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동기식통신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9초

DS-UWB 시스템의 성능 향상 기법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s for a DS-UWB System)

  • 박중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7A호
    • /
    • pp.674-6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복잡도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다중사용자 간섭과 다중 경로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DS-UWB 시스템 수신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비동기식 DS-UWB 시스템 수신기는 확산코드의 종류와 길이에 따라 성능의 편차가 심하다. 일반적으로 확산코드의 길이가 증가하면 수신기의 성능도 따라서 향상되지만, 다중 경로의 영향을 받는 환경에서는 만족할만한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 제안된 수신기는 다중 사용자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도 다중 경로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여러 가지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조건에서 기존의 수신기에 비해 사용자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조직 구성원들의 상호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합 웹 메신저 개발 (Development of Wire-Wireless Integrated Web Messenger for Communication of users in a Multi-Organization)

  • 조미경;김정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81-1186
    • /
    • 2013
  • 대부분의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될 만큼 모바일 네트워크는 필수적인 상호통신의 도구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회사 내 구성원들의 상호통신을 위해 데스크 탑 컴퓨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내 메신저를 다양한 플랫폼을 가진 각종 모바일 장치들과 데스크 탑 컴퓨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합 웹 메신저로 개발하였다. 독립된 여러 회사를 복수조직이라 정의하고, 복수 조직을 하나의 메신저로 묶어 복수 조직의 구성원들이 서로 통신해야 되는 특수한 형태의 회사 조직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따라서 특정 부서의 보안을 위해 웹 메신저 내 서로 다른 조직의 특정 부서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기능이 있다. 개발된 웹 메신저는 안드로이드, iOS 플랫폼 및 데스크 탑 기반의 다양한 웹브라우저들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하였다.

2.45GHz 마이크로파 무선데이터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2.45GHz Microwave Identification System)

  • 윤동기;박양하;김관호;이영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7B호
    • /
    • pp.1342-135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2.45GHz 비접촉식 마이크로파 무선인식시스템을 개발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응답기와 질문기 사이에 9,600bps 전송속도로 데이터 인식을 통하여 통신절차와 에러검출 보정방식 및 송.수신회로 범용소자를 이용하여 설계.제작하였고, 송.수신안테나와 응답기 전원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실험결과, 응답기는 3.6V의 전원 공급시 15$\mu\textrm{A}$의 저전류 소모를 보였으며 최대, 80km/h의 이동속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성공률은 초대 인식거리 10m에서 90%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 PDF

각도추정 오차가 있는 경우 적응배열 안테나를 사용한 셀룰러 CDMA 시스템의 용량분석 (Capacity Analysis on Cellular CDMA System with Adaptive Array Antenna in the Presence of Angle Estimation Error)

  • 정영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A호
    • /
    • pp.900-909
    • /
    • 2000
  • 적응배열 안테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장 유망한 기법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도 추정오차가 있는 경우 적응 배열 안테나를 사용한 비동기식 W-CDMA 시스템의 용량을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분석하였다. 결과로부터, 용량은 각도 추정 오차에 의하여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9소자 적응배열 안테나에서 5도의 오차가 있는 경우 용량은 상향링크에서 5.2% 하향링크에서 11.6%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환경이 다른 채널에서 용량의 비교도 수행하였다. 그러나 전력 제어로 인하여 라이스 지수의 증가가 거의 용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가시선 영역의 통신 단절 현상 개선과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VLC 릴레이 모듈 구현 (Implementation of VLC Relay Module to Improv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henomenon and Coverage Expansion in Non-Line-of-Sight Area)

  • 이상권;이대희;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40-146
    • /
    • 2018
  • 최근 실내조명으로 사용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무선통신 기술을 융합한 가시광통신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가시광 통신은 광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커버리지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하고, 비가시선 영역에서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 통신의 커버리지 확장과 비가시선 영역에서 통신 단절 현상 개선을 위해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릴레이 모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VLC 릴레이 모듈은 송신기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VLC 릴레이 모듈 및 수신기로 전송한다. 1개의 VLC 송신기와 3개의 VLC 릴레이 모듈을 설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VLC 릴레이 모듈의 증가에 따른 통신 커버리지 확장과 비가시선 영역에서 통신 단절 현상 개선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중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여 광 신호 측정 성능이 2.4배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GPRS망에서 GGSN IP Buffer 관리기법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GGSN IP Buffer Management Strategies in A GPRS Network)

  • 박선춘;마경민;김영진;이형우;조충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334-336
    • /
    • 2000
  • 인터넷의 폭발적인 증가와 다양한 무선 서비스에 대한 계속적인 수요 증가에 따라 용량이 크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비동기식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과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GPRS network에서 GGSN의 인터넷 패킷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GGSN은 기존의 라우터처럼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GTP (GPRS Tunneling Protocol)가 추가되므로 좀더 복잡한 형태의 gateway가 초기단계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GGSN의 성능과 용량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패킷 트래픽 처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는 GGSN의 다운 링크상에서 입력되는 각 클래스별 트래픽 모델을 정립하고 트래픽에 대한 특성과 버퍼 관리에 대해 살펴본다.

  • PDF

향후 네트워크 트래픽 수용계획을 고려한 전력통신망의 토폴로지 및 링크용량 설계 (Design of Network Topology and Link Capacity for the future Power Telecommunication)

  • 김선익;박명혜;오도은;임용훈;이진기;조선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4호
    • /
    • pp.405-414
    • /
    • 2001
  • 전력연구원에서는 ATM WAN 통합망 기반 구축을 통하여 통신회선 임대비용의 절감과 안정적이고 고속의 인터넷 서비스를 수용함으로써 통신망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ATM 기반 전력통신망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패킷 통신망 트래픽 통계 분석결과와 연간 트래픽 증가량 예측치를 기반으로 향후 서비스 수용계획을 고려한 토폴로지와 링크용량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력통신망에서의 ATM 스위치 기반 네트워크 모델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TM 기반 전력통신망의 설계결과를 요약한다.

  • PDF

광 직교코드를 이용한 광CDMA 시스템 해석 (Analysis of Optical CDMA System Using Optical Orthogonal Code)

  • 김남국;전상영;이주희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0-91
    • /
    • 2000
  • 광섬유는 수십THz이상의 넓은 대역폭과 0.2-0.4 dB/Km의 적은 전송손실의 우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CDMA시스템에 적용하면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 및 비동기식 전송의 장점이 있으므로 광 LAN이나 광 교환기 등의 광통신 네트워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1][2]}$ . 그러나 광CDMA시스템은 다수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발생되는 오류정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자기상관 및 상호상관특성을 가져야 자신의 정보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3]}$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섬유 지연선을 이용한 광 CDMA시스템에서 코드구성을 광 직교 코드로 하였을 경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시스템 해석에 대하여 서술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광 직교 코드를 사용한 경우 사용자수가 증가함에 따른 최적의 자기상관 및 상호상관특성을 갖는 코드를 구하고, 임계값 변화에 따른 에러확률을 분석한다. (중략)

  • PDF

UMTS 기반망에서 IP 버퍼분석

  • 박선춘;조충호;마경민;이형우;김대익;김영진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E-Business 활성화를 위한 첨단 정보기술
    • /
    • pp.69-70
    • /
    • 2001
  • 인터넷의 폭발적인 증가와 다양한 무선 서비스에 대한 계속적인 수요 증가에 따라 용량이 크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비동기식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과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GPRS network에서 GGSN의 인터넷 패킷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GGSN은 기존의 라우터 처럼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GTP(GPRS Tunneling Protocol) 가 추가되므로 좀더 복잡한 형태의 gateway가 초기단계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질것이다. 이러한 GGSN의 성능과 용량을 최적화 시키기 위한 패킷 트래픽 처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는 GGSN의 하향 링크상에 서 입력되는 각 클래스별 크래픽 모델을 정립하고 트래픽에 대한 특성과 버퍼 관리에 대해 살펴본다.

  • PDF

Node.js를 이용한 자바스크립트 에러 감지 시스템 (JavaScript Error Detection System Using Node.js)

  • 박주환;김성진;윤영현;백재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263-2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JavaScript와 Node.js를 활용하여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하는 웹 에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했다. Node.js의 비동기식 I/O 처리와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높은 처리량과 확장성을 제공하며,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개발 편의성을 높였다. 에러 내용은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할 때 JavaScript를 삽입하여 에러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웹 에러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에러를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Chart.js를 활용하여 시각화된 에러 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웹사이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들에게 원활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