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이미지

검색결과 825건 처리시간 0.039초

교육지방행정기관 브랜드디자인정책 특성 분석 (Analysis of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Policy of Education Local Government Brand Slogan)

  • 최형숙;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18-26
    • /
    • 2017
  • 본 연구는 교육지방행정기관의 브랜드디자인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시도교육지방행정기관에서 사용 중인 브랜드디자인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교육지방행정기관 브랜드디자인의 인지도, 인지경로, 브랜드디자인의 이미지, 브랜드디자인의 태도와의 관계, 브랜드디자인에의 활용 사례와 요소를 조사하였다. 교육지방행정기관 공무원과 일반인, 신규임용 예정자 간의 브랜드디자인 인지도, 브랜드 디자인 이미지, 브랜드디자인 태도, 브랜드디자인 정책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x^2$-검증에 의한 교차분석과 다중응답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지방행정기관의 브랜드디자인 인지도, 브랜드디자인 이미지, 브랜드디자인 태도, 브랜드디자인 정책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브랜드 이미지 강화의 한 요인으로써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duct development with the storytelling technique as one factor of brand image reinforcement)

  • 경준혁;김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8-23
    • /
    • 2008
  • 과거의 전통적인 마케팅 방법론들과 그 이론을 믿어온 기업의 경영자들은 소비자의 사고 과정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행위라고 규정하였다. 하지만 최근 발표되는 다양한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소비자의 사고 과정은 무의식적 영역에서 감성에 의해 일어나는 행위에 가깝다. 이러한 소비자의 사고 과정은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 즉 소비자의 구매 결정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소비지는 제품 구매 시, 가격, 성능, 품질 등의 다양한 이성적 기준에 의해 제품을 판단하지만 결국 구매는 제품에 대한 좋고 나쁨의 감성적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무의식적 영역에서 형성된 브랜드에 대한 심상으로 감성적 가치를 갖으며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긍정적인 감성의 결합을 통한 제품 개발은 감성적인 제품 이미지의 구축으로 연결되는 제품의 판매와 브랜드 이미지 강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 강화의 한 요인으로써 효율적이고 감성적인 의사 전달 방식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제안을 목표로 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 PDF

축제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Image of the Festival, City Brand Equity, and Regional Loyalty)

  • 엄지영;서정아;윤선영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1-19
    • /
    • 2017
  • 본 연구는 축제의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2015년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벌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거한 총 289부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 이미지는 도시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시브랜드자산은 지역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축제 이미지가 지역 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축제 이미지와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축제를 진행하는데 있어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브랜드 이미지가 기업호감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LH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Brand Image on Corporate Favorableness and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LH)

  • 이의중;문효곤;이명구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323-331
    • /
    • 2012
  •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이 최근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서 확인된 기업의 CSR 활동의 효과가 공기업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로 'CSR 활동'과 '브랜드 이미지'를 설정하고, 종속변수로 '기업호감도'와 '구매의도'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CSR 활동' ${\rightarrow}$ '기업호감도', 'CSR 활동' ${\rightarrow}$ '구매의도' 및 '브랜드 이미지' ${\rightarrow}$ '기업호감도', '브랜드 이미지' ${\rightarrow}$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인과관계를 보였다. 이로써 제품 관련 브랜드 이미지가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과 마찬가지로 CSR 활동이 기업의 전반적 이미지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제품 구매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업의 CSV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CSV의도성과 기업 -소비자 동일시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SV on Brand Image and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Focussing on CSV Intentionality and Company -Consumer Identification)

  • 황윤환;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105-114
    • /
    • 2019
  • 융복합시대 통신기업이 디지털격차를 해소하려는 공유가치창출활동(CSV)에 대해 본 연구는 CSV가 브랜드 이미지, 소비자행동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CSV의도성과 기업-소비자 동일시라는 심리적 변수를 통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T CSV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198부의 설문지를 Smart PL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SV는 CSV의도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CSV의도성은 브랜드 이미지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두 가지 가설은 기각되었다. 반면 CSV는 기업-소비자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업-소비자 동일시는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 지불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통신기업의 CSV가 소비자행동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하였고, CSV실행전략을 수립하려는 기업들에게 CSV성과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 참여와 커뮤니케이션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융복합 솔루션을 적용한 CSV연구에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 비교 연구로 확대할 필요가 있겠다.

감성 척도 맵 개발 및 패션 브랜드의 감성이미지 비교 연구 -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웹사이트 배색 이미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Scale Map and Comparison of Emotional Scale between Fashion Brand Image and Brand Website Coloration Image)

  • 유지현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2호
    • /
    • pp.348-37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plan which could satisfy consumer's expectation emotional needs by comparing emotional scale between fashion brand image and brand website coloration image. For this study, 12 brand websites within four fashion zone, men's clothing, women's clothing, casual wear, and sports wear were chosen. The questionnaires were comprised of 27 emotional adjectives which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office workers for 3 to 17 on September. Among them, 11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tool.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emotional adjective sorting, content analysis for website color chip sort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for consumers were used in this study. Some differences exist between brand image and website coloration band image as the result. As the numbers of internet user became larger, the costumer's emotional image which gives maximum satisfac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fashion brand website. Therefore, fashion website managers should satisfy consumers with functional and emotional needs.

SNS 이용자들의 인플루언서 대인신뢰, 브랜드이미지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Influencer Interpersonal Trust,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for SNS(Social Network Service) Users)

  • 한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1-44
    • /
    • 2020
  • 본 연구는 SNS 이용자들의 인플루언서 대인신뢰, 브랜드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온라인 리서치 전문 회사 Embrain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집하였다. 2019년 6월 25일부터 7월 2일까지 6일간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총 335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과 AMOS 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자들의 인플루언서 대인신뢰는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에 미친다고 나타났다. 둘째, 인플루언서들이 판매하는 브랜드의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에 미친다고 나타났다. 셋째, SNS 이용자들의 인플루언서 대인신뢰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에 미친다고 나타났다.

대학교 위탁급식업체의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개성, 브랜드 이미지,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BRQ)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recognition on brand personality, brand image and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in the university contract foodservice industry)

  • 이윤정;한경수;최덕주;김윤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1-73
    • /
    • 2011
  • 대학교 위탁급식업체에서도 현재 많은 외식기업들이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인 브랜드 인지, 로열티, 지각된 품질, 연상이미지 등을 강화하기 위해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에 예산을 늘리고 있는 것처럼 브랜드 자산 형성을 위한 투자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설문지의 617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설문문항의 신뢰도검정을 위해 알파계수분석 (Cronbach's Alpha analysis)과 타당성검정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조사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이미지 형성 그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에 미치는 구조모형 가설검증을 위해 AMOS 17.0(Analysis of Moment Structure)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AMOS 분석결과 모든 가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학교 위탁급식업체에서도 브랜드 인지에 대한 자산형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교 위탁급식업체의 고객에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확립은 강한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확립하게 되므로 향후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Family Restaurant's Brand Symbol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 김기영;이용호;최동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46
    • /
    • 2011
  • 본 연구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브랜드 심벌을 시각적 기호로서 기능적 요소, 가치적 요소, 심미적 요소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중 기능적 요소와 심미적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는 다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브랜드 심벌에 대하여 그림이나 기호의 마크형보다는 기업명이나 브랜드명이 들어간 로고형을 선호하였고 TV광고보다는 옥외광고가 더욱 인지도를 높인다고 응답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향후 브랜드 런칭 시 심벌에 대한 디자인은 앞에서 언급한 로고형 심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광고는 어느 한곳에 편중되지 않은 옥외광고와 TV광고가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패스트푸드(fast-food)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한 이미지 연구 - KFC,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B.B.Q, 파파이스, 피자헛 - (On the Images of Fast-food brands' identity: B.B.Q, Burger King, KFC, Lotteria, McDonald, Pizza Hut, Popeye's)

  • 박규원;윤홍열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69-180
    • /
    • 2003
  • 외식 산업에 있어 다국적 브랜드가 국내 외식사업을 잠식하고 있고 그러한 브랜드가 국내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높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패스트푸드도 브랜드화된 하나의 제품이라 보고 그 가치를 느끼게 하는 비쥬얼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연상을 연구를 통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최근에 외식산업의 발달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서 자산가치가 새로히 평가받고 있는 이때에 무엇보다도 여러가지 마케팅 포지셔닝이 다양한 패스트푸드업을 통해서 브랜드 연상(Brand Association)과 그 의미를 확인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식의 제조와 판매가 분리된 조직적인 경영기법인 프랜차이징 시스템(Franchising System)으로 운영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경영전략은 소비자에게 자사 브랜드의 인지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매우 중요한 포지셔닝(Positioning)으로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미 발생된 브랜드 마크에 의한 색체와 도형 등 비쥬얼이미지(Visual Image)에 의한 연상(Association)이 어떻게 나타내고 있는가 연구함으로 국내 패스트푸드업의 프랜차이즈(Fran chise)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