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단벌레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비단벌레 날개를 중심으로 본 금관총 출토 비단 벌레장식 마구류의 제작 기법 연구 (A Study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Horse Trappings with Jewel Beetle Adornment Excavated from Geumgwanchong Tomb)

  • 이승렬;정국희;신용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1-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비단벌레장식 마구류의 제작 기법에 대해 비단벌레 날개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비단벌레 날개는 상단 골격부를 제거한 후 금동투조판 아래에 놓여 장식으로 사용되었으며, 부착성 증대를 위한 가공 흔적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금관총에서 출토된 비단벌레장식 마구류는 안교, 등자, 행엽, 죽제장니가 있으나 등자를 제외한 마구류는 대부분 파손·유실되어 전체적인 제작방법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비단벌레 날개의 고정 방법은 바탕재에 따라 달라지며, 목심을 바탕재로 사용하는 등자와 안교는 소형정을 사용하고 죽제장니나 철제를 바탕재로 사용하는 유물은 옻칠을 사용하여 고정 후 금동투조판으로 압착하여 결합한 것으로 확인된다.

철지비단벌레장식금동투조유물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Steel-Plated Jewel Beetle's Adornment and Gilt-bronze Openwork Remains)

  • 용병주;강정무;김수기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7-4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주 황오동 100번지 유적에서 출토된 철지비단벌레장식금동투조유물을 대상으로 과학적 조사분석을 통한 비단벌레 날개장식의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금동투조판과 철지판의 연결방법은 리벳팅을 사용하였으며, 수은아말감 기법으로 도금한 후 점선조기법으로 문양을 새긴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단벌레 날개 표면에 핀으로 고정한 흔적이 확인되었으나 재활용이나 가공 과정에 생긴 것으로 추정하였다. 단면 분석을 통해 날개 접착제로 옻칠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으며, 행엽 지판에도 부식방지를 위해 옻칠이 도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단벌레(Crysochroa fulgidissima) 에탄올추출물의 NO 증강 및 염증인자억제활성 (NO and Cytokine Production due to Crysochroa fulgidissima)

  • 안미영;김순자;정혜경;서윤정;박해철;이영보;김미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27-233
    • /
    • 2011
  • 비단벌레(C. fulgidissima)는 동아시아에서 중풍을 치료하는 약으로 한국에서는 살충, 지양제로서 사용한 기록이 있다. 본 연구는 비단벌레의 에탄올 추출물의 내피세포에서의 산화질소(NO) 증강효과와 내피성 산화질소 합성효소(eNOS)의 양적 증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은 양성대조약물 sodium nitroprusside에 비해 65.9%의 NO 증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NOS에 대해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염증성부착인자인 ICAM-1과 VCAM-1 수치와 염증매개인자 프로스타글란딘 $E_2$를 조사하여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의 염증억제 기전을 조사한 결과, HUVEC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매개인자와 염증성부착인자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혈관성 내피성장인자(VEGF)의 낮은 수치를 HUVEC 세포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에탄올 추출물을 HPLC로 부분정제 후 GC-MS와 MALDI-TOF 분석을 통하여 일부 칸다리딘 성분 함유함을 확인하였다

간.혼작을 이용한 유기농 배추 주요해충 발생경감 효과 (Effect of Inter-and mixed cropping with Attractant and Repellent Plants on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in Organic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 김민정;심창기;김용기;지형진;윤종철;박종호;한은정;홍성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85-699
    • /
    • 2013
  •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갓노랑비단벌레 (Scintillatrix djingischani OBENBERGER)에 관한 연구(제3보) -유충의 령기와 경과에 대하여- (Studies on the yellow-margined buprestid, Scintillatrix djingischani OBENBERGER)(II) -The larval instar and the growth of larva-)

  • 윤주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27-32
    • /
    • 1968
  • 1963년부터 1966년 사이에 과원에서 채집된 갓노랑비단벌레 유충과 실내에서 사육한 일부 유충을 가지고 두건을 측정하며 영기를 판정함과 동시에 성장하는 비와 변이를 고찰하였다. (1) 유충의 두건의 변리곡선은 완전히 7개의 계곡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6회의 탈피를 하여 7영을 지내는 것 같다. (2) 대체로 유충은 6-7영을 경과하는데, 6영으로 용화가 되는 것은 11월부터 목질부 내에 들어가 용화직전으로 월동하며, 형성층 부위에서 월동하였다가 만춘이나 초하에 용화가 되는 것은 7영으로 경과한 것 같다. (3) 두건의 표준편차는 1영과 6영 이외에는 영이 커짐에 따라 커졌으며, 변이계수는 영이 커짐에 따라 줄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성장비는 1-2영시는 크고 영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졌다. (4) 곤충의 유충의 두건 성장에 관해서 Dyar식보다 Games and Campbell식이 더욱 적합하였다. (5) 유충 영기의 활동상황으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당년에 부화된 유충은 2-3영으로 월동한 것 같고 이전의 것은 5-6영으로 월동 익년에 우화한 것 같다.

  • PDF

자생곤충으로부터 트롬빈 저해물질의 탐색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Screening of Thrombin Inhibitor and i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Wild Insects.)

  • 류희영;허진철;황재삼;강석우;윤치영;이상한;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3-368
    • /
    • 2008
  • 국내의 자생곤충 76종으로부터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304종의 추출물을 조제한 후, 이들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트롬빈 저해활성 평가 결과, 방아깨비, 왕잠자리, 비단노린재 및 끝검은메뚜기의 DMSO 추출물 4종, 알락수염노린재, 가시길쭉바구미, 잔날개여치, 털두꺼비하늘소, 송장벌레과 유충 및 등빨간거위벌레의 물 추출물 6종에서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선정된 10종을 대상으로 aPTT 측정결과 비단노린재, 방아깨비 및 잔날개여치 추출물에서 미약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혈전 생성 저해의 유의적인 변화는 인정되지 않아, 이들 추출물들은 트롬빈을 직접 저해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한편 항트롬빈 활성이 우수한 10종 추출물 중에서 방아깨비, 가시길쭉바구미, 알락수염노린재 및 송장벌레과 유충 추출물에서는 우수한 DPPH 소거능을 나타내어 이들의 약용 곤충자원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