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구면도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ultra precision machining of free-form molds for advanced head-up display device (첨단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자유형상 금형의 초정밀 가공에 관한 연구)

  • Park, Young-Durk;Jang, Tae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
    • /
    • pp.290-296
    • /
    • 2019
  • Head-up displays for vehic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driving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n this study, ultra-precision machining was performed and evaluated as a method for machining a large-area aspheric free-form mirror that is applicable to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Precision diamond cutting is highly accurate and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advanced parts with excellent surface integrity, low surface roughness, and low residual stress. By using an aspheric free-form mol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tical transfer function, reduce the distortion path, and realize a special image field curvature. To make such a mold, the diamond cutting method was used, and the result was evaluated using an aspherical shape-measuring machin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the mold with shape accuracy (PV) below $1{\mu}m$ and surface roughness (Ra) below $0.02{\mu}m$.

Diffraction grating interferometer for null testing of aspheric surface with binary amplitude CGH (이진 컴퓨터 형성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구면 형상 측정용 위상편이 회절격자 간섭계)

  • 황태준;김승우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5 no.4
    • /
    • pp.313-320
    • /
    • 2004
  • We present a null testing method fer aspheric surfaces, utilizing a phase-shifting diffraction grating interferometer along with a binary amplitude computer generated hologram (CGH). The binary amplitude CGH i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wavefront between a point source and the aspheric surface under test. The fringe visibility of the grating interferometer is controlled easily by selecting suitable grating diffraction orders for the measurement and reference wavefronts or by optimizing the groove shape of the grating used. The binary amplitude CGH is designed by numerical analysis of ray tracing and fabricated using e-beam lithography for autostigmatic testing. Experimental results of a large-scale aspheric mirror surface are discussed to verify the measureme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iffraction grating interferometer.

핵심광학부품 비구면 Glass 렌즈의 기술 및 시장동향

  • Kim, Jeong-Ho
    • The Optical Journal
    • /
    • s.99
    • /
    • pp.25-29
    • /
    • 2005
  • 현재 수출전략품목인 DVD, 디지털카메라, 휴대용 카메라폰에 요구되는 비구면Glass 광학렌즈 및 모듈 등의 핵심부품은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대일무역적자 완화와 함께 전략산업의 안정적 기술혁신 기반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비구면 Glass 렌즈를 중심으로 하는 핵심 광학부품에 대하여 대기업을 필두로 국산화를 통한 광학기기 제품의 경쟁력 제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뿐 아니라 비구면 Glass 렌즈의 생산을 위한 중소기업들의 시장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경쟁분위기의 정착으로 향후 국내에서도 많은 기술력의 축적이 가능해지리라 전망된다.

  • PDF

Comparison of preference and Empirical Fit Success Rates for Spheric and Aspheric RGP Lenses (구면 및 비구면 디자인 RGP 콘택트렌즈의 선호도와 경험적 피팅 성공률 비교)

  • Kim, Jai-Min;Kim, Soo-Hyu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3 no.2
    • /
    • pp.9-16
    • /
    • 2008
  • To assess the preference and efficacy of empirical fitting methods with spheric and aspheric RGP lenses. Methods: Healthy 37 subjects were fitted with spheric design (diameter 9.3 mm) on right eye and aspheric design (dia 9.6 mm) on the left eye. Base curves which were fitted empirically (using on-K, Kavg-0.50D (or 1.00D) and manufacturer's recommended fitting guide) were compared with another base curve which obtained the best diagnostic fit with spheric and aspheric RGP lenses. The preference and fitting type (lid attachment or interpalpebral) for two design lenses were investigated 2 weeks after fitting RGP lenses. Results: Of 33 successful RGP lens-wearing subjects, 76% preferred spheric design compared with 24% of aspheric RGP lens wearers. Sixty seven percent were fitted with lid-attachment in spheric lenses, whereas 64% were fitted with lid-attachment in aspheric lenses. The acceptable fit success rates within ${\pm}$0.50D of base curves were 97% for the on-K fit, 100% for the Kavg-0.50D fit and 100% of the manufacturer's guide fit compared with the diagnostic fit in spheric design, whereas 91%, 79% and 94% reported on-K, Kavg-1.00D and manufacturer's guide, respectively, in aspheric design. Conclusions: Although aspheric RGP lenses are more popular in the Korean market, it is still preferable to fit subjects with spheric RGP lenses. Empirical fitting may be best accomplished with the spheric lenses using Kavg-0.50D fit and the manufacturer's fitting guide, whereas aspheric RGP lens designs are unacceptable lens fit based on empirical fitting.

  • PDF

광학렌즈 기술.시장 동향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54
    • /
    • pp.33-45
    • /
    • 2014
  • ■ 광통신용 렌즈는 광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단과 수신단에 사용되는 하나의 부품으로 집광/발산의 결상 기능을 지니며, 광회로 부품과 광섬유 또는 수발광소자인 LD/PD와 광섬유를 효율 좋게 저손실로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함. ■ 마이크로 렌즈는 마이크로 광학의 분야에 있어 광의 집광 및 평행 광으로의 변환에 빠질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소자로서, 마이크로 렌즈의 종류로는 마이크로 볼 렌즈, 비구면 렌즈와 GRIN 렌즈가 대표적으로 있음. ■ 렌즈에 적용되는 사양으로서 렌즈의 유효 구경, 초점(focal point), 주점(principle point), 주점에서 초점까지의 거리인 초점 거리(focal length), 가상의 법선을 기준으로 빛이 입사되는 각도인 입사각, 빛이 다른 매질을 만나 반사되는 각도인 반사각, 서로 다른 매질을 빛이 통과할 때 굴절하는 굴절각 등이 있음. ■ 렌즈 모듈의 구조는 렌즈, 스페이서(spacer), 아리리스(Iris), 백링(back-ring), 바렐(Barrel)로 구성함. ■ LD 모듈에서 광원에 패브리 페로(FP)로 사용하는 것에는 볼 렌즈가, DFB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는 비구면 렌즈가 사용하고 있음. 이를 위해 PON용에서는 G-PON의 OLT, ONU 측, GE-PON의 OLT측에는 비구면 렌즈가 사용되나 GE-PON의 ONU측에는 볼 렌즈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 ■ 2012년 볼 렌즈 시장은 수량 기반으로 2011년 대비 9.7% 증가한 7,350만 개, 금액기반으로는 17.0% 증가한 3,125만$를 기록하였음. ■ 2012년 비구면 렌즈 시장은 수량 기반으로 2011년 대비 22.0% 증가한 2,220만 개, 금액 기반으로는 32.0% 증가한 8,900만$를 기록하였음. ■ 2012년 광통신용 렌즈 시장(볼 + 비구면)은 수량 기반으로 2011년 대비 12.3% 증가한 9,570만 개, 금액 기반으로는 27.7% 증가한 1억 2,063만$이었음.

  • PDF

광학R&D산실-한남대학교 광전자물리학과 광학설계연구실

  • Park, Ji-Yeon
    • The Optical Journal
    • /
    • s.99
    • /
    • pp.39-41
    • /
    • 2005
  • 한남대학교 광전자물리학과의 광학설계연구실은 산업적 응용성이 강한 첨단 응용 광학 연구에 매진함은 물론 높은 취업률이 입증하듯 인재양성의 전략적 거점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최근 산업계에서 개발이 활발한 초소형 카메라 렌즈모듈을 비롯하여, 내시경용 비구면 렌즈, 각종 조명 광학계, 대구경 비구면 측정용 널(Null) 렌즈 설계 및 제작, 비구면 평가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단순 기초교육 및 학문적인 연구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산업계 및 연구소와 함께 다양한 연구개발 실적 및 논문을 발표하며 활발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PDF

대구경 비구면 광학기술과 응용

  • Lee, Yun-U;Mun, Il-Gwon;Kim, Hak-Yong;Yang, Ho-Sun
    • The Optical Journal
    • /
    • s.151
    • /
    • pp.33-45
    • /
    • 2014
  • 대구경 비구면 거울은 대형 천체 망원경이나 고해상도 위성 카메라 등에 사용하는 핵심부품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비교하면 매우 크므로 설계 및 제작이 같은 크기의 구면보다 훨씬 어렵다. 특히 경량화가 많이 될수록 중력이나 온도변화와 같은 외부의 힘에 의한 변형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를 줄여주는 광기계 설계 및 해석이 더욱 중요해진다. 지상용과 우주용은 사용 환경에 차이가 있어서 설계 요구조건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지지구조물이나 반사경의 경량화 모양 등에 많은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구경 비구면 광학기술가운데 가장 어려운 광기계 설계에 관하여 지상용과 우주용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PDF

최신기술동향 - 우리나라 비구면 광학렌즈(금형)의 시작과 현재 그리고 미래

  • Kim, Bu-Tae
    • The Optical Journal
    • /
    • s.138
    • /
    • pp.29-35
    • /
    • 2012
  • 비구면 렌즈를 적용한 광학계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광학제품은 휴대폰용 카메라를 비롯하여 CDP, DVD, BD용 픽업,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레이져프린터, CCD카메라, 자동차용 후방카메라, 블랙박스, 미니 프로젝터, HMD(Head Mounted Display), 콘택트렌즈, 의료용 어레이 렌즈, 적외선용 광학계, 위성용 카메라 등이 있고 최근에는 LED가 제2의 광원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LED 앞에 사용되어 빛의 방향을 조절하고 색수차를 줄이는 용도의 2차 렌즈로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제품에 사용되는 비구면 렌즈는 이제 국내 기술로 전량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