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만 남성

Search Result 1,28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mparison of the Serum Gamma-Glutamyl Transferase and Serum Uric Acid Levels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on the Body Mass Index in Korean Men (성인 남성에서 체질량지수로 분류한 비만 유형에 따른 혈청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와 혈청 요산농도의 차이 비교)

  • Shin, Kyung A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1 no.1
    • /
    • pp.50-56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GGT (gamma-glutamyl transferase) and uric acid level in obese male adults. A total of 14,283 adult males aged 20 years or more, who visited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of Gyeonggi Regional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2017 to August 2018 and underwent a physical examina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obesity criteria were defined by the Asia-Pacific regional standards. Abdominal obesity was defined as a male waist circumference of more than 90 cm. An increase in the serum uric acid and serum CGT levels of the male subjects was defined as 7.0 mg/dL or more and 56 IU/L or mor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rum GGT and uric acid levels were higher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an in the normal weight group. In the obese group, the serum GGT and uric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abdominal obes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compared to the low body weight group. The overweight and obesity groups showed a higher risk of elevated serum GGT and hyperuricemia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but a low body weight did not affect the serum GGT elevation and hyperuricemia. Overall, the serum GGT and uric acid levels are useful for evaluating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 males.

A Study of External Ocular Structure in The Korean Young Age (한국인 청소년의 외안부 구조에 대한 연구)

  • Kim, Douk-Hoon;Moon, Jung-Ha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3 no.1
    • /
    • pp.243-247
    • /
    • 1998
  •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external ocular structure on the korean young age. The results was as follows; 1. On the distance of innercanthus, the average length was 38-40 mm. In the twenties age, the male was longer then the female. 2. On the length of palpebral fissure, the average length was 35-37 mm and right and left eye was similar results. But, the male was longer than the female. 3. On the width of palpebral fissure, the average width was 7-8mm and the male and female was similar results. 4. At the near distance, the average PD was 29-33 mm, but in the twenty age, the left eye of male was longer than the right eye. On the other hand, In the female, the results was reverse. 5. At the distance, the average PD was 31-32 mm, But, In the teens, the male and female was similar results. On the other hand, In the twenties age, the male was longer than the female.

  • PD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남성 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병리의 특징)

  • Kim, Sung-Soo;Im, Su Geun;Hwang, Boin;Kim, Youl-Ri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5 no.2
    • /
    • pp.185-192
    • /
    • 2017
  • Objectives : The aims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 : The present study included 32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d 75 fe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recruited from an eating disorders specialized clinic in a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We compar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ting disorders and comorbid conditions of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men and women with eating disorders. Correlations between eating disorders psychopathology in men with eating disorders and their weight suppression(WS)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at presentation, age of onset, illness duration, and body mass index at presentation between genders.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had higher rates of premorbid overweight or obesity than fe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had. WS in the male patients wa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their eating disorders.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provides grounds for improved understanding for clinical features of eating disorders in ma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 to Middle Management (남성관리자와 여성관리자의 사회 네트워크 비교 분석)

  • Chon, Soo-Jin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9 no.1
    • /
    • pp.1-2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male managers and female managers. To achieve purpose of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in large Korean companie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and 402 samples were restricted to middle manag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managers have more strong instrumental network than female mangers while female mangers have more focused on expressive network than male mangers. Second,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male managers are smaller size but stronger intimacy and higher status than that of female mangers. This means that social network of male managers are more qualitative than that of female managers.

  • PDF

과학의 불가사의-풀리지 않는 수수께끼4-남성들은 왜 존재하는가?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4 s.347
    • /
    • pp.27-29
    • /
    • 1998
  • 남성은 왜 존재하며 과연 필요한 것인가? 남성은 여성에 비해 거칠고 온갖 골칫거리의 원인을 제공하나 종의 존속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하지만 이 세상에는 처녀생식을 하는 종들도 많다. 칠면조는 수정하지 않은 알에서 부화하여 발육시킬 수 있으며 채찍꼬리 도마뱀은 모두 암컷이다. 또 델로이드윤층과 같은 일부 미생물중에는 4천만년동안 성없이도 살아왔고 민들레와 같이 전혀 무성인 식물도 있다. 수수께끼같은 남성의 세계를 알아본다.

  • PDF

통계로 보는 세상 이야기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10
    • /
    • pp.74-75
    • /
    • 2007
  • 사람의 외모를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인 모발은 그 사람의 새로운 이미지를 연출하기도 하고, 자신만의 개성과 자신감이 창출하기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대머리 남성들은 대머리가 아닌 남성들에 비해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많이 결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 탈모가 이들 남성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는 이유는 머리숱이 적은 대머리 남성이 호감을 덜 주며, 10년은 더 늙어 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모발은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 보면 탈모증 환자들은 탈모로 인하여 자신의 신체상:Body Image)에 부정적이거나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탈모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절대로 알지 못하는 그들만의 고민을 경희대병원에서 탈모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 PDF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 Eun, Gi-Su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45-171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 기혼부부가 가사노동을 어떻게 분담하고 있고, 가사노동시간의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고 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부부인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가사노동을 분담하는지 밝히기 위해 성 이데올로기론, 시간제약이론, 상대적 자원이론 등 세 이론을 검토한 후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가운데 현재 결혼해서 부부가 함께 한 가구에서 살고 있는 경우만 추출하고 부부의 자료를 하나의 레코드로 변환하여 부부의 가사노동분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 이데올로기론에서 나온 성역할에 관한 태도는 남성이나 여성 모두 가사노동시간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에 관한 태도나 가치가 가사노동이라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제약이론에 따라 설정된 상대적 노동시간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변수가 들어간 모형의 설명력이 특히 여성의 경우 높게 나타나고 상대적 노동시간이 가사노동시간에 미친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 유의미하고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 비선형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상대적 자원이론에 따른 상대적 소득의 효과는 남성의 경우 여성의 소득이 증가하면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며, 여성의 경우는 일단 여성의 소득이 있게 되면 소득의 다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가사노동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Body Shape Change with Aging -Focused on Elderly Males-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3-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이즈코리아에서 2015년 이루어진 제7차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중 60대 남성의 치수와 2014년에 이루어진 고령자인체치수조사 데이터의 70대와 80대 남성의 치수를 분석하여 신체적인 노화가 주로 나타나는 연령 구간과 노화에 따른 노년 남성 체형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년 남성의 경우 대체로 66-68세 사이와 75-77세 사이 그리고 84-85세 사이에 급격한 노화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60대와 70대에는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다가 대체로 80대에 들어서면서 노화가 심화되어 신체적으로 체형의 변화가 급격히 나타나게 된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의 현상으로 신체의 둘레, 너비, 높이 등에서는 변화가 심화되나 둘레, 너비, 높이에 비해 두께의 경우에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노년 여성의 경우에는 등이 굽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노년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과는 반대로 뒤로 젖혀진 체형이 나타나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복패턴 제작 시 앞중심길이와 등길이 설정에 있어서 노년 여성과는 반대로 등 길이를 짧게 하는 패턴상의 수정이 요구된다.

  • PDF

혼인과 은퇴 고령 남성의 사망 간의 관계: 미국 은퇴자 종단 자료의 분석 결과

  • Lee, Seong-Y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3-45
    • /
    • 2005
  • 혼인과 사망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혼인상태에 있는 사람이 혼인상태에 있지 않은 사람보다 더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선별효과와 보호 효과로 설명된다. 선별 효과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이 쇠약한 사람보다 혼인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독신자 집단은 유배우자 집단에 비해 병약한 사람들이 전체 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보호효과는 혼인이라는 유대를 통해 배우자들이 건강할 때나 아플 때나 서로의 건강을 염려해 주고 또 경제적 그리고 정신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에 관련된 병을 감소시켜, 혼인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사망률을 혼인 상태에 있지 않은 사람들의 사망률보다 낮춰 준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혼인상태의 은퇴 고령 남성이 독신상태의 은퇴 고령 남성과 유의미한 사망률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이혼하거나 별거하거나 혹은 배우자가 사망한 상태의 은퇴 고령남성보다는 낮은 사망률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록 선별효과를 입증해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혼인을 통한 재정적 복지가 은퇴 고령 남성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적 증거는 발견하였다. 중간 소득과 저소득 사이의 은퇴 고령 남성에서 나타나는 사망률 차이는 그들 건강상태의 차이로 나타난다. 중간소득의 은퇴고령 남성이 저소득의 은퇴 고령 남성보다 약간 더 많은 재정적 복지를 통해 보다 나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그 결과 약간 더 낮은 사망률을 보인다. 반면 고소득의 은퇴한 고령남성에게는 혼인의 재정적 복지뿐 아니라 그들의 소득도 그들의 건강증진 및 사망률 저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건강상태일지라도, 고소득의 은퇴 고령남과은 타 집단의 고령 남성보다 사망할 가능성이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