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골신경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8초

총비골신경병증 환자에 대한 침 및 침전기 자극술 병용 치험 1례 (Common Peroneal Neuropathy Treated with Acupuncture plus Electro-acupuncture: Case Report)

  • 이상영;신현권;김기역;황춘호;정필선;김희영;고용준;조현정;박재석;설재욱;조희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72-67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at a patient suffered from Common Peroneal Neuropathy (CPN) caused by ankle sprain was improved by acupuncture plus electro-acupuncture. In this stud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e(MRI) and electomyography(EMG). We treated at acupoints ST36, ST41, SP9, GB34, GB39 and LR3 by acupuncture plus electro-acupuncture twice a day for 16 days; a total of 30 times. We used evaluation scale including muscle manual testing(MMT)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MMT changed from Grade 0 to Grade 5 and VAS changed from 10 to 2 after treatment for 16days with hospitalization. Though it is a case re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puncture and electrical acupuncture might have valid effect on CPN in controlled environment.

경추 추간판절제술후 전방 골유합시에 자가골분진을 충전시킨 동결건조된 동종비골이식의 유용성 (The Availability of Allogenic Fibular Bone Graft with Autogenous Bone Dust in Anterior Cervical Fusion after Cervical Discectomy)

  • 이상대;이동열;김수영;정영균;조봉수;박혁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043-1049
    • /
    • 2000
  •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allogenic fibular bone graft filled with autogenous bone dust in anterior cervical fusion after cervical discectomy. Methods : During a 4-year period(1995-1998), twenty four cases of anterior cervical fusion after discectomy were performed with fibular allograft filled with autogenous bone dust in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 We used freeze-dried fibular allograft and autogenous bone dust. Autogenous bone dust obtained from spondylotic spurs, osteophytes, and during foraminotomy. Cervical plating system was done at 8 patients. 5 patients were 1 level and 3 patients were 2 levels. All patients were routinely evaluated after surgery at 2 weeks, 1 month, 3 months, 5 months and 12 months. Mean follow-up period was 21months. Results : Eighty eight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found to have excellent or good clinical results. Radiographic follow-up revealed that 92% of the patients obtained complete or partial union by 5 months after surgery. One patient had graft extrusion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had the graft reinserted. Two patients had longitudinal graft fractures. There were no graft 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 : Fibular allograft filled with autogenous bone dust for cervical interbody fusion after discectomy is an ideal graft material by showing obvious benefits of good fusion rate and elimination of donor site complications. And also we were able to obtain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

  • PDF

비골골절정복술에 있어서 전사골신경과 골막 마취의 유용성 (Adequacy of Local Anesthesia on the Anterior Ethmoidal Nerve and the Dorsal Periosteum for the Reduction of the Fractured Nasal Bones)

  • 조재현;이혜경;나동균;탁관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445-448
    • /
    • 2006
  • Purpose: The nose is the most prominent skeletal feature of the face and is thus prone to frequent injury. Closed reduction of nasal bone fractures can be performed under general or local anesthesia. However, the benefits and the drawbacks in either form of anesthesia chosen are seldom perceived by the surgeon.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the outcome among the two groups subjected to surgery under different type of anesthesia and to introduce our method of local anesthesia and its adequacy. Methods: Two hundred and fifteen patients during a 2-year period were included in the study. 2% Lidocaine mixed with 1:100,000 epinephrine was injected on the anterior ethmoid nerve and the periosteum. Assessment factors included intra-operative adequacy of analgesia, post-operative analgesic requirement and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 of surgery. Results: 19 patients were manipul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196 patients were manipulated under local anesthesia on the anterior ethmoidal nerve and dorsal periosteum. No statistically signigicant variable in performance of surgery could be attributed to the mode of anesthesia employed(p > 0.05). Four patients experienced complications after reduction. One developed septal deviation and three nasal obstruction. But, no secondary operations were needed. Conclusion: Anterior ethmoidal nerve block and dorsal periosteal injection of 2% Xylocaine, combined with topical intranasal 4% lidocaine and epinephrine provided sufficient analgesia comparable to that of general anesthesia.

근전도로 3회 추적관찰한 총비골신경마비 축색단열증에 대한 한방치험 1례 (Clinical Study on a Case of Axonotmesis of Common Peroneal Mononeuropathy by using 3 times EMG Studies)

  • 조성규;정병식;윤형석;이주형;이상훈;서동민;이재동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5-112
    • /
    • 2001
  • In Oriental Medicine, mononeuropathy belongs to or . Common peroneal neuropathy(CPN) i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mononeuropathy in the lower extremity. It is usually caused by direct surgery injury, compression, leg crossing, trauma, traction etc, occasionally by nerve tumor. A 47-year-old healthy man was complained of the sudden development of left foot drop and sensory manifestation owing to suspected compression and habitual leg-crossing. Acupuncture along with bee-venom acupuncture, moxibustion was performed mainly at Stomach and Gallbladder Meridian specially ST36, ST37, ST40, GB34 and GB39. Nerve conduction study and electromyography was also performed three times. Symtoms was relieved fast, and full recovery took about 110 days. Acupuncture and bee-venom acupuncture are considered to be beneficial to CPN. More clinical trials and studies are needed.

비골신경마비에 대한 국내 한의치료 임상연구 동향 분석 (A Clinical Research Analysis of the Korean Medicine for Peroneal Nerve Palsy)

  • 홍수민;이은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1-74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view clinical studies about Korean medicine used in peroneal nerve palsy. Methods In 11 online databases (Earticl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KMbase,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MEDLINE/Pubmed, Ebscohost, Cochrane CENTRAL, EMBAS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we searched clinical studies about Korean medicine. Among the studies that we've searched, we excluded the studies that are not related to Korean medicine, case report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retrospective studies. As a result, 16 case studies and 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e included. Results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123. In these studies, acupuncture (100%), herbal medicine (58.8%), pharmacopuncture (58.8%), Korean physical therapy (58.8%), moxibustion (41.1%), cupping (41.1%) etc. were used. In acupuncture, GB34 and ST36 were most frequently used. Most of the herbal medicines used in these studies were different. Range of movement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outcome measure.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reviewed studies about Korean medicine used in peroneal nerve palsy. It wa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which intervention has improved the symptom. In the future, Further clinical studies will be needed to retain the evidence for the treatment of peroneal nerve palsy. And also mor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o prove the efficacy of Korean medicine will be needed.

하퇴 슬와부 및 전외측 구획을 침범한 지방육종 환자의 절제 및 재건술 - 증례보고 -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Liposarcoma Involving Popliteal Fossa and Antero-lateral Compartment of Lower Leg - A Case Report -)

  • 원호현;홍윤석;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4
    • /
    • 2009
  • 슬와부위의 연부조직육종은 사지의 연부조직 육종 중 5% 이하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주요 혈관과 신경이 지나가는 슬와, 주와, 서혜부와 같은 구획외 공간에서는 사지 구제술 시 적절한 절제연을 얻으면서 절제를 시행하기가 쉽지 않으며 불가피하게 변연부 절제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슬와부 종양 절제시는 후방 도달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크기가 작고 주변 조직에 유착이 없는 종양일 경우 후방 도달법으로 신경다발막과 혈관외막을 박리하여 종양을 쉽게 절제할 수 있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크고 주변조직으로 침범이 있는 경우에는 종양의 절제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절단술의 상대적 적응증이며 종양이 전방 및 후방 구획을 동시에 침범하였을 경우에는 절단술이 불가피하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많았다. 저자들은 전방 및 후방 구획을 동시에 침범한 연부조직종양을 골 외측으로 종괴를 형성한 골종양으로 간주하여 근위 경골과 비골을 종양과 함께 절제함으로써 적절한 절제연을 얻으면서 사지구제술이 가능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개에서 원형외고정장치를 이용한 관절주위 골절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Short Juxta-articular Fractures Using a Circular External Skeletal Fixator System in Dogs)

  • 정혜련;김주호;차재관;설재원;김민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3-526
    • /
    • 2014
  • 세마리의 개가 골절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증례 1(1.8 kg의 5개월령 암컷 몰티즈)과 증례 2(3.0 kg의 6개월령 암컷 푸들)는 좌측 후지의 체중부중을 하지 않는 파행을, 증례 3(3.3 kg의 나이를 알 수 없는 암컷 잡종견)은 좌측 전지의 체중부중을 하지 않는 파행을 보였다. 정형외과 검사시 손상받은 부위의 통증, 염발음, 촉진상의 불안정성과 광범위한 연부조직 부종을 보였으며 신경학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 검사상 증례 1와 2에서 좌측 근위 경골 골간단과 비골의 골절이, 증례 3에서는 좌측 근위 요골 골간단과 척골의 골절이 관찰되었다. 모든 증례는 골절편이 짧은 관절주위 폐쇄형 골절이었다. 술 중에는 투시장치를 이용해 2개 또는 3개의 원형고정장치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였다. 술 후 방사선 사진에서 골절부위의 적절한 배열과 위치를 확인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5주에서 14주 사이에서 골유합이 확인되었고 임플란트의 고정 실패나 핀 주변 감염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상 결과는 모든 증례에서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형외고정장치는 뼈판이나 외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짧은 골절편을 가진 관절주의의 골절정복에 성공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에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결과 및 기능적 평가 (Oncologic Results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Limb Salvage Surgery in Primary Bone Tumors Around the Shoulder Girdle)

  • 이상훈;유재호;오주한;서성욱;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6-105
    • /
    • 2002
  • 목적: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에서 2001년 사이에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으로 본원에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관찰이 가능한 2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5세, 평균 추시 기간은 7년 1개월(1년 2개월~19년 9개월)이었고, 골육종 7예, 연골육종 14예, 방골성 골육종 1예, 혈관외피종 1예, 거대세포종 6예였다. 사지 구제술의 방법으로는 시멘트 충전술을 7예에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을 10예에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7예에서 이용하였으며, 5예에서는 절제만 시행하거나, 골이식, 관절 유합술 등을 실시하였다. 술 후 기능 평가는 근골격계 종양 학회(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의 상지 근골격계 종양 환자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추시 도중 6예에서 국소 재발 하였고, 2예에서 폐 전이로 재발 하였고, 2예에서는 국소 재발과 폐전이가 모두 있었으며 3명이 사망하였다. 구제된 상지의 생존율은 최종 추시상 88.6%였으며, 재발이나 전이가 있을 경우 열등한 사지의 생존율을 보였다(p=0.012). 근골격계 종양 학회 기능 평가상 구제된 상지의 기능 점수는 평균 80%(24점, 18~30점)였다. 치료방법에 따른 기능 점수는 시멘트 충전술 86%,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 71%, 종양 대치물 삽입술 83%점으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p=0.034). 합병증으로 요골 신경 마비와 액와 신경 마비가 각각 1예 있었으며, 생 비골 이식편의 이탈로 재수술을 받은 경우가 1예, 창상 감염이 1예 있었다. 결론: 견관절 주위 악성 골 종양과 거대 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사지 구제술은 종양학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하지 혈행장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Arterial Occlusive Disease in the Lower Extremity)

  • 서정욱;조은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89-896
    • /
    • 1996
  • 하지 동맥 혈관의 폐쇄로 인한 급,만성적인 하지 허혈은 혈관우회술이나 혈전제거술등의 적극적인 수술을 시행함으로 점차 좋은 경과를 얻고있다. 동아대학교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하지 허혈의 임상적 양상과 수술 결과를 살펴보고자 1990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5년 5개월동안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을 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령 및 성별 분포는 25세에서 87세이고 남자가 92례, 여자가 9례로써 약 101로 남자에서 많았다. 이들 환자의 동맥폐쇄질환에 관계있는 병인에는 동맥경화성 협착이 54례, 혈전색전증이 21례. 버거씨병이 20례, 외상에 의한 동맥 폐쇄가 3례, 가성동맥류가 3례였다. 동맥경화성 협착에서 주 폐쇄부위는 대퇴동맥 폐쇄가 30례, 장골동맥 폐쇄 23례, 슬와 동맥 폐쇄 10례, 대동맥 분지부 6례. 경골동맥 폐쇄였고, 버거씨 병에서는 후경골동맥 폐쇄 14례, 전 경골동맥 폐쇄 8례. 슬와동맥 폐쇄 5례. 대퇴동맥과 비골동맥이 각각 2례 였다. 혈관 폐쇄로 인한 하지 혈행장애의 수술은 동맥경화성 협착에서 혈관우회술이 61례. 혈전 제거술 24 례, 교감 신경절제술 20례였다. 동맥경화성 협착 환자에서 혈관우회술을 시행한 苛\ulcorner61례로써 이중 대퇴동맥과 슬와 동맥간의 우회술이 21례, 대퇴동맥과 반대편 대퇴동맥간의 우회술이 15례. 맥와 동맥과 양측 대퇴동맥간의 우회술이 7례, 하복부 대동맥과 양측 대퇴동맥간에 Y graft를 이용한 우회술이 3례였 4술후 이식혈관에 대한 개존율은 전체적으로 술 후 1년에 83.6%. 2년에 77.1%. 3년에 75.5%의 결과를 보였고 하지 보존율은 86.8 %였다. 하지혈행장애의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사망은 6명이었는데 사망 원인은 급성 신부전증, 다장긴 기능 부전, 그리고 패혈중이었다.

  • PDF

대동맥박리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e Aortic Dissection)

  • 정종필;송현;조유원;김창희;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360-1365
    • /
    • 1996
  • 1992년 9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수술을 시행한 대동맥박리증 환자 38례를 대상으로 수술의 조기성적을 검토하였다. 수술시 연령은 23세에서 78세사이로 평균 52.1 $\pm$2.2세였고, 남자가 21명 여자가 17명이 었다. 병리학적 진단을 보면 급성 대동맥박리증이 23례, 만성 대동맥박리증이 15례였다. 급성 대동맥박리증에서 DeBakey type I이 17례, type II가 5례, type III가 1례 였으며, 만성 대동맥 박리증에서 DeBakey type I이 6례, type II가 6례, type III가 3례였으며,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가 23례였으며, 8례의 환자에서 Marfan증후군이 동반되어 있었다 수술은 34례의 DeBakey type I, II의 환자군에서는 정중흉골절개와 서혜부절개하에서 대퇴동맥과 대퇴정맥이나 우심방이 개로 상관하여 초저체온법(식도온도 12$^{\circ}C$)및 완 전순환정 지(평균 25$\pm$1.7분)하에 대동맥대 치술을 시행하였다. 4례의 DeBakey type III의 환자군에서는 좌측 홍복부절개하에서 정상체온을 유지하면서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근위부대동맥을 단순직접차단 하여 병변부위를 제거하고 근위부 및 원위부 문합을 시행하였다. 평균 대동맥 차단시간은 30$\pm$1.5분이었다. 수술사망이 1례(2.6 )에서 발생하였는데 위궤양출혈과 관련된 질식으로 사망하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1례의 심근경색의 소견과 일시적인 비골신경마비가, 1례에서 일시적인 하지근력약화가, 2주간 의 인공호흡기의 사용이 1례에서 있었다. 수술후 평균 추적기간은 25개월이었는데 만기사망은 없었고, 2명의 환자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1례는 Marfan증후군이 동반된 DeBakey type III로 수술후 7개월 후에 역 행성으로 확장된 박리로 Bentall술식을, 1례의 DeBakey type I의 환자에서 상행대동맥대치수술 후에 1달 뒤에 나타난 대동맥판폐쇄부전의 소견으로 재수술을 Bentall술식으로 시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