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림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쉬라우드가 장착된 풍력터빈 로터의 유입 유량 변동 특성 연구 (A Study on Inflow Rate Variation for Shrouded Wind Turbine Rotors)

  • 함휘찬;김호현;이채연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563-568
    • /
    • 2015
  • 풍력터변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해외에서는 쉬라우드를 장착하여 유입 유량을 증진시키는 형상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쉬라우드가 장착된 수평축 풍력터빈에 대해서 EDISON CFD를 이용하여 쉬라우드 내부로 유입되는 질량 유량의 변동을 몇 가지 형상에 대해 수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유동장은 비압축성 난류유동으로 가정하였으며, 수치 해석 결과로부터 쉬라우드 주변의 순환의 세기를 형상 변동에 따라 도출하였다. 쉬라우드 형상으로는 캠버를 갖는 goe 417 에어포일을 두 개의 받음각(5도, 10도)에 대해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브림을 갖는 디퓨저 형상(Wind-lens)에 대해서도 유입 유량 변동과 순환 세기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쉬라우드가 발생시키는 순환에 의한 유입 유량 증가 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풍력터빈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에 나타난 모자의 조형적 특성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ts Shown in Prêt-à-porter Collection)

  • 유현정;김정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1-15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hat, and also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ts shown in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the relevant technical books and preceding researches while the case study targeted 1,561 photos of hats shown in the 'Donga TV Collection'. The research range was from the S/S season of 2012 to the F/W season of 2015/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hat is composed of crown and brim. In the results of classifying hats based on it, there were 572 crown-type hats, 533 hat-type, 219 cap-type, 156 irregular-type, and 81 brim-type in the order. 2. For the crown-type hats, they were mainly like cylindrical-type, bell-type, dome-type, and circle-type, using colors like black, beige, brown, red, mustard, and grey, and materials like wool, fur, velvet, straw, and metal while they were decorated with bead or lace. 3. For the hat-type hats, they were mainly like bell-type, ladder-type, and hemisphere-type, using colors like peach, white, gold, brown, and khaki, and materials like silk, cotton, straw, and wool while they were decorated with feather and ribbon. 4. For the cap-type hats, they were mainly like hemisphere-type, using colors like white, black, khaki, mustard, and purple, and materials like fur, leather, and wool while they were decorated with wappen and chain. 5. For the irregular-type hats, they were mainly like sandglass-type, box-type, animal-type, trumpet-type, and bell-type, using colors like purple, orange, pink, yellow, and sky-blue, and materials like metal, feather, mesh, plastic, straw, and linen while they were decorated with ribbon, net, bell, and flower. 6. For the brim-type visor, they were mainly like square-type, using colors like transparent, yellow, and black, and materials like plastic, cotton, leather, and metal.

  • PDF

원격탐사와 인공지능 모델링을 활용한 제주도 지역의 준맹그로브 탄소 축적량 예측 (Prediction of Carbon Accumulation within Semi-Mangrove Ecosystems Using Remote Sen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ing in Jeju Island, South Korea)

  • 이철호;이종성;김채빈;추연수;이보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61-17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준맹그로브인 황근 (Hibiscus hamabo)과 갯대추나무 (Paliurus ramosissimus)의 탄소 저장량을 원격탐사로 추정하고 기후요인에 의하여 공간변이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준맹그로브의 지상부 탄소 축적량은 Global Ecosystem Dynamics Investigation (GEDI) 라이다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상부 생물량 밀도(aboveground biomass density, AGBD)를 Sentinel-2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으로 해상도를 상향하여 추정하였다. 제주도에서 단위면적당 탄소 축적량은 황근이 16.6 t C/ha, 갯대추나무가 21.1 t C/ha이었다. 제주도 전 해안에서 준맹그로브의 탄소 축적량은 11.5 t C로 추정되었다. 환경요인에 따른 준맹그로브의 탄소 축적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랜덤 포레스트 기술을 적용하였다. 제주도 준맹그로브림의 분포면적 대비 지상부 생물량의 잔차를 계산하였다. 이 잔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으로는 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 가장 더운 달의 최고온도, 등온성 및 가장 습한 달의 평균 온도가 선정되었다. 제주도에서 랜덤 포레스트 분석으로 예측된 준맹그로브의 탄소 축적량은 12.0 t C/ha - 27.6 t C/ha 범위의 공간적 변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탄소 축적량의 원격탐사 추정법과 환경요인에 따른 인공지능 예측법은 한반도에서 탄소흡수원으로서 맹그로브의 보전과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