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소비자 관계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3초

스토리텔링 TV광고의 특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dvertising)

  • 신일기;최윤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41-55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광고의 실제적인 광고효과과정을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스토리텔링광고는 소비자들의 광고효과 인식에 과정에서 감정적 반응이 공감과 몰입 태도간의 강한 연합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광고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강력한 태도를 유인할 수 있는 측면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광고에 의해 생성된 감정이 수용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이 다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특징적인 광고전략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광고전략과 광고 형태에 대한 관계를 제시할 수 있으며, 광고 유형에 따라 수용자의 반응 유발을 위한 고려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글로벌 브랜드에서 소비자-브랜드 관계 변수들의 인과관계 및 조절변수들의 효과 (Causalit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Variables in Global Brand and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 김규배;김병구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1-132
    • /
    • 2017
  • Purpose - There are many variables related to consumer-brand relationship such as brand attitude, attachment,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and we should manage these all variables successfully to achieve a strong brand loyal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ath from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to brand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Special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brand type and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even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ested empirically in this research. Three of seven hypotheses were the effects of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on the brand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Another two hypotheses presented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type and other two hypotheses express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282 samples were us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empirically. We utilized SPSS 20.0 and AMOS 20.0 for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reliability test, validity test and path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influences the brand loyalty and brand attachment influences the brand commitment positively. The brand attachment also influences the brand commitment positively. We foun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brand type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itude and loyalty 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causality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commitment. We also foun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brand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In Summary, 5 of 7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supported and 2 hypotheses were not supported. Conclusions - There is a path model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from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to brand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Companies should provide their consumers with effective marketing program in every phase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to build brand loyalty. In addition,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brand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are moderated by brand type and consumer innovativeness. Companies should consider perceived brand type and innovativenss of their consumers in planning and executing their various marketing programs for their brand management.

고객체험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전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Impact of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offline home appliance stores)

  • 정호선;박정민;이형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395-413
    • /
    • 2023
  • 본 연구는 가전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고객체험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국 매장을 100여개 이상 보유한 가전 오프라인 유통 중에서 가전 양판점 2개(하이마트, 전자랜드), 대형마트 3개(이마트, 홈플러스, 롯데하이마트), 가전 전문점 2개(LG 베스트샵, 삼성 디지털프라자)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가전 매장을 최근 6개월 내 방문하여 구매한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20대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총 330부의 표본에 대해서 PLS(Partial Least Squares) 구조방정식과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서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가전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객체험특성이 소비자의 기능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교육적 경험, 일탈적 경험과 심미적 경험은 기능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오락적 경험은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교육적 경험, 일탈적 경험과 심미적 경험은 모두 감정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능적 가치와 감각적 가치는 모두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네째, 브랜드 충성도는 기능적 가치, 감각적 가치의 재방문 의도 사이에서의 조절효과를 갖지 못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고객체험 특성과 지각된 가치(기능적 가치, 감각적 가치), 재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결과는 온라인 채널이 오프라인 채널의 생존을 위협하는 시기에 가전 오프라인 매장들이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준다.

왜 우리는 SNS에 중독되는가? - SNS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Why are we addicted to SNS? - the Mediation effect of SNS Stress)

  • 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7-23
    • /
    • 2021
  • SNS 사용자들이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함으로써 SNS는 괄목할만한 높은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SNS의 적극적인 이용으로 인해 점점 스트레스를 경험하거나 중독으로 이르는 부정적 영향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개인이나 소비자와 기업을 연결해 주는 새로운 매체로써 SNS 사용자들의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중독경향성 즉, 중독을 보이는 경우들이 발생하는데, 이에 이용자들이 어떻게 중독에 이르게 되는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특성으로 인한 과다사용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높을수록 SNS 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스트레스와 중독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SNS 스트레스와 SNS 중독에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NS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이를 해소하기 위해 SNS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다른 SNS로 이동하여 계속 SNS를 이용하게 된다. SNS를 사용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 사용자들은 또 다른 SNS로 이동하여 계속 SNS를 이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이나 SNS의 중독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SNS 특성으로 인한 과다사용은 SNS 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NS 특성으로 인해 과다사용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수준뿐만 아니라 소비자-브랜드 간의 관계에서 SNS에 대한 중독적인 행동과 같은 SNS의 부정적 측면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 마케팅 성과에 관한 연구 -포탈 광고, 블로그, SNS 채널의 특징과 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rketing Performance Using Social Media -Comparison between Portal Advertisement, Blog, and SNS Channe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 장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119-133
    • /
    • 2012
  • 소셜미디어는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일대 혁신을 가져옴으로써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급속히 변화, 발전시키고 있다. 블로그와 SNS 는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크로스미디어 플랫폼으로, 국내 기업들도 포탈검색, 블로그, SNS 등, 다양한 채널들을 활용하여 마케팅 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활용 관점에서 포털 검색 광고와 블로그, SNS 채널들의 특징과 기대되는 성과들을 국내 기업 사례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고, 마케팅 활동 목적과 방향에 따라 각 채널들을 어떻게 독자적, 혹은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마케팅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지에 관한 전략적 틀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포탈검색 광고 채널은 관계지향성, 운영독창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채널차별성, 내용적합성, 고객활용성, 네트워크성 측면, 특히 협업과 사회공헌 활동에의 참여 부문에서는 성과가 낮다고 판단되었다. 블로그 채널은 공개적절성, 질적수월성, 정보관리, 협업, 사회공헌활동 측면에서 높은 성과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SNS 채널은 관계지향성, 고객지향성, 내용충실성, 고객활용성, 브랜드 이미지 강화, 비용절감, 홍보 및 광고 효과 등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따라서 기업은 시장 및 타겟 고객 조사활동, 홍보, 고객관계관리 강화, 신제품 테스트 및 입소문, 이벤트 진행 등, 마케팅 활동의 목적을 분명히 정의하고 각 채널의 상대적인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여 각 채널을 독립적, 혹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상호 보완하면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미백화장품 국내외 시장경쟁력 확보방안 연구 (The research of the way to ga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 economy force of whitening cosmetics)

  • 박준수;김흥기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2호
    • /
    • pp.121-141
    • /
    • 2017
  • 세계 미백화장품시장은 복합된 기능을 포함한'복합기능성화장품'시장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 또한 고기능성화장품시장인 코스메슈티컬시장은 복합기능성화장품 시장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더불어 복합기능성화장품 시장에서 미백기능을 포함한 천연화장품 시장은 전세계에서 성장하고 있다. 전세계 기능성화장품 유통채널은 '미용과 디지털(Beauty and Digital)'을 통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digital communication)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서 새로운 공간에 관계를 추가하고 있다. 그렇기에 전세계적인 미백화장품 유통 채널의 변화현상은 기존과 다른 공간에서 고객과 소통될 수 있어야 한다는 중요성을 시사를 할 것이다. 국내 미백화장품시장은 2015년 기준 연평균성장률 -3.61%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에 복합유형시장은 연평균성장률 33.28%로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미백화장품시장은 2008년 이후로 기존의 방문판매 중심의 유통채널에서 변화되었다. 특히 온라인채널은 오프라인채널 대비 약1/6 수준이지만, 2014년 기준으로 온라인쇼핑의 전년대비증가율이 27.1%를 나타냈다. 향후에는 오프라인의 판매비중과 비슷해지거나 뛰어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미백화장품의 유통채널은 변화하고 있고, 온라인 유통채널은 성장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은 새로운 미백화장품 유통채널과 기존의 오프라인 채널을 동시에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규기업의 미백화장품시장 진출 시, 기존의 미백화장품시장보다 복합기능성화장품 내의 천연화장품으로의 진입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미백화장품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차별성을 확보하거나 유통채널의 변화를 추구하여 기업과 고객이 새로운 공간에서 커뮤나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진출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 판매원의 직무능력이 판매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혜정;최선형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01
  • 고객의 가치를 창조해나가기 위해 고객을 중시하 는 시장지향적인 기업문화가 확산되며, 이와 함께 판 매현장 최일선에서 고객을 직접 응대하며 기업의 시 장지향성을 실현하고 고객을 관리하는 패션판매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장지향 적인 기업문화와 판매원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는 의류업체의 시장 지향성의 유형을 밝히고, 이러한 시장지향적 노력이 판매원의 능력과 함께 의류업체의 판매원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규명을 통해 궁극적으 로 기업의 성과에 기여하는 판매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지향성의 유형과 판매원의 능력 유형을 밝혀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적 기업문화 실현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적인 조사연구방법이 사용 되었고, 연구대상은 서울과 분당에 위치한 L백화점의 여성복 의류매장에 근무하고 있는 삽마스터 60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고 의류 업체에 맞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최종 분석된 설문지는 547부이다. 자료분석은 SPSS pc + 8.0올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요인분석, 중다회 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수거된 질문지를 통계처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시장정보의 획득'시장정보의 확산', '시장정보에 대 한 반응'의 세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시장정보를 획득하는 활동에는 매장의 소비자조사. POS시스템 의 활용. 삽마스터 회의에의 관심, 경쟁 브랜드 조사 그리고 판매사원을 통한 고객의 반응 조사 등의 내 용이 포함된다. 시장정보를 확산시키고자하는 활동 에는 매장에서 본사로 상황을 보고하고, 고껴의 시정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 판매원이 제시하는 소 비자동향의 반영, 그리고 삽마스터 회의 등씩 내용이 포함되며, 시장정보에 대한 반응은 풍부한 물량공급 과 히트상품의 지속적인 공급을 활동 내용으로 한다' 둘째, 의류업체의 시장지향성은 판매원의 만족도 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의류업체가 시장정 보 수집에 적극적이고, 매장과 긴밀한 정보교류를 하 며, 수집된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상품개발이나 공급 등의 노력을 보일 때 판매원이 회사에 대해 강한 신 뢰감을 느껴 만족감을 느끼게 되고 이것이 바로 성 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판매원의 회사전략 인지능력, 의류제조과정 인지능력. 고객서버스 능력, 자율적인 목표설정 능력. 고정고객관리능력이 클수록 직무자체와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판매원의 직무한력은 판 매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는 의류업체에서 능력 있는 판매원을 육성하거나 영 입하는데 힘써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PDF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 (Snack Culture and Fast Fashion)

  • 윤을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2-627
    • /
    • 2016
  • 본 연구는 오늘날 현대인의 일상에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은 스낵 컬처와 가성비 및 트렌드를 중시하는 소비패턴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패스트 패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현상으로서의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이 갖는 공통적인 속성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은 속도와 짧은 시간, 간편화로 대표되는 3S의 속성을 지닌다. 둘째, 스낵 컬처는 재미있고 다양한 콘텐츠로 사용자의 욕구에 집중하며, 패스트 패션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한다. 셋째, 스낵 컬처는 IT기술을 근간으로 패스트 패션은 업무와 조직, 유통 체계의 기술적 혁신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넷째, 스낵 컬처는 개방과 공유를 통해 세계와 소통하며 하나의 맥락을 글로벌화 시키고, 패스트 패션은 매출확대와 규모의 성장을 통해 다국적 기업으로 글로벌화 되고 있다. 다섯째, 스낵 컬처는 다-대-다의 관계로 소통하는 속성을 기초로 소셜 캠페인을 통해 다중의 상호 작용을 극대화시켜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며, 패스트 패션은 협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자동차 음질 개발 동향 (Trend of sound quality development in vehicles)

  • 강구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7-327
    • /
    • 2010
  • 자동차에서 실내음질은 구매결정 요소들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운전자가 기대하는 실내음질의 기대 수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소비자는 운전경험과 습관에 따라 기대하는 음질에 차이가 있고 소리에 대한 표현방식도 모호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관적 특성을 하나의 통일된 표현으로 정의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지난 이십여 년 동안의 음질개발과 차량 실내소음 주관평가의 통계처리로 통일된 표현을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심리음향학 및 신호처리기술의 발달과 꾸준한 음질연구결과로 소리특성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소리의 시각화가 가능하였으며, 운전자가 인식하는 주관평가와의 상관관계를 높여 차량의 대표적인 음질인자로 정량화하여 음질목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실내소음의 구성은 엔진 투과음, 흡배기 소음, 바람 소음, 도로 기인 소음 등으로 다양하므로 소음원에 따라 음의 균형을 맞추어 조화로운 음질개발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차량 판매되는 지역에 따라 선호음이 상이하여 지역별 실내음질의 차별화가 필요했다. 궁극적으로는 운전자의 감성품질을 만족할 수 있도록 음을 제어하여 브랜드 사운드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음질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음원과 전달경로에 대해 기여도를 분석하고, 경로를 구성하는 시스템 별로 세분화하여 시스템 목표를 설정하였다.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인자로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성능을 들 수 있다. 특히 디젤차량의 비중이 큰 유럽업체의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개발 능력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유럽의 부품전문회사가 가지고 있는 해석과 시험적인 개발 방법을 통하여 전달계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강성 및 흡차음 특성을 개발하고 있다. 차량음질 튜닝의 중요한 기법 중 하나로 흡배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인 하이브리드차량, 전기차량 및 연료전지차량의 경우 전기구동부품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음 발생을 최소화 했다. 보행자를 보호하고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하기 위한 가상사운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 수익성 향상을 위한 원가절감 및 구조 경량화에 따른 음질악화와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고성능 고출력 엔진탑재에 따른 음질악화 요인을 극복해야 했다. 운전자의 청감은 차량의 운전성에 따라서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엔진제어와 변속기제어를 통해 음질과 운전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향후, 소음원에 따른 시스템 최적화 개발, 운전성과 음질 연계 개발과 친환경차량의 가상사운드 개발 등이 자동차 음질 개발의 중요한 이슈로 생각한다.

  • PDF

가전제품의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AUI)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Developing the Design Guideline of Auditory User Interface for Domestic Appliances)

  • 이주환;전명훈;안정희;한광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8
    • /
    • 2006
  • 본 연구는 가전제품의 제품군과 그 기능들에 따라 차별화 가능한 인지적, 감성적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Auditory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을 마련하고, 가전제품의 작동기능 정보와 직관적으로 연합 가능한 청각신호(auditory signal)를 제작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하여 GUI 중심의 제품 설계에서 한 차원 확장되고 사용자의 다중감각적 특성이 적용된 디자인 방법을 실무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AUI 에 대한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브랜드 정체성(Brand Identity) 및 기업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는 목적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했던 이유는 가전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심적 모형(mental model)과 감성 측면에서의 접근에 대한 요구 때문인데, 이는 AUI 의 체계적 적용이 아닌 임의적 연결(mapping)으로 인한 버저(buzzer) 청각신호의 짜증(annoying) 발생이 빈번한 사례들에서 출발한다. 또한 GUI 의 변화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AUI 의 업그레이드 필요성과 가전제품에서의 감성 마케팅 경향을 반영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와 함께 멀티미디어 환경의 급속한 확산으로 다중감각적 정보제시(multimodal display)가 요구되는 상황에 걸맞은 시도이다. 본 연구는 특정 가전제품이나 특정 기능이 지니고 있는 인지적, 감성적 차원의 속성을 청각신호(auditory signal)의 다양한 속성들로 유발하는 관계를 추출하고, 이를 형성하는 기본 메커니즘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여, 가전제품의 AUI 디자인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결과보다는 전체적인 계획과 진행과정의 절차를 소개하여 관련분야 연구 진행의 참조적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