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만 수술

검색결과 2,092건 처리시간 0.024초

3D-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설골 및 상기도의 변화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hyoid bone and upper airway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anterior open bite patients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이윤섭;백형선;이기준;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2-82
    • /
    • 2009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설골과 상기도의 변화를 3D-CT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이를 정상교합자와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전치부 개방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중 12명을 선정 후, 3D-CT를 통해 설골과 상기도의 3차원 입체영상을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 전, 후의 설골의 위치 변화 및 상기도의 부피 변화를 살펴보고, 이의 결과를 정상교합자 10명과 비교하였다. 설골은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에서 악교정 수술 전에 정상교합군의 설골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고 있었고 악교정 수술 후 설골은 후, 상방으로 변화하였으나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Hyoid plane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은 악교정 수술전의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고, 악교정 수술 후에는 그 차이가 더욱 증가하였다.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의 상기도 부피는 정상교합자보다 작으며 이는, 악교정수술 후에 더욱 감소하였다. 3차원 영상 분석 결과,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상기도는 정상교합자에 비해 좁으며, 하악골 후퇴술 이후 더욱 감소하기 때문에 이는 수술적 개선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령 척추 질환자의 치료: 중재적 비수술 치료 (Manage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Spinal Disease: Interventional Nonsurgical Treatment)

  • 박수안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9-17
    • /
    • 2019
  • 인구 구조의 고령화로 인하여 일반적인 척추 질환과는 구분되는 고령 환자에서 특징적인 척추 질환이 호발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고령의 척추 환자는 대부분 내과적 질환을 동반하기 때문에 전신 상태가 불량한 경우가 많고 골다공증을 동반하며 보다 넓은 범위에 걸친 심한 퇴행성 변화를 보이기도 하고 치료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어서 고령 척추 환자에 특화된 비수술 치료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노인성 척추 질환 중 문제가 될 만한 주제를 선별하고 각각의 경우에 적용 가능한 중재적 비수술 치료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강악안면 수술의 침습도 및 술 후 통증의 정도와의 상관성 (Surgical Invasiveness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Severity of Postoperative Pain after Oral & Maxillofacial Surgery)

  • 신터전;박윤기;서광석;한효조;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5
    • /
    • 2011
  • 배경: 술 후 통증은 술 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생체기능의 회복을 방해한다. 술 후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선 통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술 후 통증은 수술의 침습도와 관련이 높을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침습도의 정도와 술 후 통증의 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총 153명의 환자를 수술의 침습도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그룹 1: 악성종양 수술 (malignancy surgery), 그룹 2: 양악수술(bimaxillary surgery), 그룹 3: 양성 종양수술(benign cancer surgery) 그룹 4: 임플란트 & 골절 수술(implant & frature)) 수술이 끝나갈 무렵 fentanyl 700 ${\mu}g$, ketorolac 1,500 mg (총 용적 120 ml)가 포함된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정맥로에 연결하였다. 술 후 통증의 정도는 시각통증등급(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자가통증조절장치의 총 사용시간, 투여된 진통제의 양, bolus 투여 총 횟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술 후 시각통증등급은 술 후 1일부터 3일까지 그룹 1, 2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시각통증등급 3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비율 역시 그룹 1, 2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진통제 총 투여용량 및 자가로 주입한 진통제의 양 역시 그룹 1, 2군에서 3, 4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외과적 수술의 침습도가 술 후 통증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임 을 확인하였다.

식도암에 대한 최소 침습수술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Esophageal Cancer)

  • 류경민;정요천;조석기;진성훈;성숙환;박도중;김형호;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55-259
    • /
    • 2006
  • 식도암의 수술은 일반적으로 개흉술과 개복술이 동시에 시행되며 경우에 따라 경부절개까지 추가되므로 다른 수술에 비해 이환율과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빠른 회복을 유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양성 질환뿐만 아니라 악성 종양의 수술에도 저 침습적인 방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식도암에는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는 않으며 아직 국내보고도 없다. 최근 저자들은 8예의 식도암 환자에게 저 침습 수술을 적용하였기에 수술 기법을 중심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에서 내시경적 위루술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n Children)

  • 장수희;김대연;김성철;김인구;김경모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8-15
    • /
    • 2004
  • 목 적: 내시경적 위루술은 수술적 위루술에 비해 안전하고 합병증 발생이 적은 만성 영양 결핍 환아의 경장 영양법으로 소아에서 이에 대한 비교분석이 드물어 위루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4년부터 2002년까지 위루술을 시행받은 66례의 의무기록정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내시경적 위루술 23례(평균연령 49개월, 추적관찰 13개월), 수술적 위루술 43례(평균연령 29개월, 추적관찰 21개월)이었다. 수술군 중 31례는 위저 추벽 성형술과 동시에 위루술을 시행 받았다. 주요 합병증은 수술군의 55%, 내시경군의 33%에서 발생하였다. 주요 합병증 발생은 내시경군($0.39{\pm}0.58$)이 수술군($0.81{\pm}0.85$)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부 합병증의 발생도 내시경군($1.68{\pm}1.75$)이 수술군($2.7{\pm}2.0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주요 합병증 중 흡인성 폐염이 가장 많았으나 내시경군이 수술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발생한 것은 마비성 장폐색이었다. 위 식도 역류로 위저 추벽 성형술을 시행한 수술적 위루술군 25% (8/31)에서 위식도 역류가 재발하였고 17% (2/12)에서 새로이 발생하였다. 내시경군은 위루술 전 17% (4/23)에서 위식도 역류가 있었으며 5% (1/19)가 새로이 발생하였고 그 중 2례에서 위저 추벽 성형술을 시행 받았다. 전체 66례 중 8례의 환아가 사망하였으나 위루술과 연관은 없었다. 경구식이가 가능하여 위루관을 제거한 경우는 내시경군 5례, 수술군 3례이었다. 결 론: 위루술은 합병증 발생이 적지 않았으나 내시경적 위루술이 수술적 위루술에 비해 합병증 발생이 유의 하게 낮아 일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위루술임을 확인하였다.

  • PDF

Tc-99m DISIDA SCAN에서 deconvolution 방법을 이용한 간암 환자의 수술 후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Remaining Hepatic Function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Hepatic Cancer using Deconvolution Technique of Tc-99m DISIDA SCAN)

  • 김덕원;김수찬;윤석진;이종두;김병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1-306
    • /
    • 1997
  • 간암의 조기 발견으로 인해 간 절제술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간을 너무 많이 절제할 경우 수술 후 사망하므로 수술후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는 외과의에게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는 ICG Rmax나 Lidocaine clearance test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하며, 수술 후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는 불가능하다. 한편 HEF는 측정의 간편성, 신속성, 비관혈성, 정량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정확성에 의문이 제기되어왔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감마카메라 영상으로부터 HEF를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간을 손상시킨 토끼 18마리와 정상 토끼 6마리를 대상으로 HEF의 정확성을 ICG Rmax 및 MEGX와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각각 0.91 및 0.94이었다. 그리고 정상인과 비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정상군의 HEF는 100% 이상, 비정상군의 HEF는 80% 이하로 나타나 정상군과 비정상군의 구별에 좋은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비정상군 중 절제 수술을 시행한 후 생존자를 관찰해 본 결과, 수술 전후의 HEF가 각각 60% 이상인 환자들을 대부분 생존하여 HEF가 60%이면 생존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한 On-Pump CABG와 Off-Pump CABG의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of Off-Pump versus On-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High Risk Patients)

  • 윤영남;이교준;김치영;안지영;오영준;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49-754
    • /
    • 2004
  •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 (Off-Pump CABG)은 심폐체외순환을 이용한 관상 동맥우회술 (On-Pump CABG)보다 낮은 위험률과 빠른 회복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수술 전 고위험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심폐체외순환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저자들은 수술 전 고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들에 있어서 Off-Pump CABG와 On-Pump CABG의 수술성적을 비교하여 고위험군에서 Off-Pump CABG의 효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만을 시행한 환자 682명(Off-Pump CABG군: 424명, On-Pump CABG: 258명) 중 수술 전 고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술 전 심장 박출계수 35% 이하, 70세 이상 고령의 환자, 뇌경색의 과거력, 최근 심근경색의 과거력, 과거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았던 환자, 경동맥 및 말초동맥의 협착, 심부전증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신부전증환자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등 9가지 위험인자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대상으로 삼았다. 대상 환자는 Off-Pump CABG군이 192명, On-Pump CABG군이 100명으로, 각 군의 수술 전 위험인자 및 수술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남녀 비, 연령 및 수술 전 고혈압 등의 위험요소는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ff-Pump CABG군에서 On-Pump CABG군에 비해 더 많은 동맥편을 사용하였으며, 수술시간, 수술 후 측정한 CK-MB, 뇌경색의 발생률, 강심제사용빈도, 호흡기의 사용시간 및 입원기간이 Off-Pump CABG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이식편수는 On-Pump CABG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수술 후 사망은 Off-Pump CABG와 On-Pump CABG를 시행 받았던 군에서 각각 0.5% 및 2%로 두 군간의 유의성은 없었으나 Off-Pump CABG를 시행 받았던 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출혈로 인한 재수술, 수술 후 심근경색증, 감염 및 신부전증 등은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Off-Pump CABG는 On-Pump CABG 에 비해 수술 후 심근손상을 줄이고, 합병증을 감소시키며 빠른 회복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고위험 군 환자들의 관상동맥우회술은 Off-Pump CABG로 시행하는 것이 더 좋은 수술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전향적인 연구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개인 맞춤형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 개발 (An Implementation of Obesity Management System with Individually Adapted Complex Care)

  • 노시철;김주영;김진수;강상식;최흥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83-91
    • /
    • 2012
  •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만은 각종 성인병과 함께 고혈압, 당뇨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시켜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까지 갖게 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인 비만 관리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 각기 다른 효능으로 비만 환자들의 욕구를 채워주고 있지만, 수술 치료의 실패, 치료 중 약물 중독, 우울증, 많은 시간 및 경제적 투자 등으로 근본적인 비만의 치료 효율이 낮다. 이에 체계적이며 개인의 비만 상태에 따른 유형별 치료 접근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술적인 비만 치료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인의 비만 유형별 비만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복합 비만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적외선 치료, 산소 치료, 색 치료, 극초단파 치료 모듈을 이용하여 복합적이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환자의 신체적 조건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맞춤 치료를 위해 치료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부분별로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자동 슬라이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 고기능성 비만 치료기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정맥류에서 관절경 장비를 이용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 (Transilluminated Powered Phlebectomy Using Arthroscopic Equipment in Varicose Vein of Lower Extremities)

  • 박형주;이철세;이길노;이석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391-396
    • /
    • 2003
  • 배경: 하지정맥류에 대한 수술치료법으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이 최근에 소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의 장점은 절개를 최소화하여 미용적으로 우수하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Trivex라는 고가의 장비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며 환자부담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는 Trivex 대신에 기존 관절경장비를 이용하여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을 실시하여 치료효과와 유용성을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하지정맥류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기존 관절경장비를 이용하여 113예의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을 실시하였다. 환자들의 병력, 절개창 숫자, 수술의 효과와 합병증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41.8세였으며 남자가 34명 여자가 44명이었다. 평균수술시간은 편측 하지당 48.7분이었고 절개창은 스트리핑을 위한 서헤부와 발목부의 창상을 포함하여 평균 4.9개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전례에서 반상출혈이 있었으나 저절로 흡수되어 사라졌으며, 3주 이상의 부종이 6예, 수술 시 발견치 못하고 남은 정맥류가 4예 수술 중 shaver의한 피부천공이 2예 있었다. 또한 압박스타킹 착용에 따른 접촉성 피부염이 나타난 경우가 4예 있었다. 시각적 상사척도에 의한 환자들의 수술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는 평균 92.6%였다. 결론: 관절경장비를 이용하여도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이 가능하며 심한 합병증 없이 미용적으로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양악 수술 환자의 술후 측모 예측을 위한 Video imaging (Power $Ceph^{\circledR}$ Ver 3.3)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profile change Prediction by video imaging (Power Ceph $^{\circledR}Ver$ 3.3) in Class III two jaw surgery patients)

  • 권미정;백형선;이원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301
    • /
    • 1999
  • 악교정 수술의 계획에 있어서 수술 후 경조직의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과 실제 측모 사진을 병합하여 수술 후 측모 변화에 대한 가시성을 높인 여러 종류의 video imaging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 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임상적인 활용에 앞서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video imaging프로그램의 하나인 Power $Ceph^{\circledR}$ (Power Soft Co. Ver 3.3)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양악수술을 시행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30명(남 14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예측도와 실제 술후의 측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량 및 술식별로 분류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의 비교에서 24개의 계측항목 중 1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계측항목 중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대부분 상악에 관련된 연조직으로 하악에 관련된 연조직에 비해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상악 및 하악의 이동량에 따른 비교에서 이동량이 적은 군이 이동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4. 이부 성형술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한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Video imaging(Power $Ceph^{\circledR}$ Ver 3.3)프로그램에 의한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시 그 차이는 대부분 2mm 이내로써 임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