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블랭킹 판재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자동차 도어 래치 성형용 파인 블랭킹 금형의 다이 챔퍼 형상에 따른 다이 롤 크기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die roll size by the shape of die chamfer in fine blanking die for automobile door latch)

  • 김종덕;김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65-570
    • /
    • 2011
  • 본 연구는 파인 블랭킹(fine blanking) 프레스로부터 기능면으로 사용되는 100% 매끄러운 전단면을 얻는 파인 블랭킹 공정에서 다이 롤(die roll)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통해 다이 챔퍼(die chamfer) 형상에 따라 성형되는 제품의 다이 롤 크기 변화를 검토한 것이다. 다이 챔퍼가 다른 여러 가지 다이 편(die insert)을 제작하여 파인 블랭킹 실험을 실시한 후 다이 챔퍼 형상에 따른 다이 롤 크기를 측정 분석하여 두께 방향 다이 롤 크기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파인 블랭킹 판재 성형에서 두께 방향 다이 롤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이챔퍼 설계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프레스에 의한 블랭킹 판재의 응력 해석 (Stress Analysis of Blanking Plate Applied by Press)

  • 조재웅;한문식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6-71
    • /
    • 2008
  • The data of the deformation and the stress according to time are studied at upper model of press and lower model of the blanking plate applied by press with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0.4 m and 0.6 m respectively. The press is pushing downward on the plate fixed at the lower floor. These data are compared and investigated through this study. By using these results, there is the maximum deformation at 4 corners in the lower plate model of aluminium alloy fixed at lower floor. This deformation incase of elapsed time of 0.6 second becomes 4 times as much as in case of elapsed time of 0.2 second. The quantity of deformation at the lower plate model becomes more than at the upper press model to the extent of 10%. At the lower plate model of aluminium alloy, there is the maximum Von-Mises equivalent stress at 4 corners and both sides of middle area on the lower plate model of aluminium alloy. This stress in case of elapsed time of 0.6 second becomes 6 times as much as in case of elapsed time of 0.2 second. The Von-Mises equivalent stress of lower plate model becomes 2 times as much as that of upper press mode.

  • PDF

블랭킹 공정을 이용한 STS/Al 클래드 판재의 계면 접합력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Measurement of Interfacial Bonding Strength of STS/Al Clad sheet by Blanking Process)

  • 김태호;이광석;김지훈;문영훈;이영선;윤은유
    • 소성∙가공
    • /
    • 제27권5호
    • /
    • pp.267-275
    • /
    • 2018
  • The clad sheet material is produced by a roll-bonding process of one or more materials with different properties. Good formability of clad sheet material is an essential property in to deform a clad metal sheet into a part or component. Performance of the clad sheet material largely depends on interfacial bond strength between different materials. In this study, interfacial bond strength of STS/Al clad sheet was analyzed by varying experimental parameters using a blanking process. Experimental parameters are the punching speed, clearance, and stacking order of plate materials. In addition, blanking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bond strengths measured by the T-peel test, that analyzes interface bonding strength of the standard clad sheet. The blanking process was analyz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under the sticking condition of interface of different materials, and experimental results and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연강 판재의 속도에 따른 블랭킹의 유한요소해석 (FEM Analysis of Blanking of Mild Steel Sheet at Various Punch Speeds)

  • 송신형;최우천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8-461
    • /
    • 2016
  • In this study, a finite element analysis for high-speed blanking of mild steel is performed. A thermomechanically coupled simulation model of a blanking process was developed using ABAQUS/Explicit. Through a simulation of the high-speed blanking process of mild steel, the influence of the punch speed, tool edge radius, and work material thickness on the development of the plastic heat and punch load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 higher punch speed caused thermal softening of the work material and decreased the punch load. Decreasing tool edge radius could help reduce the punch loa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hermal softening effect was more dominant in the blanking of a mild steel sheet with a greater thickness as compared to that in the blanking of a mild steel sheet with a lower thickness.

2겹 판재 멀티포밍 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ouble Sheet Multi-forming Equipment)

  • 윤재웅;손옥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55
    • /
    • 2017
  • 대부분의 모터 케이스는 방수기능과동심도, 직각도 품질 등이 우수한딥드로잉 제품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외 방수기능이 필요없는 블로우모터, 시트모터 등 실내에 장착되는 모터 케이스는 멀티포밍 제조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딥드로잉 공정은 드로잉 성형, 트리밍 및 피어싱 등 약 12공정을 소화할수 있는 고가의 트랜스퍼 프레스가 필요하다. 하지만 멀티포밍 공법은 멀티포밍기 1대 또는 멀티포밍기 1대와 프레스 1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렴한 투자로도 완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멀티포밍기는 대부분 수입이 되는 고가설비 이고 국내 중소기업이 개발한 굽힘/전단가공 일체형 멀티포밍기는 생산원가를 줄이는데 부족하여 굽힘/전단 분리형 멀티포밍기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일체형 멀티포밍기는 비교적 얇고 작은소형 제품을 제한적인 작업 방법으로 사용된다. 크고 소재가 두꺼운 제품은 전단 하중이 높아 단발 크랭크 프레스를 이용하고 블랭킹 후 멀티포밍기로 이동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소재를 공급한다. 멀티포밍기에서 벤딩 작업이 이루어지면 다시 프레스로 이송해 치수를 교정한다. 이러한 작업공정 분산은 생산성 저하, 품질이슈 및 과도한 인원 투입으로 원가경쟁력 저하를 가져왔다 이에 굽힘/전단가공 공정분리와 설비자동화를 통하여 안정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생산체계를 갖추고자 하는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