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만약물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비만의 약물요법에 대한 최신 지견

  • 이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2001.04a
    • /
    • pp.3-30
    • /
    • 2001
  • 비만은 고혈압, 제2형 당뇨병, 지방간, 고지혈증, 퇴행성관절염, 일부 암성 질환 등 다양한 만성 퇴행성 질환들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만을 하나의 질환으로 인식하고 치료할 필요가 있다. 비만은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해야 최상의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알려져 왔지만, 비만 치료가 끝나고 4년 후에 빠진 체중의 절반만이라도 다시 늘지 않고 유지하고 있는 사람은 10-30%에 불과하다. 그러나 비만 문제가 중요하고 현재까지의 치료방법이 성공적이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비만의 약물 치료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최근 비만의 약물 치료에 대해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사, 운동, 행동요법과 약물치료의 병합 요법이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비만증의 진단기준과 치료원칙을 간단히 설명하고 비만증의 약물요법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 PDF

Management of Weight Gain and Obesity Associated With Antipsychotics (항정신병약물 사용과 연관된 체중 증가와 비만의 관리)

  • Lee, Na-Hyun;Lee, Jae-Cha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9 no.2
    • /
    • pp.86-94
    • /
    • 2021
  • Objectives : The risk of weight gain is high when using antipsychotic drugs,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people with mental illness is high. Obesity management in psychiatric patients is important because obesity causes various complications and lowers treatment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Methods :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management strategies for obesity that can occur when using antipsychotic drugs through a web search. Results : Evaluate obesity-related risk factors and related indicators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conduct regular monitoring. If an antipsychotic drug is used and obesity is induced, a change to a drug with a low metabolic risk may be attempted. Sufficient interventions are also needed on the need to manage obesity, a healthy diet, and exercises in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f weight loss is not achieved and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are associated, the use of anti-obesity drugs may be considered. Pharmacological treatment approache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Conclusions : Non-pharmacological and pharmacological therapies can be applied to manage weight gain and obesity caused by the use of antipsychotic drugs. When using anti-obesity drugs,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s, drug safety, and drug interactions should be considered.

Pharmacotherapy for Obesity in Mood Disorders (기분장애 환자의 비만에 대한 약물치료)

  • Sohn, Inki;Lee, Kyu-Ha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2 no.2
    • /
    • pp.63-70
    • /
    • 2014
  •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overweight is increasing in mood disorder, and it is connected to an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Because of them, treatment for obesity may be an essential part of mood disorder treatment. Similar to the general population,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such as correction of life habi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of all. If this approaches are fail,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obesity would be required as next step. Any drug for obesity is not approved officially in mood disorder. So approved drugs in general population, and drugs supported by several studies are prescribed in clinical settings. Several treatment guidelines for mood disorder and studies support that orlistat, metformin, topiramate and bupropion is effective and safe.

  • PDF

비만치료제 개발의 접근 방법

  • 박명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2001.04a
    • /
    • pp.33-42
    • /
    • 2001
  • 최근 수년간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과 깨지는 것에 대한 생리적 기전에 대하여 많은 것이 알려졌다. 비만 만연의 사회적 문제점, 치료해야할 필요성, 음식섭취와 에너지 항상성의 조절 기전, 이와 관련된 물질과 수용체의 기능과 가치, 잠재력 있는 조절인자의 대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비만은 여러 생리과정의 총화이므로 신체의 즉각적, 장기적 에너지 수요를 원활하게 조절하는 다양한 분자신호전달체계에 각각 작용하는 물질을 찾아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새로운 비만치료제를 개발하는 전략이다.

  • PDF

Challenge Zone_소중한 당신의 체중계_과식 줄이기 - 비만 식사습관에 달렸다

  • Son, Bo-Deu-Ri
    • 건강소식
    • /
    • v.36 no.2
    • /
    • pp.6-8
    • /
    • 2012
  • 비만이 되는 이유는 내분비질환이나 특정 약물 복용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대개는 섭취한 영양분(에너지원)이 다 사용되지 않고 지방으로 변해 체내에 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에너지 섭취가 많은 경우, 즉 너무 많이 먹거나 살찌기 쉬운 음식(단 음식,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비만일 수밖에 없다.

  • PDF

모든 성인병은 복부비만에서 부터

  • Park, Yong-U
    • The Monthly Diabetes
    • /
    • s.188
    • /
    • pp.23-25
    • /
    • 2005
  • 복부비만(내장지방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임상에서는 대사증후군의 형태로 나타나고,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 운동부족, 섭취량 과다, 고지방 고단순당식 등이 주요 원인이며, 치료는 원인을 찾아 이를 해결하고 동반질환이나 위험요인을 치료하며 식사요법과 운동을 병행하여 체중을 줄이고 필요한 경우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 PDF

Allium victorialis Leaf Extract Prevents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in Mice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마우스에서 산마늘 잎추출물의 항비만효과)

  • Ku, Sae-Kwang;Chung, In-Kwon;Cheon, Woo-Hyun;Kim, Joo-Wa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8 no.3
    • /
    • pp.280-286
    • /
    • 2011
  • The antiobese effects of Allium victorialis (AV) leaf methanol extract were evaluated in a high fat diet (HFD) supplied mice. The changes on the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leptin and adiponectin levels as well as the periovarian fat weights and histopathology of adipocytes were examined. The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group given 250 mg/kg of metformin. After 91 days of a continuous HFD supply, the mice were significantly showed obesity. However, the obesity induced by the HFD was inhibited by the AV extract treatment at the three different doses (62.5, 125 and 250 mg/kg)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V methanol extract is beneficial for improving the diet-induced obesity in humans.

Obesity and Reproduction

  • Lee, Taek-Hu
    • 대한생식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67-80
    • /
    • 2006
  • 비만 특히 복부비만은 여성의 임신 및 출산에 많은 악영향을 미친다. 비만이 가임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functional hyperandrogenism과 insulin resistance에 수반된 hyperinsulinemia가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여겨진다. 또한 지방조직은 활발하게 대사 작용이 일어나는 장소로서 steroid hormone을 modification 시키고, 여러 가지 adipokine들을 분비시키는데 이런 지방조직의 분비물들은 생식계에 영향을 미친다. 비만이 생식계에 미치는 영향은 간략히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Table 3). 특히 PCOS 환자에서 비만은 hyperinsulinemia에 의한 난소의 steroidogenesis 증가와 SHBG의 감소에 연관되어 hyperandrogenism 과 무배란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비만은 약물에 의한 배란유도 및 체외수정의 성공률 또한 떨어뜨리며, 임신이 되더라도 자연 유산, 조산,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등의 위험은 높인다. 이와 같이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비만은 여성의 건강 특히 생식계에 많은 문제를 야기시킨다. 특히 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이 된 뒤 PCOS로 발전하여 불임, 심혈관 질환 등과 같은 많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