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블록체인활용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5초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블록체인의 엉클블록 분석 연구 (A Study on Uncle Block Analysis of Blockchai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김한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6
    • /
    • 2020
  • 블록체인은 시스템에 참여하는 사용자들 사이에 믿음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선행 연구들은 블록체인 기술에 관련된 암호화폐와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하였다. 반면에 블록체인의 안정적인 구동에 대한 연구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블록체인의 엉클블록은 블록체인 시스템의 안정적 구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블록체인 정보와 거시 경제 요인들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의 엉클블록을 머신러닝 기법으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인공신경망, 서포트벡터머신 분석 결과, 블록체인 정보와 거시 경제 요인들은 블록체인의 엉클블록 예측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블록체인 정보만을 활용한 인공신경망은 엉클블록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가장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블록체인 연구를 주도하고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Use of Social Media Based on Blockchain)

  • 김지윤;이태욱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1-164
    • /
    • 2018
  • 블록체인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에 블록체인을 접목하려는 시도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대한 시도로서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의 특징과 활용 사례를 살펴본 결과, 특징으로는 소셜 미디어 상의 자정 작용과 자체 암호화폐 시스템이 있었으며, 그러한 특징을 활용한 긍정적 사례들도 존재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융합교육 프로그램과 크라우드 펀딩을 제안하였다.

  • PDF

블록체인 기반 오프체인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Off-chain Video Streaming System based on Blockchain)

  • 정민혁;김상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35-536
    • /
    • 2020
  • 블록체인의 특성 중 하나인 합의 과정으로 인해 블록체인 상 거래속도는 일반적인 온라인 거래보다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분산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은 이러한 블록체인의 느린 거래속도와 확장성을 오프체인 트랜잭션으로 해결한다. 오프체인 트랜잭션이란 블록체인 외부에서 거래를 실행하여 이루어진 거래들의 내역을 주기적으로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오프체인 트랜잭션을 활용하면 기존의 블록체인 거래방식보다 더 다양한 구조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프체인 트랜잭션의 장점을 활용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거래를 위한 오프체인 채널을 연 후 채널 상에서 실시간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비디오를 스트리밍 받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기존 블록체인 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 PDF

Blockchain Technology and Application

  • Lee, Sae Bom;Park, Arum;Song, Jae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89-97
    • /
    • 2021
  •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상에서 기록된 데이터들이 하나의 블록 단위로 수집되어 저장되며 앞뒤로 연결되어 저장되도록 고안되었고, 그 형태가 블록들이 연결되어있는 모습과 비슷하므로 블록체인이라 불리게 되었다. 많은 기업이 국내외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징을 소개하고 블록체인을 활용한 응용 서비스들을 다룬다. 블록체인의 아키텍처와 핵심기술 5가지를 소개하고 결제서비스와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 블록체인 부동산 플랫폼, 신원확인, 암호화폐, 다이아몬드 유통경로 추적, 블로그 정보 기록에서 활용되고 있는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블록체인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블록체인 연구 및 서비스 개발에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불변성 암호화 모듈 구현 (Implementing an Immutable Encryption Module using Blockchain)

  • 윤경섭;김민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89-192
    • /
    • 2021
  • 이 시스템은 블록체인의 분산 처리 방식을 활용하여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관리자의 보안 인프라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점을 보완하고, 네트워크 독립성과 데이터의 불변성, 투명성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의 단점을 보완하는 블록체인의 분산 데이터 저장 방식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의 해시 기법과 작업 증명,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을 구현한 암호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블록체인 미디어 적용 가능성과 블록체인 아키텍처 분석

  • 금창섭
    • 방송과미디어
    • /
    • 제23권3호
    • /
    • pp.85-91
    • /
    • 2018
  • 최근 미디어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초연결 사회에서 믿음을 만들어주는 신뢰 인프라인 블록체인 기술의 미디어 산업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블록체인이 신뢰 기술로 각광 받게 된 이유를 고찰하고, 미디어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 사례를 살펴본다. 실제로 블록체인을 미디어 산업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성숙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는 블록체인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의 부재로 인한 미디어와 블록체인의 만남에 대해 지나친 낙관 혹은 비관이 난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돌파구로 대표적인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더리움과 하이퍼레저 패브릭 아키텍처를 재구축하고 분석했다. 아키텍처 분석결과 미디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피처를 충족하기에는 현재의 블록체인 플랫폼이 아직 부족함을 발견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이 마치 인터넷 초창기 시절과 유사하다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직거래 비즈니스 모델 연구와 함께 이를 실현해줄 블록체인 미디어 서비스플랫폼 연구개발이 수반된다면 미래의 미디어 산업은 블록체인에 의해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측된다.

블록체인 시스템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동향 분석 (Analysis of Privacy Protection Technology Trends in Blockchain Systems)

  • 이태혁;강명조;김미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2-84
    • /
    • 2022
  • 최초 블록체인 시스템 비트코인이 나온 이후 현재 이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나오고 있다. 블록체인은 탈중앙성, 무결성, 보안성, 투명성 등 여러 가지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블록체인의 투명성은 블록체인의 모든 데이터가 모두에게 공개된다는 특징으로 많은 관심을 가졌으나 이러한 특징은 블록체인이 실생활 도입의 활용도를 낮추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들 즉, 링서명, 영지식 증명, 프라이빗 샌드 등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토콜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미디어의 현재와 미래

  • 유경한
    • 방송과미디어
    • /
    • 제23권3호
    • /
    • pp.56-67
    • /
    • 2018
  • 미디어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상업성과 공공성이라는 두 가지 사회적 가치를 모두 충족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적용 과정에서 여러가지 크고 작은 이슈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서비스의 주요 사례를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디어와 블록체인의 결합에서 제기되는 이슈들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블록체인 미디어 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치에 대해 전망해보았다.

CMT를 활용한 프라이빗 블록체인 고속화로 인한 단일 장애 지점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lving Single Point of Failure Problem about Private Blockchain with high TPS using CMT)

  • 조욱;김금보;김호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52-255
    • /
    • 2022
  • 기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및 투자하려는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낮은 확장성으로 인해 기존 블록체인 기술만으로는 시장에서 활용되기 어렵다. 블록체인의 낮은 확장성을 해결하기 위해 검증된 참여자만 참여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고속화를 위한 관련 연구가 같이 진행되고 있다. 삼성의 넥스레저는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다중 버전 동시성 제어(MVCC) 충돌로 인한 낮은 TP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ccelerator를 추가하여 고속화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모든 트랜잭션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방식인 Accelerator는 중앙화로 인해 악의적인 공격 타깃이 되어 단일 장애 지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격으로 인해 위조되거나 분실된 데이터는 검증 없이 블록체인 블록에 반영되고, 한번 반영된 데이터는 수정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프라이빗 블록체인 고속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일 장애 지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MT와 사기증명 기반의 고속화 하이퍼레저 패브릭 시스템을 제안했으며, 제안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성능 테스트를 통해 CMT 하이퍼레저 패브릭 시스템 성능이 99.58% 유지됨과 사기증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앙상블 머신러닝 기법과 블록체인 정보를 활용한 이더리움 엉클 블록 예측 분석 (Predictive Analysis of Ethereum Uncle Block using Ensemble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Blockchain Information)

  • 김한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29-136
    • /
    • 2020
  • 블록체인의 장점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블록체인에는 몇 가지 단점들이 존재한다. 그 중 엉클블록 문제는 블록체인의 가치와 활용을 크게 저해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다. 엉클블록 문제로 인해 블록체인의 가치가 저하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연구들은 엉클블록에 대한 연구에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록체인의 엉클 블록 문제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엉클블록의 발생을 예측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엉클 블록 발생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 새로운 변수와 앙상블 분석 기법 도입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연구 방법으로 엉클블록 문제가 실제로 발생하는 이더리움의 엉클블록을 대상으로 보팅, 배깅, 스태킹 앙상블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데이터로는 이더리움과 비트코인 블록체인 정보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더리움 블록체인 정보만을 활용하여 보팅, 스태킹 앙상블 기법을 적용할 경우 가장 높은 예측 결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엉클블록의 발생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블록체인의 엉클블록 문제에 대비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