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블록구조물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utomatic Block-Type Assembly Structure Construction and Editing System (블록형 구조물 자동 생성 및 구축 시스템 개발)

  • Kim, Jae Woo;Kang, Kyung-Kyu;Lee, Man Hee;Lee, Jongwook;Lee, Ji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19-222
    • /
    • 2016
  • 블록형 구조물의 구축은 완구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제품 디자인을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및 창의학습을 위한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블록형 구조물을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설계하고 구축하기 위하여 블록형 구조물 자동 생성 기능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자유롭게 블록형 구조물을 생성 및 편집할 수 있고, 실제 구조물의 조립을 위한 매뉴얼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Stability of River Bed Protection Works (하상보호공의 안정성)

  • Cho, Jae-Woong;Park, Sang-Duck;Shin, Seung-Suk;Hing,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19-523
    • /
    • 2008
  • 하천의 보와 같은 횡방향 구조물은 홍수시 구조물에 의한 세굴이 발생하고, 그로인해 구조물의 불안정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apron 하류에 하상보호공을 설치하였을 때 하상보호공의 안정성과 하류의 세굴양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Apron 상류로부터 유사의 유입이 없도록 apron 하류에 체결된 블록을 설치한 개수로에서 블록의 설치길이와 채움재를 변화시켜 수리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블록의 설치길이와 채움재에 따른 안정성과 하류세굴양상을 평가하였다. Apron하류의 블록 내부에서 세굴 깊이는 블록의 설치길이, 채움재의 직경, 유량, Reynolds 수, Froude 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세굴에 대한 블록의 안정성은 블록의 설치길이와 채움재의 직경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블록의 설치 길이와 채움재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블록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험결과 블록의 설치길이가 13.35m이상일 때 블록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onlinear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Slender Rigid Blocks Mounted on Seismic Isolation Systems (격리받침 위에 놓이 세장한 강체 블록의 비선형 동적거동 해석)

  • 김재관;채윤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4
    • /
    • pp.93-104
    • /
    • 2000
  • 적충되어 있는 다중 블록 시스템은 역사적 건물이나 문화재등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시스템은 지진에 매우 취약하고, 특히 세장한 구조물인 경우에는 낮은 수준의 지반가속도에 대해서도 전도가 일어날 수 있다. 지진으로부터 이러한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로써 지진격기받침의 사용을 들 수 있으나, 아직 격리받침이 설치되어 있는 다중블록의 거동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각각 P-F 시스템, FPS, LRB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을때의 세장한 강체 블록의 동적거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P-F 시스템과 FPS에서의 마찰모델은 Coulomb의 마찰법칙을 이용하였도, 상부구조물은 붙음(stick)모드와 록킹(rocking) 모드만이 존재하도록 가정하였다. 충격은 개별요소법(distinct element method, DEM)을 이용해 기술하였고, 조화입력운동에 대한 응답을 조사하였다.

  • PDF

Analysis of Response Change of Structure due to Tunnel Excavation Conditions in Sand Ground (모래지반에서 터널 굴착조건들을 반영한 상부 블록구조물의 거동변화 분석)

  • Son, Moora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541-1549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 of structures to tunnelling-induced ground movements in sand ground, varying tunnel excavation condition (tunnel depth and diameter), tunnel construction condition (ground loss), ground condition (loose sand and dense sand). Four-story block-bearing structures have been used because the structueres can easily be characterized of the extent of dmages with crack size and distribution. Numerical parametric studies have been used to investigae of the response of structures to varying tunnelling conditions.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DEM) to have real cracks when the shear and tensile stress exceed the maximum shear and tensile strength. The results of structure responses from various parametric studies have been integrated to consider tunnel excavation condition, tunnel construction condition, and ground condition and provided as a relationship chart. Using the chart, the response of structures to tunnelling can easily be evaluated in practice in sand ground.

Analysis of Vibration and Stress for Bed Structure of Engine Dynamo Tester (엔진 다이나모 시험기 베드 구조물의 진동 및 구조응력해석)

  • 이영신;강이석;김동진;김영대;김의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3
    • /
    • pp.173-18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엔진 및 트랜스미션 성능시험을 위한 다이나모 베드구조물을 분석하고 설계하였다. 해석상에 고려된 베드구조물은 Ⅰ형강 구조물, 보강된 박스구조물 그리고 블록구조물로 제작되었으며, 시험을 위한 엔진 및 트랜스미션은 베드상판에 장착된다. 엔진구동시 회전에 의한 진동이 발생된다. 공진을 피하기 위해 베드구조는 충분한 구조적 일체성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베드 구조물의 응력, 변위 그리고 자유진동해석이 ANSYS Code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이 수행되었다. Ⅰ형강 구조형 베드 구조물에서 최대 응력은 23.2MPa에서 90.3MPa까지 나타났으며, 최대 처짐은 0.25㎜에서 0.92㎜까지 나타났다. 박스 구조형 베드 구조물에서 최대 응력은 0.028MPa에서 0.259MPa까지 나타났으며, 최대 처짐은 0.031㎜에서 0.413㎜까지 나타났다. 그리고 박스구조형 베드 구조물에서 최대 처짐은 0.92MPa에서 2.15MPa까지 나타났으며, 최대 처짐은 1.1㎜에서 2.7㎜까지 나타났다. 모든 구조물이 응력과 처짐 값에서 매우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발생됨을 볼 수 있었다. 구조진동해석에서 Ⅰ형강 베드구조물의 고유진동수는 112.03㎐에서 141.66㎐까지의 범위에 발생되었다. 박스 구조형 베드구조물에서의 고유진동수는 396.93㎐에서 755.11㎐까지의 범위에서 발생되었다. 마지막으로 블록구조형 베드구조물에서는 266.51㎐에서 244.67㎐까지의 고유진동수를 찾을 수 있었다. 모든 구조물에서 베드구조물의 무게증가에 따른 기본진동수는 증가된다. 베드시스템의 지지기초시스템은 2자유도계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질량변화 및 스프링상수 변화에 따른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질량비가 증가될수록 고유진동수는 크게 감소되며, 스프링상수가 증가될수록 고유진동수는 감소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ydraulic Performance of Wave Dissipating Quay Walls (소파안벽의 수리학적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인철;이태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2 no.4
    • /
    • pp.195-202
    • /
    • 2000
  • Recently, wave dissipating structures with porosity are widely used to improve habor tranquility and to reduce the wave overtopping rate. In this study, hydraulic model tests were performed to examine hydraulic efficiency of slit caissons, igloo blocks, and hollow blocks. The model tests showed that slit caissons were the most effective in dissipating wave energy under moderate wave conditions. Slit caissons and igloo block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ing wave overtopping rate. Hallow blocks are less effective in reducing wave overtopping rate than slit caissons and igloo blocks lU1der higher wave energy conditions.

  • PDF

Response Analysis of Block-Bearing Structure due to Tunnel Excavation in Clay Ground (점토지반에서 터널굴착에 따른 상부 블록구조물의 거동분석)

  • Son, Moora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175-18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 of structures to tunnelling-induced ground movements in clay ground, varying tunnel excavation condition (tunnel depth and diameter), tunnel construction condition (ground loss), and tunnel ground condition (soft clay and stiff clay). Four-story block-bearing structures have been used because the structures can easily be characterized of the extent of damages with crack size and distribution. Numerical parametric studie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of the response of structures to varying tunnelling conditions.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DEM) to have real cracks when the shear and tensile stress exceed the maximum shear and tensile strength. The results of structure responses from various parametric studies have been integrated to consider tunnel excavation condition, tunnel construction condition, and tunnel ground condition and provide a relationship chart among them. Using the chart, the response of structures to tunnelling can easily be evaluated in practice in clay ground.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Location of Baffle Blocks in the Sluice Gate (하단방류형 가동보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 선정)

  • Cho, Sung Yoon;Jang, Dong Woo;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1-361
    • /
    • 2015
  • 감세블록(baffle block)은 고속의 흐름에서 도수를 유도함으로써 과도한 에너지를 감세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며 구조물의 크기, 형태, 위치, 조합 등의 변수로 도수가 형성되는 조건을 조절하여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단방류형 가동보에서 고속으로 방류되는 흐름의 Froude 수가 2.5에서 4.5 사이일 경우 발생하는 불규칙한 주기의 진동이 중첩 보강되면 감세하기 어려운 파동을 형성하여 수 Km 동안 지속될 수 있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Peterka, 1984). 이 연구에서는 총 연장 11m, 폭 0.5m의 구형수로에 하단방류형 가동보와 감세블럭을 설치하여 감세블록의 위치가 에너지의 감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를 제안하였다. 감세블럭은 높이 2cm, 폭 5cm의 구형단면으로 제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치형 배열하였으며, 가동보로 부터 5.5~8.5cm 지점에서 1cm간격으로 총 5가지 조건으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문 하단에서의 Froude 수가 3.8~3.9를 만족하는 강한 도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 하였고, 유속과 수심은 3차원 유속계와 피에조미터를 이용하여 가동보로부터 0.2m간격으로 하류단 2m 지점까지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가동보로부터 도수가 발생하여 수위가 안정되는 지점까지의 도수길이는 감세블록을 설치한 경우, 설치하기 전의 1.1m와 비교하여 최소 27.3%에서 최대 81.8%만큼 짧아졌으며 감세블록 보에 가깝게 설치될수록 도수길이는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동보 하류부에서 도수가 발생한 이후 수심이 안정화되는 1m 지점에서, 도수 전후의 비에너지비로 정의되는 도수효율은 감세블록 미설치 시 74.9%이고, 감세블록이 설치된 조건에서는 54.9~60.6%로 감세블록에 의한 에너지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감세 효과가 가장 큰 감세블록 위치는 가동보로부터 6.5cm 떨어진 곳으로 하류단 수심의 약 80%에 해당하는 지점이 감세블록의 최적 위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bility on Preventive Structures of Shore Erosion with Natural Affinity (자연 친화형 해안 침식방지 구조물의 안정성)

  • Lee, Jong-Seok;Han, Jae-M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9
    • /
    • pp.212-219
    • /
    • 2007
  • This study were developed with the preventive structures of shore erosion using the seawater circulation system in wave dissipation block of the natural affinity. The shore protection structures were established to excellent by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on reflectivity and stability and wave overtopping in comparison with existing other structures. These structures, in order to analyzes also as the shore protection and the erosion preventive, were examined with the field applications of performance and the capacity of prevention, respectively, from field construction of the pending positions. As the result, the structures were ensured with the applications and the efficiency as the shore protection structure of erosion preventive by certifying accumulated sediment deposits in the field measurement and monitoring.

Response Analysis of Nearby Structures to Excavation-Induced Advancing Ground Movements (지반굴착 유발 진행성 지반변위에 의한 인접구조물의 거동분석)

  • Son, Moora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4C
    • /
    • pp.153-162
    • /
    • 2009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cavation-induced ground movements on nearby structures, considering soil-structure interactions of different soi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response of four and two-story block structures, which are subjected to excavation-induced advancing ground movements, are investigated in different soil conditions using numerical analysis. The structures for numerical analysis are modelled to have cracks when the shear and tensile stress exceed the maximum shear and tensile strength. The response of four and two-story block structures are investigated with advancing ground movement phases and compared with the response of structures which are subjected to excavation-induced total ground movement. The response of structures is compared among others in terms of the magnitude and shape of deformations and cracks in structures for different structure and ground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provide a background for better understandings for controlling and minimizing building damage on nearby structures due to excavation-induced ground m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