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등방성 산란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방진구조물 및 비파괴 응력파 탐상의 응용을 위한 비등방성 재료의 표면파 산란에 관한 연구 (Scattering of Surface Waves in Anisotropic Media for Applications in Wave Barriers and Non-Destructive Evaluation)

  • 이종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77-85
    • /
    • 1998
  • 이방성 재료에서의 표면파 진행과 산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개의 이방성 4분 무한 영역의 계면에서의 표면파 산란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이론을 제안하였다. Green 함수법을 이용하여 계면에서의 표면파 산란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수치계산을 수행하였으며 이방성과 비균질성이 산란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 PDF

경기육괴 북부 가평 지역에 분포하는 각섬암 내부 각섬석의 격자선호방향(LPO)과 지진파 비등방성 (Lattice Preferred Orientation(LPO) and Seismic Anisotropy of Amphibole in Gapyeong Amphibolites)

  • 김준하;정해명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3호
    • /
    • pp.259-272
    • /
    • 2020
  • 지각내부에서의 지진파 전파 특성은 지각의 주요 구성광물들의 격자선호방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진파 전파속도자료를 이용해 지구내부구조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주요 구성 광물들의 격자선호방향과 이를 이용해 계산된 암석별 지진파 전파속도 특성 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암석과 광물의 격자선호방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경기육괴 북부에 위치한 가평 위곡리 일대의 두 각섬암체에서 각섬암을 채취하여, 각섬암 내부의 주요 광물들, 특히 각섬석과 사장석의 격자선호방향을 전자현미경/후방산란전자회절 기기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가평지역 각섬암에서 나타나는 지진파 전파속도 특성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가평 위곡리 일대 두 개의 각섬암체에서 각각 type I과 type IV로 정의된 두 가지 타입의 각섬석 격자선호방향이 관찰되었다. 사장석은 비교적 약한 격자선호방향을 보여주었다. Type I 각섬석 격자선호방향이 관찰된 각섬암에서는 큰 지진파 비등방성이 관찰되었으나, type IV 각섬석 격자선호방향이 관찰된 각섬암에서는 작은 지진파 비등방성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이전의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빠른 S파의 편파방향은 각섬석의 격자선호방향에 관계없이 선구조방향에 평행하게 나타났다. 가평지역의 각섬암에서 관찰된 이러한 지진파 전파 특성은 경기육괴 지각 내부의 구조와 지진파 자료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neral Energy-Dependent Transport Equation with Fission

  • Lee, Un-Chul;Pac, Pong-You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4호
    • /
    • pp.255-262
    • /
    • 1970
  • 원자로 내에서 핵 분열이 관계될 때, 일반적인 비 등방성 중성자 수송 방정식의 세부적이고 확장된 계산이 다루어지고 있다. 우리가 일반 비 등방성인 경우의 해의 완전성을 증명할 때 산란과 분열의 복합 연산자가 각각 산란 연산자와 분열 연산자로 분리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연산자가 실제 계산에 응용될 때, 해의 완전성에 필요한 측정되지 않은 새로운 항을 끌어낼 수 있고, 이로 말미암아 완전히 방정식을 풀 수 있다. 아울러, 2차 비등방성의 근의 수가 B$_1$와 B$_2$를 기지수로, Cs 미지수로 하여 자세히 분류되고 있다.

  • PDF

화염 열복사의 파장별 선택적 반사를 위한 도료 코팅에 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a coating with pigment to selectively reflect the thermal radiation from fire)

  • 변도영;백승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2권3호
    • /
    • pp.399-407
    • /
    • 1998
  • The infrared reflection coatings with pigment can be used to protect the surfaces of combustible materials exposed to fire. To obtain high reflectivities in the infrared range (0.5-10.mu.m) important to fire, several dielectric pigments, such as titanium dioxide, iron oxide, and silicon, can be synthesized to polymer coatings. The theore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coating design with particles diameter in the 1.5 to 2.5.mu.m range and volume fraction in the 0.1 to 0.2 range is estimated to be optimal. In the analysis of the radiation, the dependent scattering, absorption by polymeric binder, and the internal interface reflection a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emi-transparent coating layer and an opaque substrate (PMMA) is also presented.

복사에 관여하는 유한 원통형 매질에서의 복사열 전달 (Radiative Heat Transfer in Radiatively Particpating Finite Cylindrical Media - Exact and P-N Solutions -)

  • 서인수;손종관;임승욱;이준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428-1437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흡수, 방사 및 비등방성 산란을 하는 축대칭 유한원통형매질에 서의 형식해로부터 Gaussian Quadrature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엄밀해를 구하고 P-1 과 P-3근사해법을 통하여 얻어진 해와 비교하여 P-1과 P-3근사해법의 타당성을 검토하 였다.또한 매질의 광학두께, 산란알베도, 벽면방사율, 형상계수 등을 주요 파라미 터로 하여 이들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전자파 산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혼합 유한요소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brid Finite Element Method for Solving Electromagnetic Wave Scattering)

  • 박동희;강찬석;안정수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4권1호
    • /
    • pp.38-43
    • /
    • 1993
  • 다충유전체주로 부터 전자장산란 문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혼합유한요소방법을 적용하였다. 실질적으로 펀미분방정식의 해가 주어지는 무경계화된 영역은 국소경계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되고, 나머지 무경 계영역은 경계적분방정식으로 나타내게 된다. 나누어진 국소표면은 원천, 비균질성과 비등방성을 포함 하도록 정의한다. 따라서, 정의된 국소경계영역에서 미분볍이 사용된다. 또한 나머지 경계영역에서 경계 적분방정식이 단지 자유공간Green 함수를 사용하도록 수식화 될 것이다. 그 결과로서, 국소경계는 경계조건을 갖는 경계값 문제로 나타나게 되고, 유한요소법으로 해석된다. 제시된 방법의 장점은 전자장 산란연구에 보다 간략하고, 효율적이다. 결과의 타당성은 다른방볍(경계 요소법)파 비교하여 입증하였다. 확장된 수치해석의 예로서 임의의 단면을 갖는 손실유전체주의 산란장을 해석하여 제시했다.

  • PDF

방사성 중성자선원에 의한 방사선방어측정기의 교정을 위한 표준 중성자 조사장치 연구 (Standard Neutron Irradiation Facility for Calibration of Radiation Protection Instruments by Radioactive Neutron Sources)

  • 최길웅;이경주;황선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66-70
    • /
    • 1989
  • 방사성 중성자선원은 일상적 시험에 있어 표준 중성자 방사선장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방사선 방어상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중성자 측정기기의 교정을 위한 기준 방사선이 ISO TC-85에서 제의되었다. 한국표준연구소 방사선연구실에는 ISO TC-85의 추천사항에 준하여 개인용 중성자 선량계를 교정하기 위하여 $^{252}Cf$$^{241}Am-Be$ 선원을 이용한 표준조사시설을 설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성자 산란과 선원 비등방성에 연관된 교정상의 보정인자들을 실험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 PDF

액적방열기의 복사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Liquid Droplet Radiator)

  • 김금무;김용모;김경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32-40
    • /
    • 1994
  • The radiative heat transfer analysis in particle layer has an inherent difficulty in treating the governing integro-differential equations, which are derived from the remote effects. Most of the existing analyses are limited to the one dimensional system, taking into account only absorption or isotropic scatting of solid particles. Fortunately, a new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is recently developed to analyse multidimensional radiative heat transfer in particles with anisotropically scatting. By this method, the present study analyses the radiative heat transfer in dispersed particles through the numerous droplets in the liquid droplet radiator to develop a technique of liquid droplet radiator. Consequently, knows that the radiative heat flux in particle layer is influenced by exitinction coefficient, optical thickness and surface area of particles in the system.

  • PDF

고선량률 강내조사선원을 이용한 근접조사선량계획전산화 개발 (Development of Dose Planning System for Brachytherapy with High Dose Rate Using Ir-192 Source)

  • 최태진;예지원;김진희;김옥배;이호준;한현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83-293
    • /
    • 2002
  • 목적 : 고선량률의 Ir-192 선원을 이용한 근접조사의 모의촬영 영상을 개인컴퓨터(PC)에 입력하여 해부학적 영상에 선량분포를 구현하고 히스토그램, 선량-용적히스토그램 및 3차원 선량분포를 전산화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선량전산화에 이용된 선원은 원격근접조사장치(Buchler 3K, 독일)의 Co-60 대체선원으로 한국원자력 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Ir-192이다. 선원 모양에 의존하는 선량분포의 비등방성은 선원을 미소 분할하여 구한 선량과 선원 중심에서 측방 기준점의 공중선량을 기준으로 규격화한 값을 이용하였다. 선원 주위의 조직선량은 선원 중심에서 측방으로 실측된 조직감쇠와 산란에 의한 보정계수와 에너지에 따른 공기 저지능에 대한 조직의 저지능 비로 공중-조직선량 변환계수를 적용하고 기준점에 대해 규격화한 선량률표를 검색하여 얻도록 하였다. 선량계획 전산화 과정에 모의촬영 영상입력, 선원입력과 선원의 축면 결정과 해부학적 영상을 이용한 선량분포와 점선량, 히스토그램 및 선량-용적 히스토그램을 구현하였다. 결과 : 저자들이 개발한 근접조사 선량계획시스템에는 선원모의촬영 영상을 스켄하여 비트맵 파일로 저장하고, 좌표원점과 확대율을 정해, 선원위치를 결정하고 선량분포와 선량분석 프로그램을 포함한 선량전산화를 구현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Ir-192 선원의 조직내 선량은 공중선량율과 조직에 의한 감쇠 및 산란에 의한 실험식을 이용하였다. 선원 중심에서 축상의 거리와 축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선량률표에서 행렬 검색하여 얻도록 하였다. 근접조사선량계획은 선원좌표 입력과 선원의 축면(principal plane)을 결정하여 선원이 포함된 평면상의 선량을 구현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영상인 관상면과 시상면에 선량분포를 구현하였다. 선량-히스토그램에 의한 선량분포 분석은 임의의 해부학적 영상면 위에 커서가 놓인 위치의 선량 스켓치로 얻었다. 임상에 필요한 선량분석은 선원의 축에서 면의깊이를 이동하여 선량분포를 구할 수 있게 하였으며, 선량-용적 히스토그램과 3차원 선량분포를 구현하였다. 결론 : 고선량률 Ir-192를 이용하여 근접조사선량계획을 전산화하였으며, 선량분포의 분석에는 해부학적 영상의 선량분포와 선량-히스토그램, 선량-용적히스토그램을 구현하였으며, 선량분포의 면을 임의 선택할 수 있고 3차원 선량분포를 포함한 선량계획시스템을 준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