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유형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4초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관여유형이 일치.불일치 확장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duct Types and Consumer Involvement on Consistent and Inconsistent Brand Extensions)

  • 최인혁;김기석;박주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67-92
    • /
    • 2005
  •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의 효과 및 효율측면에서 항상 고민하는 마케터들이 전략적으로 브랜드확장을 꾀하고자 할 때, 브랜드확장의 위험을 줄이고 성공가능성을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실시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제품유형을 실용제품과 쾌락제품으로 구분하고,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과 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브랜드 확장을 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하는 경우에 소비자가 확장 브랜드에 대하여 보이는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과 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한 브랜드가 불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한 브랜드보다 소비자에게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았다. 또한 브랜드확장 전략 수행 시 모 브랜드와 제품유형을 일치시키는 것이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이 쾌락제품일 경우보다 실용제품일 경우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나아가 소비자가 몰입하는 인지적 또는 감성적 관여유형에 따라 브랜드확자엥 대한 보지가의 평가는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일치 불일치 확장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항공사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항공사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s of Service Quality on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 박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74-386
    • /
    • 2016
  • 본 연구는 나날이 다양화 되어 가는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항공사의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태도 그리고 재이용 의도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은 유형적인서비스, 무형적 서비스, 인적서비스인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며, 고객들이 갖게 되는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태도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갖게 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항공사의 유형(FSC와 LCC)에 따른 이용객의 인식하는 유형적 무형적서비스,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 재이용의도의 차이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서 항공사 유형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중 유형적서비스, 무형적서비스, 인적서비스는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태도 또한 재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은 인적요소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서 항공사 유형은 순수 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 항공사 유형에 따라 승객들은 항공사를 선택할 때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구전, 인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 등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태도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항공사마다 차별화 되고 개성 있는 서비스전략을 고안해 낼 필요가 요구되며, 항공사 인적자원을 위한 선발, 관리, 교육훈련이 매우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유통경로 유형별 모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 평가도의 관계 (Relationships of Parent Brand Attitude and the Evaluation Level of Brand Extension by Distribution Channel Types)

  • 윤성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49-359
    • /
    • 2009
  •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 평가에 대한 범주화 평가과정 모델(categorical evaluation processes model)을 참고하여 유통경로 유형별 광고태도(Aad), 점포태도, 브랜드태도(Ab), 브랜드확장 평가도, 확장제품 구매의도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에서 영향력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 "유통경로 유형 모 브랜드태도가 브랜드확장 평가도와 확장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여섯 가지 가설 중에서 점포태도와 브랜드태도와의 관계,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 평가도와의 관계, 브랜드확장 평가도와 확장제품 구매의도와의 각 이론변수간의 관계에서만 각 유통경로 유형별로 영향력이 다르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경로 유형별 브랜드확장평가는 모 브랜드태도와 브랜드확장평가도와의 관계를 소비자관점에서 구조적으로 분석하여야 하며 이는 브랜드확장 제품 유통경로구조 개선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브랜드확장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안경원의 브랜드 네임 유형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안경원 브랜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rand Name Type of Optical Shop - Centric on Optical Shop in Daegu Region -)

  • 홍성일;손정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5-423
    • /
    • 2015
  • 목적: 대구지역 안경원 브랜드를 중심으로 안경원 브랜드 네임의 유형 연구를 통해 새로운 브랜드 네이밍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브랜드 네임의 개념과 기능 등의 브랜드 네임 특성들을 살펴보고 대구지역의 안경원 브랜드에 대한 한글과 영어, 국 영문 혼합, 음절 그리고 서술적, 암시적, 조어적 브랜드 네임의 유형과 대안의 창출 제시, 많이 사용된 키워드 분석 등으로 브랜드 네임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한글의 자음에는 'o'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ㅅ' 이었다. 한글과 영어, 조합 등에서는 브랜드 네임의 57.1%의 과반수가 한글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어를 사용한 브랜드 네임도 약 32.7%가 되었다. 음절 수는 3음절이 30.4%로 많았지만 2, 4음절도 비슷한 빈도수로 각 29.7%와 25.0%를 차지하였다. 암시적, 서술적 유형이 51개, 40개로 각 17.0%와 13.3%로 나타났으며 대안의 창출에 따른 유형에서는 단어를 조합한 유형이 가장 많았고 상징물 사용이 뒤를 이었다. 기타 유형에서는 타 업종의 이름과 안경원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명을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 네임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안경원 브랜드 네임에 사용된 키워드로는 '아이(eye)'가 45회로 빈도수가 가장 많았고 '당'과 '안경'이라는 키워드 순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창업을 위해 상호를 만들고 알리는데 그치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들어서 기억하고 부르기 쉬우며 의미가 있는 브랜드 네임, 안경원에 대한 바람직한 연상과 독특하고 호감을 주는 창의적인 브랜드 네임이 되어야 한다.

의류브랜드 유형에 따른 패션디자이너 업무의 비교분석: 국내 여성복 브랜드 상품기획 과정을 중심으로

  • 이은아;권혜숙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04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양한 규모와 특성을 가진 국내 의류업계에서 패션 디자이너의 업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패션디자이너들이 집중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세 가지 브랜드 유형 내셔널 브랜드ㆍ디자이너브랜드ㆍ무브랜드(동대문 의류상가)를 중심으로 상품기획 과정에서 패션디자이너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수행정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마케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ssage Framing Types of Sustainable Marketing Campaigns of Luxury Impact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Brand Trust)

  • 김민정;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45-252
    • /
    • 2024
  •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지속가능 마케팅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갖는 상호작용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로 하여금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을 높였으며, 수용자의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은 각각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임이 직접적으로도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이 브랜드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박카스 '나를 아끼자' 광고캠페인을 중심으로- (The Different Influence of the Types of Perceived Brand Image on the Brand Preference and Behavioral Intentions)

  • 김신엽;권승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48-558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는 주요개념인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하여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의 유형에 따라 브랜드 효과로서의 브랜드 선호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는 기업 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서 실제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이미지 유형으로 설정하고, 브랜드 선호도와 함께 행동의도로는 구매의도와 추천의도로 각각 결과변인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은 크게 2가지로 '요인1(도전)'과 '요인2(신뢰)'로 추출되었으며,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각 유형 별 집단을 확인하였다. 각 집단 별로 다르게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은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 별 차이는 '도전 형', '신뢰 형', '통합 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다소 광범위한 이론으로 분류되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개념을 실제 소비자 지각 차원으로 접근하여 실무사례에 적용한 연구로서 실증적 가치를 지니며, 무엇보다 광고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관리의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브랜드 가치 유형과 카피 유형에 따른 광고제작 전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Ad Production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Value and Copy Type: Focusing on Cosmetic Brands)

  • 유승엽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33-42
    • /
    • 2023
  •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광고 카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브랜드가치)×3(카피유형) 요인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독백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 권유형 카피가 가장 광고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구매의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매스 브랜드의 경우 대화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카피를 유형을 차별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화장품 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카피 전략에 활용될 것이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외식행동 연구 -해외브랜드와 국내브랜드 외식업체 비교-

  • 김태희;이영남;박홍현;이상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주식문화
    • /
    • pp.74-75
    • /
    • 2003
  •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로 외국계열 패스트푸드(Fast Food: FF)와 패밀리레스토랑(Family Restaurant: FR)브랜드들의 국내시장 진출이 가속화됨에 따라 외식업체 유형별 고객들의 외식행동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고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4가지 유형의 외식업체별 고객들의 외식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모집단은 전국의 국내 및 해외브랜드 외식업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 314명을 대상으로 해외브랜드 2가지 유형[FF와 FR]과 국내브랜드 2가지 유형[프랜차이즈(FC) 업체와 일반대중식당(GR)]을 구분하여 외식행동에 관해 자기기입방식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중략)

  • PDF

소비자-브랜드 감성적 관계에 대한 사랑의 삼각이론적 접근 -이동통신 서비스와 단말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Approach on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based on Triangular Theory of Love -With focus on Mobile Phone Service and Product Brands-)

  • 최원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7-43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하며 전략적인 브랜드 사랑을 사랑의 심리학적 측면에서 계량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소비자-브랜드 관계에서 브랜드 사랑은 어떠한 의미인가? 브랜드 사랑은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이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소유를 통해 그들의 삶에 의미를 더하며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브랜드를 사랑한다. 사랑이야말로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가장 대인관계 차원에서 이해하는 척도이며, 감정 이입적 파트너십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은 브랜드 이미지, 신뢰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를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우위까지 영향을 미친다. 또한 브랜드의 위기 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오히려 관계의 전환점으로 작용하여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 강도를 더욱 상승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적, 이론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로서의 사랑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하였다. 사랑 이론과 분류 가운데 대표적인 Sternberg의 삼각이론을 중심으로 브랜드 사랑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이동통신서비스와 단말기 브랜드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통해 552개의 설문지를 회수하고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발견된 브랜드 사랑 유형은 Sternberg의 사랑 유형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제품 유형에 따라 브랜드 사랑 유형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서 브랜드 사랑이라는 개념은 중요한 전략적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