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브랜드 라이센싱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Brand License Effects on Consumer's Preception - Focus on Perceived Risk and Congruence between Product and Brand type - (브랜드 라이센싱이 소비자지각에 미치는 연구 - 상품유형과의 적합성이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 Kim, Sang-J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4 no.2
    • /
    • pp.79-9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brand attitude on licensing brands comparing with non-licensed brands(virtual br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quasi-experimental design setting. I designed the experimental setting that there were two virtual companies to sell the luxury bags(symbolic goods) or cruise tour(experiential goods) and to launch their goods with own brand or licensed br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osed of women consumers who were familiar with consuming experiential goods and symbolic goods. Results from the experiment suggest that consumer's perceived risk on brands gives a negative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congruence in goods types and licensed brand values leads to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ived risk. In experiential goods, brand licensing from famous and experiential brands can reduce perceived risk. But in symbolic goods, brand licensing effect which reduces the perceived risk is less effective than in experiential goods. This findings suggest that brand licensing may lower the level of consumer's perceived risk, but incongruity in goods type and brand value may result in strategic failure.

  • PDF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 모형과 평가지수 개발

  • Seong, Tae-Eung;Choe, San;Jeon, Se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35-746
    • /
    • 2017
  • 기업의 이윤창출은 보유 제품 기반의 사업으로부터 거둬들이는 미래 수익을 기반으로 예측되기도 하는데, 과거 발생한 매출실적에 기여한 요인은 일반적으로 인적자산, 시장자산, 기술자산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특허, 디자인과 같은 기술자산이 일정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에, 고가의 소비재(예. 고급시계, 핸드백, 남성/여성 정장, 승용차 등)에서는 브랜드 자산이 매출창출에 상당한 역할을 한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새롭게 시장에 출시된 경쟁제품의 사업화에서 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지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브랜드 이전 라이센싱, 투자의 의사결정, 브랜드전략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브랜드 자산의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브랜드 자산의 가치평가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를 위한 사업가치 산출방식을 수익접근법 기반으로 개발하고, 실제 브랜드 보유 기업의 과거 2~3년간 매출실적과 제안된 평가모형에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해본다. 또한,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충성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 모형을 실제 시범사례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고도화 연구로 수행하기로 한다.

  • PDF