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블록코드

Search Result 36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Motion Vector Prediction and Neural Network (움직임 예측과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 최정현;이경환;이법기;정원식;김경규;김덕규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9A
    • /
    • pp.1411-1418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motion prediction and neural network. Considering that the motion vectors have high spatial correlation, the motion vector of current block is predicted by those of neighboring blocks. The codebook of motion vector is designed by Kohonen self-organizing feature map(KSFM) learning algorithm which has a fast learning speed and 2-D adaptive chararteristics. Since the similar codevectors are closely located in the 2-D codebook the motion is progressively estimated from the predicted codevector in the codebook.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a good performance with reduced computational complexity.

  • PDF

Outage Performance Study of Selective MIMO Transmission in Wireless Relaying Systems (무선 중계 시스템에서 선택적 MIMO 전송에 대한 아웃티지 성능 연구)

  • Lee, I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0
    • /
    • pp.2259-2264
    • /
    • 2013
  • In this paper, a selec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MIMO) transmission scheme is proposed in dual-hop MIMO relaying systems, in which 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OSTBC) transmission and transmit antenna selection(TxAS) transmission are selectively used. Assuming independent Rayleigh fading channels, the outage probability is analyzed for a decode-and-forward(DF) relay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MIMO transmission scheme. Also, through numerical investigation, the outage performance for the DF relay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MIMO transmission scheme is compared with that for the conventional DF relaying system using OSTBC or TxAS. Moreover, from the performance comparis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reduce the system overhead without outage performance degradation.

Design of Drone-based Experiential SW Education Model for Improving Coding Education Achievement (코딩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드론 기반 체감형 SW 교육 모델 설계)

  • Lee, Hyunseo;Kim, Hyunji;Lee, Juhyeon;Baek, YoonJi;Kim, Joongwan;Ha, Ok-K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537-538
    • /
    • 2021
  • 코딩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가 주도적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낯선 교육생을 위해 교육 커리큘럼에 블록 코딩을 도입하고 있으나 낮은 흥미도로 인해 여전히 교육 성취도가 낮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학습을 보조하는 드론 기반의 체감형 교육 프로그램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하는 교육 모델은 사용자가 코딩한 블록 코드를 파이썬 코드로 변환하여 보여주고, 블록 코드로 첨부된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코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화학습을 위해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갑 컨트롤러를 통해 드론과 연관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하여 흥미 유발과 더불어 학습 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Blockchain E-voting System and Governance: The Case of Korean National Pension Service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투표시스템과 지배구조: 국민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Hae Ji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4 no.4
    • /
    • pp.1-16
    • /
    • 2019
  • Blockchain technology prevents tampering of central authorities that manage voting process, enhancing trust in the vote results. This technology enables citizens to participate more directly in the areas where delegation was inevitable due to the difficulties in polling fair and trustworthy public opinions. There are many projects around the world proposing to implement voting system for public decision making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e blockchain voting system is expected to work as a transparent and fair channel for polling public opinions, which will transform the public decision-making process and governance. Korean National Pension Service (NPS) recently introduced stewardship code to better represent the interest of beneficiaries. However, because of the mistrust in governance of NPS, introduction of stewardship code is facing criticism for potential misuse of their voting rights against the interest of beneficiaries and for government's interference with corporate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s a voting system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polling the opinions of National Pension Fund's beneficiaries to support public decision-making, and discusses soci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system.

A Prefetch Architecture with Efficient Branch Prediction for a 64-bit 4-way Superscalar Microprocessor (64비트 4-way 수퍼스칼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효율적인 분기 예측을 수행하는 프리페치 구조)

  • 문상국;문병인;이용환;이용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11B
    • /
    • pp.1939-194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명령어의 효율적인 페치를 위해 분기 타겟 주소 전체를 사용하지 않고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내의 적은 비트 수로 인덱싱 하여 한 클럭 사이클 안에 최대 4개의 명령어를 다음 파이프라인으로 보내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프리페치 유닛은 크게 나누어 3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분기에 관련하여 미리 부분적으로 명령어를 디코드 하는 프리디코드(predecode) 블록, 타겟 주소(NTA : Next Target Address) 테이블 영역을 추가시킨 명령어 캐쉬(instruction cache) 블록, 전체 유닛을 제어하고 가상 주소를 관리하는 프리페치(prefetch) 블록으로 나누어진다. 사용된 명령어들은 SPARC(Scalable Processor ARChitecture) V9에 기준 하였고 구현은 Verilog-HDL(Hardwave Description Language)을 사용하여 기능 수준으로 기술되고 검증되었다. 구현된 프리페치 유닛은 명령어 흐름에 분기가 존재하더라도 단일 사이클 안에 4개까지의 명령어들을 정확한 예측 하에 다음 파이프라인으로 보내줄 수 있다. 또한 NTA를 사용한 방법은 같은 수의 레지스터 비트를 사용하였을 때 BTB(Branch Target Buffer)를 사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2배정도 많은 개수의 분기 명령 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QUIC-based Data Transmission for Block Re-encoding (블록 재인코딩을 위한 QUIC 기반 데이터 전송 성능 평가)

  • Youn-Ji Noh;Myungcheo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248-249
    • /
    • 2023
  • 블록체인의 데이터 중복 저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거 코드 기반의 분산 저장 방법이 제안되었고, 이에 따라 청크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파가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QUIC 프로토콜을 도입하여 청크 데이터의 신속한 전파 기능을 구현하였다. 더불어 Reed-Solomon 코드 기반 시스템에서 QUIC 프로토콜의 효용성을 검증한 결과, QUIC 프로토콜은 분산 저장 시스템에서 청크 데이터 전파와 재인코딩 성능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QUIC 프로토콜이 블록체인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Multi-code Bipolar Transorthogonal Code Keying with Constant Amplitude preceding (정 진폭 부호화를 사용한 다중코드 양극 Transorthgonal 변조 방식)

  • Kim, Sung-Pil;Kim, Myoung-J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 /
    • v.3 no.2
    • /
    • pp.61-71
    • /
    • 2004
  • Transorthogonal 코드를 블록 단위로 확장해서 얻은 코드 집합을 적절하게 부집합으로 나누고 부호화기의 코드집합으로 할당한다. 이러한 부초화기를 병렬로 구성하고 정보 비트에 의해 선택된 부호화기의 각 출력 코드들을 합산하여 전송하는 다중코드 transorthogonal 변조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코드 transorthogonal 변조 시스템의 부호화기로부터의 각 출력 코드를 또 다른 정보 비트로 이진 위상 변조한 후 합산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중코드 transorthogonal 변조 시스템에서 적용된 정 진폭 부호화 알고리즘과정 전폭 부호화에 사용된 잉여비트를 이용한 수신 에러 정정 알고리즘을 제안된 시스템에 수정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다중코드 transorthogonal 변조 방식에 비해 대역폭 효율이 개선됨을 보인다.

  • PDF

Design of Bluetooth baseband System (블루투스 기저대역 시스템 설계)

  • 백은창;조현묵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5 no.2
    • /
    • pp.206-214
    • /
    • 2002
  • In this paper, it is designed and verified the baseband system that performs various protocol functions of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ed circuits, various baseband functions are tested by using the ModelSim simulator. The developed circuits operate at 4MHz main clock. Test suite includes hap selection function, generation of the sync word, error correction(1/3 rate FEC, 2/3 rate FEC), HEC generation/checking, CRC generation/checking, data whitening/dewhitening and packet trans/reception procedure. etc.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developed baseband system conform to the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

  • PDF

AiMind: SW·AI Convergence Education Platform for Fostering Digital Talent (AiMind: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SW·AI 융합 교육 플랫폼)

  • Se-Hoon Lee;Ki-Tea Kim;Jay Yun;Do-Hyung Kang;Young-H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87-38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AI) 체험부터 초중등, 대학 및 평생교육에서 필요한 광범위한 응용과 활용을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디지털북 형태로 지원하며, 블록과 텍스트 코딩의 장점을 취합해 입문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SW·AI 융합 교육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플랫폼은 웹어셈블리 기반의 파이오다이드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파이썬 코딩을 가능하게 하고 복잡한 설치과정 없이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 다양한 LMS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API를 제공하며, Drag & Fill 블록으로 입문자가 코딩에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인 많은 양의 함수와 파라미터 사용법의 어려움을 해소하였다. 플랫폼은 블록으로 코딩하여 문법의 어려움, 오탈자, 오류 등을 줄이는 동시에 블록에서 생성되는 파이썬 텍스트 코드로 입문자가 텍스트 코드에 익숙해질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 PDF

Wavelet-Based Variable Block Size Fractal Image Coding (웨이브렛 기반 가변 블록 크기 플랙탈 영상 부호화)

  • 문영숙;전병민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4 no.2
    • /
    • pp.127-133
    • /
    • 1999
  • The conventional fractal image compression based on discrete wavelet transform uses the fixed block size in fractal coding and reduces PSNR at low bit rate. This paper proposes a fractal image coding based on discrete wavelet transform which improves PSNR by using variable block size in fractal coding. In the proposed method. the absolute values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are computed. and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of different highpass subbands corresponding to the same spatial block are assembled. and the fractal code for the range block of each range block level is assigned. and then a decision tree C. the set of choices among fractal coding. "0" encoding. and scalar quantization is generated and a set of scalar quantizers q is chosen. And then the wavelet coefficients. fractal codes. and the choice items in the decision tree are entropy coded by using an adaptive arithmetic coder. This proposed method improved PSNR at low bit rate and could achieve a blockless reconstructed image. As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 obtained better PSNR and higher compression ratio than the conventional fractal coding method and wavelet transform coding.rm cod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