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브랜드 자산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Reconceptualization of Brand Equity : Empirical Evidence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의 재정립)

  • 원구현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3
    • /
    • pp.80-105
    • /
    • 2003
  • 본 연구는 기존 브랜드자산의 구성개념과 구성개념들 간의 관계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첫째, 브랜드자산의 구성개념을 재정립하여 브랜드자산을 구성하는 세부적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둘째,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에서 세부적 구성 요소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제시하고 셋째, 세부적 구성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제시하며 넷째, 전략적 브랜드자산 구축 즉, 브랜드자산이 기업의 핵심전략으로 한 단계 더 성숙하기 위해서는 기업측면에서 어떠한 요인이 중요한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자산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들과 같은 견해를 가지나, 기업성과로 연결되기 위한 브랜드자산의 구성개념과 형성과정에 있어서 기존 연구의 의문점을 제기하고, 그에 따라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스포츠브랜드와 컴퓨터브랜드의 2가지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여 311부를 회수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3부를 제외하고 308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리더십, 인지와 연상과 브랜드자산의 관계에서 존중, 차별성, 만족, 전환장벽, 애호도가 중요한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 모형과 평가지수 개발

  • Seong, Tae-Eung;Choe, San;Jeon, Se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35-746
    • /
    • 2017
  • 기업의 이윤창출은 보유 제품 기반의 사업으로부터 거둬들이는 미래 수익을 기반으로 예측되기도 하는데, 과거 발생한 매출실적에 기여한 요인은 일반적으로 인적자산, 시장자산, 기술자산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특허, 디자인과 같은 기술자산이 일정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에, 고가의 소비재(예. 고급시계, 핸드백, 남성/여성 정장, 승용차 등)에서는 브랜드 자산이 매출창출에 상당한 역할을 한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새롭게 시장에 출시된 경쟁제품의 사업화에서 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지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브랜드 이전 라이센싱, 투자의 의사결정, 브랜드전략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브랜드 자산의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브랜드 자산의 가치평가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를 위한 사업가치 산출방식을 수익접근법 기반으로 개발하고, 실제 브랜드 보유 기업의 과거 2~3년간 매출실적과 제안된 평가모형에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해본다. 또한,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충성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 모형을 실제 시범사례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고도화 연구로 수행하기로 한다.

  • PDF

브랜드자산 강화요인의 영향성에 관한 연구

  • Gang, Seok-J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5
    • /
    • pp.145-170
    • /
    • 2000
  • 브랜드는 단순히 출처를 표시하고 품질을 보증하며 나아가 광고선전을 담당하는 기능을 하는 도구가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업은 마케팅 활동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개발하고 소비자의 태도를 변화시키며, 자사의 브랜드자산을 증가시켜 브랜드의 시장성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에 대한 진입 장벽 효과를 갖게 하고, 브랜드 탄력성을 높이는 등 전략적 가치를 보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에 있어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수단으로 브랜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자사의 기업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강력한 브랜드자산을 창출하는데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브랜드자산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충성도, 지각된 품질, 브랜드 연상, 광고효과의 역할은 현재와 같은 글로벌 경쟁 시장상황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본다. 특히 인터넷의 등장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광고의 역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충성도,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 광고효과가 브랜드자산 강화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중형승용차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현대의 소나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브랜드자산을 강화시키는 요인에 대한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브랜드자산에 대한 마케팅에 있어서 전략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여서 소비자의 마음속에 자사의 브랜드가 장기간 기억될 수 있도록 브랜드인지도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요망된다. 둘째, 소비자들이 자사의 브랜드가 경쟁브랜드보다 더 강력한 연상이 형성되도록 집중적인 마케팅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제품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의 지각된 품질수준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주로 단기간 작용하는 광고의 긍정적 효과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광고의 실행이 요망된다. 끝으로, 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브랜드충성도가 브랜드자산 강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마케팅관리자는 마케팅조사를 통해 브랜드충성도의 변화를 추적하고, 자사 제품에 대한 반복구매 및 브랜드태도의 측정을 함께 실시하여 더 높은 브랜드충성도를 소비자들이 가질 수 있도록 전략적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브랜드충성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연상, 지각된 품질, 광고효과, 브랜드인지도 순으로 모두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브랜드자산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5가지 요인들에 대해 체계적이고 보다 세밀한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브랜드자산가치의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Yong-Man;Gang, Seok-J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53-86
    • /
    • 1999
  • 오늘날 기업간 M & A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브랜드 자산가치에 대한 연구는 학계와 실무계에 있어 커다란 관심이 집중되면서 브랜드의 역할에 대해서 다양한 새로운 관점이 제시되고 있다. 브랜드 자산가치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평가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 와서 브랜드 자산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됨으로써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에 대한 영향요인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이틀 연구의 대부분은 제품 품질과 광고톨 중심으로 한 기업의 통제 변수인 마케팅믹스-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기술혁신에 힘입어 규모의 경제성이나 경험효과에 의한 비용 우위는 거의 기대될 수 없게 되었고, 품질에서도 기업간의 격차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그러고 막대한 비용의 문제로 인하여 매스미디어등의 광고를 통한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오늘의 국내의 기업현실을 감안하면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고객만족 실현를 위한 핵심개념인 내부마케팅과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있어 신속히 대응하는 브랜드 수의 증가를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에 대한 새로운 영향요인으로 선정하여 마케팅믹스 요인과 더불어 이들의 영향성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브랜드 자산가치에 대한 마케팅에 있어서 전략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첫째, 브랜드 자산가치톨 형성 내지 강화하기 위해서는 내부마케팅 요인, 브랜드수의 증가요인, 마케팅믹스 요인중에서 어느 한 요인만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3가지 요인을 동시에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노려야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화,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소비자 니즈에 신속히 대용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수의 증가를 통한 마케팅전략으로의 실천이 시의 적절한 방법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둘째,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그동안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마케팅믹스적 요인을 주로 다루어 왔는데,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내부마케팅요인과 브랜드수의 증가요인도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들 요인에 대한 세밀한 검토와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기업들은 향후 브랜드 자산가치를 증대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he Strategy of Housing Brand Asset Management Using Brand Power Research (브랜드 파워 조사를 통한 주택 브랜드 자산 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 Kim Ho-Gun;Kim Soo-Jung;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238-241
    • /
    • 2003
  • Recently, construction companies is briskly doing brand marketing investment through the housing brand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brand asset is increasing, the brand management is time to set for strong brand. But brand asset management so far has been done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housing brand asset management of construction companies. It is aware that how important brand is, but we can't present data for brand marketing investment owing to absence of brand asset management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rying to deduce importance degree of brand asset composite factor through the brand power research. Also it is to present guideline about brand management strategy.

  • PD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Airline Brand Equity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 See, e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7-248
    • /
    • 2015
  • 본 연구는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여 항공사 브랜드 자산 경영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IPA 분석과 대형 항공사와 저비용 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GAP 차이 분석을 통해 항공사 브랜드 자산에 대한 전략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공사 이용객들은 가격과 직원의 친절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직원의 친절성에는 만족하고 있으나 가격에서는 만족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향후 항공사는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가격 전략의 변화를 시도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노력과 투자를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s of Local & Global Br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in Franchised Hamburger Restaurant (프랜차이즈 햄버거전문점의 브랜드자산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국내외 브랜드의 조절효과 검증 연구)

  • Kim, Yeon-Sun;Lee, Sa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2
    • /
    • pp.537-54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moderating effects of local & global br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in franchised hamburger restaurant. This study intended (1) to analyze the factors of brand equity in franchised hamburger restaurant, (2) to research the effect of brand equity on behavioral intention, (3) to research the moderating effects of local & global br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s who visited the nationwide hamburger restaurants by face-to-face interview.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f the 300 copies and used 253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1) the factors of the brand equity were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2) brand loyalty, image and awaren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in order, (3) the effect of brand awareness on behavioral intention was significant influence by moderating effect of local & global brand.

Factors of Tourism Destination Brand Equity and Verification for the Hierarchy of Effect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인과 효과위계 검증)

  • Lim, Myoung-Jae;Kim, Seok-Cho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2
    • /
    • pp.365-372
    • /
    • 2009
  • Brand equity of a tourist destination play a significant role in selecting a tourist destination because it is highly associated with its competitiveness. Nevertheless, a few research related to brand equity of a tourist destination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conceptualization work and deriving elements of brand equity of a tourist destination. One of the major research findings is that brand equity of a tourist destination comprises four elements including brand name awareness, perceived quality, brand associations and brand loyalty. In particular, brand loyalty turns out to be affected by other elements of brand equity, which verifies the hierarchy of effect among the elements of brand equity.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Assets on Word of Mouth Intention according to Digital Customer Experience: -Focusing on Network Specialized Hospitals- (디지털고객경험에 따른 브랜드자산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네트워크 전문병원 중심으로-)

  • Se-Min Jo;Dong-Il Kim
    • Journal of Digital Policy
    • /
    • v.2 no.2
    • /
    • pp.7-1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for brand equity management to survive in a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digital customer experience on brand equity a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hospital brand equity on word-of-mouth (WOM) inten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digital customer experience on brand equity,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value and brand equity, functional value and brand equity, customer service value and brand equity all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WOM intention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es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vealing the importance of the digital service environment in building hospital brand equity, in strengthening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nd WOM activities, and suggesting the provision of customer services and benefits using digital technolog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echeon City Brand Equity, City Reputation and Travel Intention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제천시 도시브랜드 자산과 도시평판, 관광의도와의 관계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 Moon, Hyo-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548-556
    • /
    • 2019
  • Effective city brand management provides a variety benefits to the city. The city with brand equity can motivate their customers to visit the city regularly, and it can also affect their recommendation as an attractive tourist destin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city brand equity and city reputation as a way to attract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t a time when local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and working to strengthen them. Research has shown that the city brand equit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city's reputation, and that the city brand equit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ravel intention as well. 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city brand assets, the city reputation, and travel inten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ity brand equity has a direct effect on the travel intentions and that the city brand equity has an indirect effect on travel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the city reputation. It can be seen that cities should strive to manage the first and second city brand as a way to attract tour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