성은 취업 여부에 관계없이 칼슘과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 식사량을 증가시켜 주는 영양 지도 및 영양 보강 대책이 요구되며, 칼슘과 인의 적정섭취비가 되도록 인의 섭취를 낮추는 식생활 지도가 필요하다.

  • PDF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indices and physical fitness in the obese middle-aged women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대사증후군 지표와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 Ban, Sung-Min;Lee, Kyung-Jun;Yang, Jeong-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4
    • /
    • pp.703-71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12-week comprehensive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index and general health of overweight middle aged wom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research participants were measured in metabolic syndrome index and health fitness. The measurements gather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to calcula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ll response variables. To find changes in the response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12-week program,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alpha}$=.0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12-week comprehensive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tabolic index and health fitness of overweight middle-aged women.

Design of Torso Patterns for Middle Aged Women (중년여성을 위한 토루소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 이진희;조현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8
    • /
    • pp.111-121
    • /
    • 200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상반신을 대상으로 기존원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이를 기본으로 제도법을 수정·보완하여 중년여성 체형에 맞는 상반신 토루소 연구원형을 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35세에서 59세의 중년여성으로 하였으며, 45세를 전후로 체형이 변한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년 전기(35세∼45세), 중년 후기(46세∼59세)로 나눠 연구하였다. 연구원형 제작을 위해서 97년 국민체위조사보고 자료에 나온 35세∼59세에 해당하는 신체치수를 사용하여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원형을 설계하고 이를 CADsystem을 이용하여 각 Pattern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하고, 4가지 원형의 실험복을 제작하여 착의 실험을 통해 객관적 평가 11항목, 주관적 평가 23항목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연구원형을 제작하였고 제작 후 연구원형의 신체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원형과 마찬가지로 착의 실험을 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원형들이 착용시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으로 인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관상으로는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량이 중년여성 체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역시 중년여성의 체형과는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중년 전기에 비해 중년 후기에서 수정 보완이 더 요구되었는데 특히 나이가 들수록 등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으로 인해 측면에서 봤을 때 허리가 들어가는 현상이 두드러져 뒤 허리부분의 수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연구원형에서는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조절을 위해 앞목기준선을 위로 2cm 올려 주었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을 각각 2cm더 주어 제작하였으며 중년 후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뒤허리부분의 문제점을 허리중심선 설정시 1∼2cm안쪽으로 설정하여 체형변화를 반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원형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착의 평가 결과는 착용시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이 없어지고 외관상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이 기존원형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외관에서도 전·후기 모두 기존원형 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Effects of Bicycle Exercise on Inflammation Related Factor and Growth Hormone in Obese Middle aged Women (자전거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염증관련인자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Kim, Jong-Hyuc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0
    • /
    • pp.449-45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icycling exercise by analyzing the changes of inflammation-related factors and growth hormone with obese middle-aged women for 8 w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icycle exercise. In this study, 15 middle aged obese women were divided into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Changes in inflammation-related factors and growth hormone were analyzed as a measurement variable were analyzed by employ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is study finds that $TNF-{\alpha}$ and IL-6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and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Growth hormone was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icycling exercise is an exercise program to prevent cardiovascular and chronic diseases of obese middle-aged women.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Wome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Overweight and Normal-Weight Groups (지역사회 거주 중년 여성 집단에서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 과체중 집단과 정상체중 집단 간 비교)

  • Yang, Hwa-Mi;Choo, Jina;Kim, Hye-Ji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
    • v.18 no.4
    • /
    • pp.159-168
    • /
    • 2018
  • Background: Strategically improv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should be discussed among overweight middle-aged women who are vulnerable to low HRQOL. We examined firstly if overweight middle-aged women would have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HRQO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than normal-weight middle-aged women, and to examine secondly if health-promoting behaviors would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eric and obesity-specific HRQOLs within the overweight middle-aged women.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Participants were 119 women aged 30-49 years who were recruited from a community in Seoul, South Korea; 63 women for the overweight group who were recruited from a baseline sample of the Community-Based Heart and Weight Management Trial, while 56 for the normal-weight group who were recruited separetely.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 II),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ief version (WHOQOL-BREF) of a generic HRQOL measure, and Impact of Weight on Quality of Life-Lite (IWQOL-Lite) of an obesity-specific HRQOL measure were used. Results: Compared to the normal-weight group, the overweigh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f total WHOQOL-BREF as well as some HPLP II subscales including stress management (P=0.029). Among the HPLP II subscales, stress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tal WHOQOL-BREF (${\beta}=1.58$, P=0.003) and self-esteem IWQOL-Lite (${\beta}=11.58$, P=0.034) among the overweight group. Conclusions: Among middle-aged overweight women, low level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for stress management were shown, which should be strategically increased for improving their generic and obesity-specific HRQOLs.

Differences in Grip Strength by Living Conditions and Living Area among Men and Women in Middle and Later Life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 차이)

  • Joo, Susanna;Jun, Hey Jung;Park, Hayoung
    • 한국노년학
    • /
    • v.38 no.3
    • /
    • pp.551-567
    • /
    • 2018
  • Demographic and socio-structural information is useful to identify potential welfare recipients who are in need of disease-prevention and intervention services. Thu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grip strength among middle and old-aged adults by living conditions and by living area. The 5th wave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s utiliz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grip strengt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iving alone (living alone or not) and living area (city or non-city). Covariates were age, education, log-transformed household income, spouse existence, body mass index, self-rated health conditions,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function, smoking, regular exercise, frequency of meeting with friends, and the number of social particip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middle-aged men, middle-aged women, old-aged men, and old-aged women, respectively. ANOVA and Chi-test were additionally used to specifically discuss significant results. Cross-sectional weight was applied to all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s, living alone and living area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grip strength among middle-aged men, old-aged men, and old-aged women. In middle-aged women, however, living alone and living are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ip strength. To be specific, middle-aged women who lived alone in rural areas had the lowest grip strength compared to other middle-aged women. Additional analysis showed that middle-aged women who lived alone in rural areas had risk factors, such as low education level, low income, or high depressive symptoms. It implies that middle-aged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may have physical health risks, so they might be in need of disease prev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latent welfare recipients by using representative panel data and applying weight values.

도시 지역 중년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비교 연구

  • 정인경;권성옥;이일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6-1076
    • /
    • 2003
  •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및 식생활 습관의 서구화로 비만 유병율이 증가하면서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신체적 매력 중에서 날씬함을 너무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의 영향으로 자신의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함으로써 이에 따른 신체에 대한 불만족은 무분별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도록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리한 체중조절은 신체적·심리적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으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체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경향을 파악하고 체중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중년여성 249명으로 일반사항,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이상식행동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5세였으며 평균 비만도(BMI)는 22.7로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비만도에 따른 체중군별 분포는 정상체중군이 72.9%로 가장 많았으며, 저체중군이 6.7%, 과체중군이 20.4%이었다. 자기 체형에 대한 인식도를 체중군별로 비교해본 결과, 정상체중군의 40.1%만이 자신의 체형을 ‘표준체형’으로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을 뿐, 8.1%는 ‘마른 체형’으로, 51.7%는 ‘살찐 체형’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37.5%는 자신의 체형이 ‘표준체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체형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80.9%가 ‘표준체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8.7%는 ‘마른 체형’을, 10.4%는 ‘살찐 체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체형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55.8%가 ‘불만족하다’ 고 응답한 반면 ‘만족하다’ 고 응답한 경우는 11.1%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는 체중군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과체중군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지난 1년 동안의 체중 감량 경험 여부를 조사해본 결과, 과체중군의 77.1%, 정상체중군의 65.3%, 저체중군의 62.5%가 체중감량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감량 이유를 묻는 문항에 과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의 경우 ‘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 저체중군의 경우 ‘체중이 증가되었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체중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53.8%가 체중감량을 하는 중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저체중군이 과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중감량에 따른 부작용 경험자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식행동을 측정한 결과, 과체중이나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이상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세부요인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체중조절에 대한 집착과 식이조절점수는 과체중군이 가장 높았으나, 섭식통제 관련 식행동 점수는 저체중군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년여성들의 경우 대부분이 자신의 실제 체형에 대하여 그릇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경우 건강보다는 외모 때문에 무리한 체중감량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이상식습관과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여 영양 및 건강 상태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에게 자신의 체형과 이상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표준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search Trends of Middle-aged Women' Health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텍스트네트워크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중년여성 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Lee, Do-Young;Noh, Gie-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4
    • /
    • pp.163-171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and central concepts of middle-aged women' health in Korea.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arget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2021 were collected by entering the keywords of 'middle-aged woman' or 'menopausal woman'. 1,116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occurrence network of key words was developed and analyzed, and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through topic modeling of the LSD by dividing it into five-year units (2012-2016, 2017-2021), and visualized word cloud and sociogram were used. The keywords that appeared the most during the last 10 years were obesity, depression, body composition, stress, and menopause symptom. Five topics analyzed in the thesis data for 5 years from 2012 to 2016 were 'postmenopaus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enhancement strategy', 'exercise to manage obesity and risk factors', 'intervention for obesity and stress', 'promotion of happiness and life management' and 'menopausal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confirmed. Five topics of research conducted for the next five years (2017-2021) were 'menopausal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management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life experience as a middle-aged woman', and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opausal symptom relief strategy'. Through the results,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middle-aged women's health over the past 10 years have been identified, and research on health of middle-aged women that reflects the trend of the future should be continued.

Effects of Long-distance Horseback Riding on Blood Lipid, Adipokine, Inflammatory Marker in Obese Middle Aged Women

  • Lee, Jin-Wook;Park, Jong-Hw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8
    • /
    • pp.185-19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long-distance horseback riding on blood lipid,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obese meddle aged women and the data analysed using the paired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C(p<.01), LDL-C(p<.01), and HDL-C(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long-distance horseback riding(LDHR). Second, adiponect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1) and also PAI-1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1) after LDHR. Third, IL-6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1) after LDH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distance horseback riding has positive effect on changes blood lipid,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middle-aged women. Therefore we consider that effects of long-distance horseback riding has partial examine on prevention and therapy of obesity in middle-aged obese women who undergo physical and emotional big changed.

Effect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on Body Composition, Liver Function, Serum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Middle-aged Woman (12주간 복합운동과 영양교육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간기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 Kim, Hae-Yeol;Kwak, Yi-Sub;Sung, Gi-Dong;Son, Won-Mok;Kim, Do-Yeon;Baek, Yeong-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7 no.7
    • /
    • pp.817-825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body composition, liver function, serum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middle-aged women.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55 minutes 3 times per week during which the intensity progressively increased from RPE 13 to 14, 60-70%HRR (1~5 weeks), RPE 15 to 17, 70-80% HRR (6~12 weeks) and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20 minutes one day per week. The subjects were 21 obese middle-aged women were composed of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A, n=7), combined exercise group (B, n=7), and the control group (C, n=7).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and combined exercise group were as follows; The A and B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body composition than did the control group. The A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liver function, TC, TG, HDL-C, and HOMA-IR than did the control group. Consequently, combined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ffective in preventing diabetes caused by obesity in obese middle-aged woma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further studies: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these variables in obese and non-obese men and women by age or exercise type; they are also needed to develop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different age groups or body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